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 2016.12.29 09:37

추운 날씨에 고생이 많으십니다. 급작스럽게 퇴사 소식을 듣게 되어 문의를 드립니다.

현 사장이 회사를 2개 운영을 하는데 현재 근무하고 있는 A회사가 일감이 없어 인력이 부족한 B회사로 이적하라는 것이었습니다. 

 

1. A회사에서 2016년 1월1일 근로계약서에 서명을 하고 근무를 하였습니다. 31일이 토요일 이므로 30일 퇴사로 작성을 하여도 퇴직금이 지급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에 안된다고 하면은 31일 퇴사로 바꾸면 가능한가요?

2. 1월1일 근로계약서에는 "기본급+시간외 수당(1시간)+연차수당 = 월급여", "2016년 연차사용 개수는 15개로 급여에 포함된 12개를 제외하고 사용하지 않은 연차는 소멸되며 수당으로 지급되지 않는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6월에 월급 체계가 바뀌면서 3가지 항목(기본급+시간외 수당(1시간)+연차수당 )이 모두 합쳐진 금액이 기본급으로 되어 지급되었습니다. 시간외 수당은 변동 된 기본급을 기준으로 6월 이후 지급되었습니다. 하지만 계약서를 재작성하지는 않았습니다. 월급 체계는 바뀌었는데 연차 수당에 대해서는 어떤 말도 오가지 않았습니다만 연차수당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전직원 적용)

이 경우 퇴직시 사용하지 못한 연차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3. 그리고 덧붙인 이야기는 A회사에 일감이 생겼을 경우 다시 A회사로 돌아가는 것이었습니다. 만약 1년 미만으로 일을 하고 넘어가게 되면 퇴직금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계약서 상에 "근무 기간이 1년 미만이라도 퇴직금 계산방식을 근무기간 대비로 적용하여 퇴직금을 지급하도록 한다" 라는 문구를 넣으면 받을 수 있는지요?

4.2017년 1월 2일 ~2017년 12월 29일 이면 퇴직금을 못 받는 건가요? (1월 1일은 신정 휴무이고 17년 12월 30,31일은 토,일요일 입니다)

계약서상에 "사용하지 않은 연차는 소멸되며 수당으로 지급되지 않는다"라고 명시되어 있으면 적법한 것인지와 퇴직시에도 연차수당 지급을 받을 수 있는지가 궁급합니다.

   B회사 계약서 작성시 궁금하여 문의 드립니다.

이 얘기를 12월 28일에 들었습니다. 당장 3일 뒤에 퇴사 처리가 된다는데 퇴직금 및 연차수당이 걱정이 되어 문의합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대구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7.01.04 17:01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2016년 1월 1일 입사하였다면 2016년 12월 31일까지 근로계약하여 근로제공하여야 계속근로기간 1년 이상으로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12월 31일이 토요일인지? 여부와 상관 없이 12월 30일까지 근로계약 할 경우 퇴직금 지급을 받을 수 없습니다.
    2. 연차수당의 지급청구가 가능합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12월 30일까지 근로계약 할 경우 연차휴가는 15일이 나오지 않고 11일만 나오게 되며 이는 기존 급여액에 포함되어 있는 만큼 지급청구가 어렵습니다.
    3. 가능합니다.
    4. 그렇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해고·징계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되나요? 1 2017.01.11 303
임금·퇴직금 퇴직금 일부 미지급건 1 2017.01.11 959
임금·퇴직금 정규직 전환후 퇴직금관련 1 2017.01.11 972
기타 연차 및 본급 문의ㅣ 1 2017.01.11 288
근로계약 무기계약시 호봉변동 유무가 궁금합니다. 1 2017.01.11 803
임금·퇴직금 1년 미만 퇴직시 휴가비 지급 인정유무. 1 2017.01.11 556
임금·퇴직금 유급 병가와 퇴직금 1 2017.01.11 2711
휴일·휴가 유급 육아휴직 상태서 해외 컬리지 입학가능여부와 현지 파트타임... 1 2017.01.11 864
고용보험 실업급여 근무일수 1 2017.01.11 4000
근로시간 1주 15시간미만근로자의 초과수당지급범위는 1 2017.01.11 876
임금·퇴직금 주휴수당계산 1 2017.01.10 1258
임금·퇴직금 최저임금 및 연차수당 1 2017.01.10 1560
임금·퇴직금 단기간 근로자 급여 및 수당 2 2017.01.10 723
기타 사직서를 거부 당했습니다. 1 2017.01.10 1064
임금·퇴직금 야간수당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 관련 1 2017.01.10 3690
임금·퇴직금 협상되지 않은 무기계약직 급여 인상 1 2017.01.10 1745
임금·퇴직금 퇴직금 중간정산에 대하여 1 2017.01.10 507
고용보험 사학연금 수급자가 실업급여를 수급할 수 있는지? 1 2017.01.10 7880
해고·징계 계약직 부당해고 사유의 타당성 여부 1 2017.01.10 2254
고용보험 실업급여와 이직확인서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2017.01.10 1815
Board Pagination Prev 1 ... 1114 1115 1116 1117 1118 1119 1120 1121 1122 1123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