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 2016.07.06 19:15

안녕하세요~ 수고 많으십니다 ^^

저는 5인미만 프렌차이즈점에서  근무했습니다 하루 11시간 근무  진정서 작성시 제가 주장한 휴게시간은 30분, 업주는 40분 주장함

월급여 175만원, 평일 7만원, 주말 9만원으로 정해서 일을 시작했습니다  30일기준으로 평일 14일 근무 주말 8일근무(22일근무기준으로)

7만 x 14일 = 98만원  9만 x 8일 = 72만원  총금액이 98만+72만= 170만원원인데 제가 추가로 5만원 더 요구해서 총 175만원에

구두로 계약하여 근무를 시작해서 1년후 퇴사했습니다

퇴사후 주휴수당을 업주에게 요청했으나 거절당한후 노동부에 진정서를 넣었습니다

노동부에 진정후 업주가 저를 월급제라고 우겨서 주휴 수당을 받을수 없게 되었고, 근로계약서 미작성은 검찰로 넘겨졌습니다

맨처음 진정서를 넣었을때 임금구성이 어떻게 된거냐고 요청하였으나  감독관이 임금구성에 대하여 자세한 답변이 없었고

그냥 그 안에 다 들어있는 것이다 라는 답변만 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시 재진정을 넣었고 근로감독관을 교체하였습니다

제가 결근했을때 하루 임금을 7만원을 삭감했는데, 근로 감독관이 업주에게 왜  7만원을  삭감했느냐고 물으니 ..

본사 방침이다 라고 하였고, 월급외에 추가로 주말 하루 일급 9만원을  통장으로 받은 내역을 보여주었더니

"주말은 본사 방침이 8만원인데 근로자가  1만원을 더 요구하여 싸우기 싫어서 주었다" 고 본사 핑계를 대었습니다

처음 진정서를 넣었을때는 업주가 저의 하루 임금이 얼마인지 알려주질 않았는데요

재진정 넣었을때는 평일 7만 주말 8만원을  본사 방침으로  뺐다고 주장하였는데

1. 제가 일당제로 근무하였다는 것을 인정 받을 수 있는지요?  처음 진정때 감독관에게  받을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면,

   다시 진정서를 넣어도 무의미 하다는 말을 들어서요 인정받기가 힘들거라고 ..

2. 인정이 된다고 하면 제가 주장한 임금으로 계산해서 받을 수 있을까요?

3 저의 주휴수당이 얼마가 될까요?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4  근로계약서 미작성에 대한 결과통보가  구약식처분내용이라고 되어있는데 벌금을 낸 금액을 알 수 있을까요?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기타업종
상시근로자수 1~4인
본인 직무 직종 서비스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6.07.21 16:40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구두상 근로계약시 일급형태로 근로계약을 체결했다는 점을 입증할수 있다면 주휴수당의 미지급을 주장하여 주휴수당을 지급청구 할수 있습니다. 우선 사용자가 근로감독관에게 진술한 내용을 근거로 일급제로 근로계약하였다 주장하시기 바랍니다.

    하루 11시간에 휴게시간이 30분이라면 1일 10.5시간의 근로가 발생됩니다. 8시간의 기본근로와 2.5시간의 연장근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8시간+3.75시간등 총 11.75시간의 근로시간수가 나옵니다. 일급 7만원을 근로시간수로 나누면 시급 5,957원으로 2016년 최저임금 시간급 6030원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주말의 경우 10.5시간 전체가 휴일근로로 1.5배를 가산하면 15.75 시간이 됩니다. 여기에 추가2.5시간의 연장근로의 경우 추가로 50%를 가산해야 합니다, 1.25시간이 나오는데 이를 더하면 17시간이 됩니다. 주말급여 9만원을 17시간으로 나누면 시간급 5,294원으로 최저임금 시간급 6030원에 미달합니다. 따라서 구두상 일급제로 근로계약한 경우 시급을 최저임금 시간급 6030원을 기준으로 책정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주휴수당 역시 6030원×8시간=48,240원을 지급받으시면 됩니다.

    현재 사용자는 최저임금 위반의 문제가 더 심각합니다. 따라서 최저임금 위반으로 진정을 추가하시어 사용자를 압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근로계약서서면교부의무 위반에 대한 처벌의 경우 500만원 이하의 벌금인데 정확하게 얼마의 벌금이 떨어질지 알기는 어렵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계약 통상임금 전환과정에서 연봉(OT포함)을 고정.... 1 2016.07.27 1633
근로시간 근무시간, 근무업무밖의 근로에 대한 보상문의 1 2016.07.27 456
휴일·휴가 육아휴직자 퇴직전 연차수당 질문드립니다. 1 2016.07.27 667
휴일·휴가 연차가 발생 될 수 있나요? 1 2016.07.27 193
기타 이것도 실업급여로 인정될 수 있는지 봐주십시오. 2 2016.07.27 697
고용보험 출산전후휴가급여 부정수급 1 2016.07.27 2097
근로계약 퇴직거부 대처방안 문의드립니다. 1 2016.07.27 248
임금·퇴직금 3년동안 일한 임금과 퇴직금에 대해 상담을 받고 싶습니다. 1 2016.07.27 748
기타 연차 1 2016.07.27 81
휴일·휴가 연차휴가 수당 1 2016.07.27 174
근로계약 국가보훈처 국가유공자 채용 관련문의 1 2016.07.27 521
근로계약 사직일 합의 관련 질문 입니다. 1 2016.07.27 1054
휴일·휴가 휴일에 실시하는 회사 워크숍 휴일 근무 인정 여부 1 2016.07.27 2118
근로시간 초과근무와 지문인식 1 2016.07.27 1358
휴일·휴가 연차갯수 계산 질문이요 1 2016.07.27 1718
임금·퇴직금 부당해고 1 2016.07.26 220
고용보험 일용직근로자의 4대보험가입관련 질의 1 2016.07.26 1833
임금·퇴직금 무급휴일과 유급휴일 시급계산 문의 1 2016.07.26 1651
근로계약 정직원이나 서류상계약은 끝난상태입니다 계약만료란 사유로 실업... 1 2016.07.26 2381
근로계약 학원 사업주가 외국인 영어 강사의 급여에서 4대보험과 연금 공제... 1 2016.07.26 1910
Board Pagination Prev 1 ... 1166 1167 1168 1169 1170 1171 1172 1173 1174 1175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