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랑말랑a 2023.03.20 17:39

최저임금 위반여부 질문.

 

연봉계약서를 작성하려고 아래와같이 하면 최저임금 위반인지 아닌지 질문드립니다.

 
연봉은 29,000,000원으로 기본급18,620,000원, 제수당7,980,000원, 식대2,400,000원(월20만원)으로 구성. 
계약서상 제수당에는 법정수당(연장,초과,휴일)과 회사임의수당으로서 모든항목을 포함한것으로 본다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연봉에서 식대를 빼고 70%는 기본급으로 30%는 제수당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구성이 이렇게 되어있으면 최저임금에 위반되는지요? 
위처럼 계약서 작성했을때 제수당은 최저임금 계산할떄 포함되서 문제가 없는건가요???
인터넷 찾아보니까 제수당을 정기적으로(저희같은 경우에는 30%) 지급하면 최저시급에 포함해 산정되서 위반이 아니라고 본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3.03.31 11:43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최저임금법에 따르면 최저임금 위반을 판단하는 경우 '식비, 숙박비, 교통비 등 근로자의 생활 보조 또는 복리후생을 위한 성질의 임금 중 통화로 지급하는 임금의 월 지급액 중 해당 연도 시간급 최저임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된 월 환산액의 100분의 1(23년 기준)'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즉 식대 중 179,894원은 최저임금월액에 포함하여 계산합니다.

     

    또한 귀하의 경우는 포괄임금제로 보이는데 포괄임금제의 최저임금 위반 여부는 '근로시간의 산정이 어려운 경우가 아니라면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시간에 관한 규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고 볼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시간에 따른 임금지급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경우에 포괄임금제 방식의 임금 지급계약을 체결한 때에는 그것이 근로기준법이 정한 근로시간에 관한 규제를 위반하는지를 따져, 포괄임금에 포함된 법정수당이 근로기준법이 정한 기준에 따라 산정된 법정수당에 미달한다면 그에 해당하는 포괄임금제에 의한 임금 지급계약 부분은 근로자에게 불이익하여 무효라 할 것이고, 사용자는 근로기준법의 강행성과 보충성 원칙에 의하여 근로자에게 그 미달되는 법정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입니다.(사건번호 : 대법 2014도8873,  선고일자 : 2016-09-08)

     

    따라서 먼저 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운 경우 등 포괄임금제가 적법한지 확인이 필요하고, 둘째 포괄임금제가 효력이 없다면 기본급과 식대를 기준으로 최저임금 위반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최저임금 계산은 당홈페이지 최저임금 계산기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입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여성 육아기단축근무 시간 배분에 대한 문의 1 2023.04.10 610
임금·퇴직금 감단미승인시 급여계산 1 2023.04.10 339
해고·징계 부당해고를 당했습니다 1 2023.04.10 485
고용보험 실업급여 문의드립니다 1 2023.04.10 221
근로계약 사무직 포괄임금제(연봉제) 근로계약 및 급여산정 관련 문의 2 2023.04.09 1469
휴일·휴가 연차발생시점 및 미사용 연차수당 관련 1 2023.04.08 2788
기타 미사용 연차수당, 해고예고수당, 근로계약서 미교부 1 2023.04.08 646
휴일·휴가 휴일이 제대로 산정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1 2023.04.08 135
근로계약 실업급여 수령이 가능할까요? 1 2023.04.08 291
기타 근로시간변경에 따른 연차계산법 1 2023.04.08 395
근로계약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른 연차휴가 변경 임금보전의 타당성 여부 2023.04.07 1340
비정규직 기간제 근로자 차별 여부 1 2023.04.07 293
임금·퇴직금 연차수당 , 휴일근로수당 질문입니다. 1 2023.04.07 302
임금·퇴직금 대체휴무나 연차를 내고 근무하는 경우 시간외근무 보상이 가능한... 1 2023.04.07 1021
근로계약 회사 다니기 불안해서 퇴사하고 싶어요 1 2023.04.07 484
임금·퇴직금 요일제 아르바이트의 대체휴일 급여 문의 1 2023.04.07 876
휴일·휴가 대체휴일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1 2023.04.07 225
임금·퇴직금 임금계약의 종료 후 임금 삭감 문제 1 2023.04.07 191
임금·퇴직금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근무 사용중인 근로자의 퇴직금 정산 1 2023.04.07 3800
임금·퇴직금 주중 연차 사용 후 휴무일 근무 시 통상임금 지급여부 및 연장수... 1 2023.04.07 1979
Board Pagination Prev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