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yaass5 2017.08.22 22:43

수고하십니다. 파견법과 관련한 질의를 아래와 같이 드립니다. 답변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A업체는 시설경비업무를 아웃소싱 하기 위해 사내 하도급 업체 B를 설립하여 A업체와 B업체 사이에는 하도급계약을 체결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경비업법 제21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경비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업체는 같은 법 제41항에 의하여 지방경찰청으로부터 경비업의 허가를 받아야만 합니다. 그런데 B업체는 경비업 허가를 받지 않았습니다.<?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다음

☞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 발췌
5(근로자파견대상업무 등) ①근로자파견사업은 제조업의 직접생산공정업무를 제외하고 전문지식기술경험 또는 업무의 성질 등을 고려하여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업무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업무를 대상으로 한다
.
대통령령 제21항 별표1의 내용 中
...
한국표준직업분류(91221): 수위 및 경비원의 업무(경비업법 제21(시설경비업무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도급받아 행하는 영업)에 따른 경비업무를 제외한다).

☞ 제6조의2(고용의무) ①사용사업주가 제5조제1항의 근로자파견대상업무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업무에서 파견근로자를 사용하는 경우(5조제2항에 따라 근로자파견사업을 행한 경우는 제외한다)에는 해당 파견근로자를 직접 고용하여야 한다.

☞ 질의사항: 상기 법률과 같이 지방경찰청으로부터 경비업 허가를 받지 않은 업체가 경비업무를 하도급(근로계약서상에 도급계약을 언급 함) 받아 경비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파견법을 위반한 것이 아닌지요? , 본인을 경비원으로 고용한 B경비업자가 「경비업법」 제4조제1항에 의한 경찰청의 허가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시설경비업무에 대해 도급계약을 하고 동 현장에서 본인을 사용하였다면 「파견법」 제6조의21항제1호와 같이 근로자파견대상업무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업무에 사용하여 파견법을 위반한 것이 아닌지요? 그리고 만약 파견법을 위반 하였다면 파견법 제6조의2처럼 직접고용에 대한 의무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시설관리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서비스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7.09.21 22:55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파견근로자보호등관한법률51항과 그에 따른 시행령 [별표1]에 따라 수위 및 경비원의 업무는 파견이 가능하나 경비업법2조제1호에 따른 경비업무는 근로자파견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즉 경비를 필요로 하는 시설 및 장소(이하 "경비대상시설"이라 한다)에서의 도난·화재 그 밖의 혼잡 등으로 인한 위험발생을 방지하는 업무로서 시설경비업무는 근로자파견대상에서 제외되는 업무입니다.

    그러나 시설경비업무 전체를 도급주는 것은 근로자파견이 아닌 만큼 가능합니다만, 1)도급을 주는 업체와 받는 업체사이에 실질적으로 독립성이 없는 사내하도급 업체라면 이는 위장도급의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B사업장과 근로계약하여 파견받아 사용하는 근로자는 A업체가 실질적 사용자가 됩니다. 직접고용의 의무가 발생될 것입니다.

    노동현안에 대한 소식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고용보험 수술 후 퇴직 실업급여 가능? 1 2017.08.31 2185
여성 첫째 남은 육아휴직 과 둘째 출산 및 육아휴직 함께 쓸수 있는지 1 2017.08.31 4344
임금·퇴직금 근속수당 최저임금 산입여부 1 2017.08.31 1289
근로계약 수습기간 4대보험 미가입 1 2017.08.31 13611
근로계약 일주일근무 후 퇴사 1 2017.08.31 2926
기타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임금 산정 및 근무 제도 변경 1 2017.08.31 153
임금·퇴직금 일당 임금 체불 금액은 소액이지만 피해자 다수 1 2017.08.30 875
최저임금 최저임금 해당여부 1 2017.08.30 220
휴일·휴가 물량 감소로 일시 휴업시 임금지급 1 2017.08.30 348
임금·퇴직금 임금계산법 1 2017.08.30 371
근로계약 근로계약서 미작성 후 무단퇴사에 대해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1 2017.08.30 2971
휴일·휴가 한글날(법정공휴일) 휴무를 다른 날로 옮겨서 쉰다고 합니다. 1 2017.08.30 292
기타 아파트 관리사무실에서 보안과 시설팀이 택배업무도 해야하나요? 1 2017.08.30 800
임금·퇴직금 감단직 근로자입니다. 주야비 최저임금계산줌 부탁드립니다. 1 2017.08.30 1549
기타 가족수당 소급관련 1 2017.08.30 654
근로계약 사규에 의해 서류 미제출시 급여를 줄 수 없다는 사업장에 근무하... 1 2017.08.30 339
휴일·휴가 연월차수당 포함 계약서 관련 문의 1 2017.08.30 778
해고·징계 부당전직구제신청괁련 1 2017.08.29 318
최저임금 최저임금 계산시 주휴수당 포함 여부 1 2017.08.29 1363
고용보험 해외 지사 파견 계약직 고용보험 가입 관련 1 2017.08.29 784
Board Pagination Prev 1 ... 1028 1029 1030 1031 1032 1033 1034 1035 1036 1037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