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름이 2016.02.25 17:31

일일 49,500원으로 275일 근로 ,  연봉 13,612,500원>>>>>12개월로 나눠 1,134,370원 매월 지급받음

여기에 매월 고정으로 처우개선수당 교통보조비 6만원, 정액급식비 8만원, 장기근속수당 23만원 받음

그래서 매월 1,134,370원+60,000+80,000+230,000 = 1,504,370원 받음

일일 통상임금 계산방법이 

1. (49,500원/8시간)+<(60,000+80,000+230,000)/226>=7,824.6원*8시간=62,590원

2. 1,504,370원/226=6,656.5원*8시간=53,250원

1번과 2번의 방법 중 어느 것이 일일 통상임금 계산에 맞는것인지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공공행정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있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2'


  • 상담소 2016.02.26 18:51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1일 통상임금 산정은 월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근로자의 월 급여액중 통상임금에 해당하는 급여총액을 나누어 통상임금 시간급을 산정하고 이에 1일 소정근로시간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월 소정근로시간은 별도의 정함이 없는 경우 1주 40시간에 주휴 8시간을 포함하여 월 평균 4.34주를 기준으로 월 209시간이 나옵니다.
    2. 처우개선수당과 교통보조비의 경우 일정한 요건에 해당 하는 근로자에게 일률적으로 지급되더라도 소정근로의 가치 평가와 무관한 사항을 조건으로 하여 지급되는 것으로서 통상임금이라 보기 어렵습니다.
    3. 장기근속수당의 경우 근속여부에 따라 지급율등이 정해진 수당일 경우 근속기간은 근로자의 숙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소정근로에 따른 급여의 성질을 가집니다. 따라서 이는 통상임금에 포함됩니다.
    4. 급식보조비의 경우 근로자들에게 일률적으로 일정한 금액을 매월 지급할 경우 이는 통상임금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5. 따라서 귀하의 경우 기본급 1,134,370원+80,000원+230,000원=1,444,370원/209시간=6,910원×8시간=55,286원이 될 것입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 바름이 2016.02.27 07:47작성

    감사합니다. 제가 틀렸다고 주장하는 노조와 기관이 있기에 속상했는데 (저만 이상한 사람이 되어서 그리고 무조건 근로자한테는 더 주면 어떠냐는 식의 분위기- 저는 근무할때 이전 직원의 실수로 누락되거나 덜 받은 임금은 찾아서라도 챙겨주고 만약 다른 근로자보다 더 많이 지급되었던 부분은 감액하고 그러는 등 일을 정확하게 하고자 하는 마음과 예산의 쓰임을 정확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음 ) 고용노동부도 귀 한국노총처럼 똑같은 답변을 받았습니다. 다만 월 소정근로시간이  일정기간만 유급휴일 인정으로 209시간이 아닌 226시간으로   일부 직종이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마치 그 일부 직종이 다른 직종에 비해서 일일 근로 임금을 같으나 통상임금으로 계산하면 퇴직금 , 연차수당이 많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다른 직종 근로자(365일 근로자-월소정근로시간243시간)는 정확하게 계산되어 임금을 받아도 타 직종이 많이 받아버리니 상대적을 덜 받는 느낌이 드는것이지요...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법정관리 후 퇴직금 보장여부 1 2016.03.10 3530
임금·퇴직금 노동조합 퇴직금 계산 1 2016.03.10 148
근로계약 실업급여 수령관련 무기계약직 1 2016.03.10 3633
임금·퇴직금 포괄연봉제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1 2016.03.10 236
기타 체류허가 신청확인서 1 2016.03.10 6946
임금·퇴직금 퇴직금정산이 잘못된것같아서요 1 2016.03.10 448
임금·퇴직금 포괄임금제 통상임금 계산 1 2016.03.10 1266
기타 파견직은 육아휴직을 못받나요? 1 2016.03.10 640
휴일·휴가 대체휴가 관련 문의 1 2016.03.10 189
기타 실업급여 가능한가요? 1 2016.03.10 474
근로시간 퇴사 후 근무상실로 인한 임금삭감 1 2016.03.10 237
임금·퇴직금 퇴사 후 월급정산 1 2016.03.10 3793
임금·퇴직금 4대보험 퇴직금 질문입니다 1 2016.03.10 643
기타 통상시급방법 가르쳐주세요 2 2016.03.10 354
임금·퇴직금 임금채불건(4대보험반환에 대해) 1 2016.03.09 447
고용보험 해외 유학을 위한 육아휴직 가능 여부 2 2016.03.09 1921
임금·퇴직금 종합적인 부분에서 손실을 최소화 할수있는 방안이 궁금합니다. 1 2016.03.09 153
임금·퇴직금 주휴수당 미지급 받을수있나요? (2) 1월분 미지급 추가질문드립니다 1 2016.03.09 260
해고·징계 징계남용 1 2016.03.09 189
임금·퇴직금 연말정산 1 2016.03.09 259
Board Pagination Prev 1 ... 1233 1234 1235 1236 1237 1238 1239 1240 1241 1242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