승경얘비 2015.08.11 10:20

안녕하세요.

정기 승급 호봉 관련 문의를 드리고자 합니다.

저희 사업장은 호봉 인상은 기본급 기준으로 정기호봉은 기본급 대비 2.2% 인상, 특진시 3.3% 인상, 승급시 4.4%, 누락시 1.1%

인상이 되며 임금 적용 시기는  1년 (7월 1일부터  6월 30일) 기준으로 적용 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2015년도 최저임금 (시급 5,580원) 적용이 되어서 시급 5,375원이었던 사원이 2015년 1월 1일자로 시급 5,580원으로

인상이 되었습니다. 

이 사원이 올해 승급이 되어서 7월 1일자로 기본급 대비 4.4% 인상이 되어서 현재 받고 있는 시급 5,580원 기준 4.4% 인상이 아닌

종 전 시급 5,375원 기준 4.4% 인상  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시급 (5.580원)의 4.4% 인상 시급(5.826원)이 아닌 기존 시급(5,375원)의 4.4% 인상 시급 (5,611원)으로 적용 하였습니다.

당연히 현재 받고 있는 시급에서 4.4% 적용을 하지 않고 금년 1월 1일 최저 임금 적용으로 인상되었던 시급이 아닌

시급이 저하된 작년 호봉 기준으로 4.4% 인상이 합법한지 궁금합니다.

임금이 저하 되지는 않아서 위법이 되지 않는 다고 하는데 이렇게 적용을 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고 위법 소지가 되지 않는지

긍금합니다.

빠른 답변을 부탁 드립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전북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300인이상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5.08.11 17:17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사용자의 주장대로라면 해당 근로자의 경우 2015년 1.1.~6.30까지 시급 5375원을 적용받은 만큼 이는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하도록 규정한 최저임금법 제 6조 위반이 됩니다.

    2. 최저임금은 사용자가 주고 싶으면 주고 사정이 안되면 안줘도 되는 임의적 조항이 아닙니다. 근로자의 최소한의 생계를 위해 국가가 정한 강행규정인 만큼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2015년 1월 1일 이후에는 시급 5580원에 미달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시급 5580원을 기준으로 임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3. 이 경우 해당 근로자가 사용자를 상대로 최저임금 위반의 문제를 제기하면 사용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4. 현재 인상된 승급분을 기준으로 소급분을 적용하여 지급했기 때문에 최저임금 위반의 문제를 피해갔다고 주장할 수 있겠으나, 원칙적으로 7월 1일 이후 적용된 승급기준을 사용자가 최저임금에 미달하는 기존시급을 기준으로 정하는 것은 최저임금법 위반으로 무효를 주장할 수 있으며 5580원을 기준으로 승급분에 대해 차액을 체불임금으로 청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해고·징계 성인도 아닌 제가 이 일을 혼자 감당하기엔 너무 힘들어요 2 2015.08.18 220
기타 조기재취업수당 문의 1 2015.08.18 325
임금·퇴직금 주말알바 임금 계산부탁드립니다. 1 2015.08.18 3894
휴일·휴가 토요근무건에대하여 1 2015.08.18 198
휴일·휴가 연차계산 질문드립니다~ 1 2015.08.18 167
휴일·휴가 연차발생 기준 병가사용일 적용 여부 문의 1 2015.08.18 914
임금·퇴직금 시급제 직원이 8월14일자로 퇴사했어요. 주휴수당을 줘야 하나요 1 2015.08.18 693
임금·퇴직금 전기주임 3일휴가로 인한 전기과장 대체근무 임금계산 부탁합니다. 2 2015.08.18 989
근로시간 연장근로에 해당되는지 알고싶습니다. 1 2015.08.18 151
임금·퇴직금 퇴직금중간정산문의 1 2015.08.18 1781
기타 근무형태 변경에 대해서 -2 1 2015.08.18 378
해고·징계 8월 17일 예고 없이 갑작스럽게 해고 당했습니다. 1 2015.08.18 311
임금·퇴직금 월급을 못 받고 있습니다. 1 2015.08.18 332
근로계약 입사시 근무 조건과 다른 근무조건을 통보받았습니다. 1 2015.08.18 468
근로시간 주휴수당과 적정임금에 대하여 1 2015.08.17 253
고용보험 사업계약직 근로의 계약기간만료 1 2015.08.17 650
근로계약 근로계약 종료 이전 퇴사시에요 1 2015.08.17 489
근로계약 교육비 환불 1 2015.08.17 325
임금·퇴직금 퇴직시 꼭 30일 전에 말해야 하는지요 1 2015.08.17 696
휴일·휴가 년차수당및 연장근로수당 1 2015.08.17 415
Board Pagination Prev 1 ... 1311 1312 1313 1314 1315 1316 1317 1318 1319 1320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