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ist 2016.09.03 15:42

수습기간 중에 있습니다. 몸이 안좋아 사직서를 내고 그냥 와버렸습니다.

사업주 측에서 감산기준으로 인해 기관에 손해를 끼친 경우 손해배상 청구를 하신다고 합니다.

이게 맞는지? 민법 660조 항을 들먹이면서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제주
회사 업종 보건업 사회복지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서비스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6.09.25 11:26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노동ok를 운영하는 저희 한국노총 법률원 부천상담소는 인터넷 상담외에도 내방상담과 전화상담 그리고 소속 노동조합의 단체협상 법률지원 및 교육등 많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8월과 9월 업무의 폭주로 인해 상담답변이 늦어졌습니다. 죄송하게 생각하며 최대한 신속하게 답변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시급한 경우 노동ok를 운영하는 저희 한국노총 법률원 부천상담소로 전화 상담(032-653-7051~2)주시면 조금더 빠른 상담이 가능합니다.

    민법 제660조에 따라 기간을 정하지 않은 근로계약의 경우 근로자의 사직 의사에 대해 사용자가 이를 거부한다면 30일이 경과해야 효력이 발휘됩니다.

    따라서 근로자는 사용자가 해당 근로자의 사직의사를 거부할 경우 30일간 출근의 의무를 지게 되는 것입니다. 근로자가 임의적으로 출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근로자의 행위를 무단결근으로 해석하여 징계등을 통한 감급조치를 취하거나 해당 근로자의 무단결근으로 사업장에 발생한 손해액에 대해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다만 손해배상은 실질적으로 근로자의 일방적 퇴사로 사용자가 입은 손해액에 한정되며 법원의 판결로 지급의 근거가 마련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장하는 손해액을 그대로 받아들일 의무는 없습니다.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손해액을 주장하며 급여등에서 감액하는 것은 근로기준법 위반입니다. 사용자는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통해 근로자에게 손해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근로자의 일방적 퇴사로 인해 손해가 발생했다는 사용자의 주장이 모두 용인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근로자의 퇴사의 배경과 사용자의 책임은 없는지?, 사업장내에서 손해발생시 보험등을 통해 손실을 보전받을 수 있는지? 등 다양한 내용을 검토해 과실율이 정해지는 만큼 사용자를 상대로 손해액에 대해 인정할 수 없다는 점을 고지하고 손해배상을 주장하며 급여에서 이를 공제하거나 급여지급을 미룰 경우 사용자를 상대로 관할 고용노동지청에 진정이나 고소를 제기하여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지금까지 받지 못한 임금과 연차수당등을 받고 싶습니다.계산 좀 ... 1 2016.09.27 403
휴일·휴가 일용직 연차휴가 1 2016.09.27 2872
고용보험 실업급여 자격 문의드립니다 1 2016.09.27 374
임금·퇴직금 정기상여금의 퇴직금 포함 여부 1 2016.09.27 2049
임금·퇴직금 상여금 및 월급 체불에 대한 자진퇴사시 실업급여 1 2016.09.27 898
기타 노동부 고소사건에서 근로감독관의 공정하지못한 수사에 피해를 ... 1 2016.09.27 1360
기타 실업급여 신청 중에 재취업 관련 문의 1 2016.09.26 725
근로계약 퇴직관련 1 2016.09.26 387
임금·퇴직금 퇴직금 관련 문의 1 2016.09.26 332
고용보험 일용직근로자 고용시 산재보험 관련문의 1 2016.09.26 2433
근로시간 근로시간, 휴게, 연차 관련 질문입니다. 꼭 부탁드려요! 3 2016.09.26 718
휴일·휴가 티직후 종속관계회사 근무로 받지못한 연차휴가 2 2016.09.26 317
여성 부인 출산휴가중 남편 육아휴직 가능한가요? 2 2016.09.26 1878
기타 부당인사 2016.09.26 316
임금·퇴직금 버스운전직 만근일수 부족시 그 책임문제? 1 2016.09.26 986
임금·퇴직금 체불임금확인서에 월급(체불임금)은 세전금액을 적어야 하는건가요? 1 2016.09.26 5893
임금·퇴직금 퇴직금 추가 발생 시 문의 1 2016.09.26 759
임금·퇴직금 기존 월급에서 퇴직연금만큼 깍는다는 경우 1 2016.09.26 1009
근로계약 계약서+통상 2 2016.09.26 365
해고·징계 해고 통지를 받았습니다. (내용 길어요.) 1 2016.09.25 542
Board Pagination Prev 1 ... 1146 1147 1148 1149 1150 1151 1152 1153 1154 1155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