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16입사하여 2021.12.31까지 근무하고 퇴사하면 입사일기준 미사용연차는 몇개인가요?

회사 사정으로 연차를 사용하지 못해서 퇴직시 정산하기로 했습니다.

회계사무실 계산으로는 26개로 정산해주시는데

만2년 근무했는데 30개도 안되는 것이 이해가 안됩니다.

노동부ok에서 연차자동계산시 41개로 계산되는 미사용시 수당지급일 22.12.16 이라서 2년차 연차15개 빼고 정산한 것 같습니다. 제가 퇴직시 받을 수 있는 연차갯수 좀 알려주세요 41개 아닌가요?
첨부 이미지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남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1.12.28 12:21작성

    노동OK입니다.

    결론적으로 귀하가 퇴직시 지급받아야 할 연차수당은 총41일분 입니다. (재직기간중 연차휴가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경우)

    2020.12.16~2021.12.15. 근무기간에 대해서는 2021.12.16.에 15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권리가 발생하는데,

    1) 계속재직자의 경우에는 2021.12.16~2022.12.15.까지 15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기간중 미사용한 연차휴가에 대해서는 2022.12.16.에 수당청구권이 발생합니다.

    2) 중도퇴직자(2022.1.1 퇴직)의 경우에는 2021.12.16~12.31까지  15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기간중 미사용한 연차휴가에 대해서는 퇴직과 동시에 수당청구권이 발생합니다. 즉  근로기준법에서는 "휴가발생"을 위해서는 1년간 계속근로할 것을 조건으로 하지만, "수당발생"에 대해서는 수당발생일로부터 1년간 계속근로할 것으로 조건으로 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회사측에서 위 2)의 부분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이를 잘 설명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시급으로월급계산 주휴수당미지급 1 2021.12.31 890
임금·퇴직금 퇴사예정자 연차 수당 관련 1 2021.12.31 221
임금·퇴직금 퇴직금 문의 1 2021.12.31 1243
근로계약 연봉과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1 2021.12.31 161
휴일·휴가 주휴일과 공휴일이 혼재되어 있다면 1 2021.12.31 291
근로계약 감시적근로자 적용대상 1 2021.12.31 561
휴일·휴가 연차 대체 관련 문의드립니다. 1 2021.12.31 169
비정규직 파견직 식대 차별 처우에 대하여 1 2021.12.31 1252
휴일·휴가 휴가 계산 문의드립니다. 2 2021.12.31 120
고용보험 휴직급여라는 제도는 무언가요~? 2 2021.12.31 105
임금·퇴직금 통상임금 관련 수당 등 문의 (꼭 도와주세요. ㅠㅠ) 1 2021.12.31 1030
휴일·휴가 병역의무수행 연차수당 2021.12.31 66
여성 육아휴직 복귀 여직원 계열사로 발령관련 문의코자 합니다. 1 2021.12.31 165
근로시간 근로시간, 시간외근무수당, 다른 법 1 2021.12.31 318
근로계약 근로계약서 상 근무일자 궁금합니다. 1 2021.12.31 895
임금·퇴직금 포괄임금제 및 급여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2 2021.12.31 308
최저임금 같은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일부에게만 식대를 지급 1 2021.12.31 451
임금·퇴직금 퇴직금 및 연차수당 어떻게 될까요 1 2021.12.30 426
임금·퇴직금 실업급여 관련 1 2021.12.30 180
임금·퇴직금 연차수당 계산 문의 드립니다. 1 2021.12.30 239
Board Pagination Prev 1 ...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