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까치 2016.02.11 13:56

안녕하십니까?너무 속상하고 답답한 마음에  이렇게 글 남깁니다.

공공기관에서 용업업체 직원으로 6년여를 시설관리 일을 하고 있는 1인입니다.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 한다고 하는데 그렇게 쉽지만도 않고

우선 제가 궁금한사항을 살짝 요약하겠습니다.

현재 시설관리를 하면서 4명(관리소장,반장,기사2)이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관리소장은 주5일일근직이며(9시~6시)토일은 쉽니다.

그러면 3명이서 교대근무를 하는데 주간(오전9시~오후6시),철야(오전9시~다음날오전9시),비번 이렇게 돌아가고 토요일 비번이 걸리면

일요일까지 쉬게 됩니다. 따로 쉬는 날 없이 그렇게 늘 진행이 됩니다.그중 점심1시간 휴게시간이 있는게 다 구요,,,기계관련 일이라 경비처럼

12시 넘어서 쉴수도 없고 민원들어오면 처리를 해야 하기 떄문에 쉴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연차수당을 받을 날이 되어서 급여명세서를 받고는 너무 황당하여 이렇게 글 올립니다.

또한 소득세를 총급여액에서 공제하는 것도 맞는것인지 급여부분 비과세가 차량유지비(200,000원)식대(100,000원)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런 부분은 하나도 없고 연장근무에 대한 내용도 없습니다. 또한 퇴직연금도 붓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그 내용에 대해서는 하나도 없네요..

급여가 금번에 약간 인상이 되었는데 이로 인해서 급여가 더 깍여 나왔다는게 도저히 이해가 가질 않네요..

세세한 설명과 답변 부탁드립니다.

급여 및 공제 내역
기본급   1,756,081 국민연금      103,270
상여금건강보험       73,740
직책수당       50,000 장기요양보험료         4,820
야간수당      271,959 고용보험       14,920
국공휴수당              - 소득세      110,430
연장근무지방소득세       11,040
차량유지비
기타
식대       57,000
연차수당      915,600
자격증수당      200,000
소급
퇴직급여
피복비              -
조정수당              -
대체근무       54,260
직무수당              -
추석수당              -
지급 총액 3,304,900   공제 총액      318,220
차감 지급액

                             2,986,680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전기가스 수도사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기타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6.02.18 17:49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우선, 귀하의 월 근로시간수를 산정해 보면 [주간 8시간+야간 23시간]×365일/12개월/3= 월 약 314시간의 실근로시간이 나옵니다.

    2. 여기에 야간근무의 경우 1일 8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가 15시간 발생하며, 밤 10시부터 익일 오전 6시 사이의 야간근로가 8시간 발생합니다. 귀하의 사업장에서 귀하의 업무에 대해 감시단속적 근로자사용승인을 얻었는지 알 수 없으나 감단직 승인을 얻은 경우 연장근로에 따른 가산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없습니다. 감단직승인 여부를 알 수 없어 감단직승인을 받지 않았다는 전제하에 답변을 드리면 연장근로의 경우 15시간×365일/12개월/3=152시간이 나옵니다. 여기에 연장근로 가산 0.5를 곱하면 약 76시간이 나옵니다. 야간근로의 경우 8시간×365일/12/3=81시간이 나오며 마찬가지로 가산율을 적용하면 40.5 시간이 나옵니다. 그리고 주휴 35시간이 발생합니다.

    3. 월 총 근로시간수를 더하면 실근로 314시간에 연장근로 76시간, 야간근로 40.5 시간, 그리고 주휴 35시간등 465.5시간이 나옵니다.

    4.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상 귀하의 사업장 월 소정근로시간을 알수 없어 기본급이 정확하게 월 몇시간의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책정되었는지 알수 없습니다. 다만 연차휴가미사용수당의 경우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미사용일수만큼 곱하여 지급하게 되는데, 귀하의 경우 통상임금은 기본급과 직책 및 자격수당을 합한 월 2,006,081원을 기준으로 월 소정근로시간으로 이를 나눠 산출된 1시간의 시간급에 8시간을 곱하면 됩니다. 이 1일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미사용연차휴가 일수를 곱하면 연차수당이 되는 것입니다.

    5. 소득세법에 따라 자기차량 운전에 따른 운전보조금의 성격이나거나 실제 사용자의 업무수행에 종업원이 소유차량을 직접 운전하여 소요된 경비를 보조하는 차원에서 지급되는 차량유지비는 20만원 한도에서 비과세가 가능합니다. 식대의 경우에도 식사를 제공하지 않는 사업장에서 식사에 대한 보조로 지급하는 식대의 경우 10만원까지 비과세가 가능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특이한 경우라서 상담드립니다. 1 2016.03.03 123
임금·퇴직금 항상 수고하시는 노총 여러분 감사합니다. 제가 일했던 곳의 임금... 4 2016.03.02 473
임금·퇴직금 퇴지금이 어떻게 되는지 좀 봐주세요 1 2016.03.02 226
기타 계열사 특정부서 합병에 관하여 1 2016.03.02 204
해고·징계 지방노동위원회의 구제 명령 판정서를 받고 30일이 지났습니다... 1 2016.03.02 411
기타 개인차량으로 출장업무 시 보상관련 문의드립니다. 1 2016.03.02 1132
임금·퇴직금 퇴직금 정산시기 1 2016.03.02 860
휴일·휴가 퇴직시 연차를 모두 사용하고 퇴직하려할때 1 2016.03.02 2249
임금·퇴직금 퇴직금 계산 부탁드릴게요 급합니다 ㅜ 1 2016.03.02 331
임금·퇴직금 네트제 형태 계약시 연말정산만 본인이할경우... 1 2016.03.02 1383
해고·징계 부당해고 문의 드립니다 1 2016.03.02 164
여성 임산부 야간근로 해당 문의 1 2016.03.02 474
근로시간 야근 수당 문의 1 2016.03.02 213
임금·퇴직금 잘못 계산된 시급 ? 1 2016.03.02 645
임금·퇴직금 2016년 시간급여에 관하여 부탁드립니다. 1 2016.03.02 132
임금·퇴직금 급작스런 알바 그만둠으로인한 임금 미지급 1 2016.03.02 3487
해고·징계 서로 맞지않는다는 해고통보 1 2016.03.01 341
고용보험 실업급여 문의 드립니다. 1 2016.03.01 199
해고·징계 부당해고 당했습니다 그에 대해 궁금한게 많아 질문합니다 1 2016.03.01 720
여성 프리랜서 모성보호 해당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1 2016.03.01 166
Board Pagination Prev 1 ... 1238 1239 1240 1241 1242 1243 1244 1245 1246 1247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