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루 2023.05.23 15:15

 

안녕하세요.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직입니다.

 

근로기준법으로 기준이 되고 있고. 

 

현재 2022-02-07~2023-05-07  무급 육아휴직을 썼습니다. 

 

입사일이 2010년 7월 14일이고, 입사일 기준으로 연차를 부여해줍니다.

 

유급 육아휴직만 하다가 이번에 무급으로 처음으로 일년 넘는 기간을 쉬었는데,

이런 경우에는 연차가 어떻게 되나요 ? 

 

언제부터 연차가 생기는 건가요 ?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공공행정
상시근로자수 300인이상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3.06.07 11:08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근로기준법 60조 6항에 따르면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제1항에 따른 육아휴직으로 휴업한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간주하여 연차휴가를 부여하게 됩니다. 

    다만 출근으로 간주하는 1년을 초과하는 육아휴직의 경우 별도의 약정이나 특약이 없다면 무급육아휴직기간(1년을 초과하는 휴직기간)도 반드시 출근한 것으로 간주할 의무는 없습니다.

     

    다만 사용자의 허락하에 부여받은 약정 육아휴직이나 업무 외 부상 질병 휴직은 근로제공 의무가 정지되는 휴직으로써 결근과는 다르므로 1일 소정근로시간*(연 소정근로일수-휴직일수)/원래의 연차휴가갯수 계산, 비례하여 연차휴가를 부여하면 될 것 입니다.

     

    즉 거칠게 계산한다면 10개월을 무급휴직을 사용한 경우 8시간*10/12*원래의 휴가갯수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계약 일용직 사례 1 2023.06.07 284
임금·퇴직금 오픈런 줄서기 하루 알바 급여 전부 미지급 시에 대해 질문합니다 1 2023.06.07 480
근로계약 본사 계약직에서 자회사 정규직(업종이 다름)으로 전환 시 재직 ... 1 2023.06.07 304
산업재해 재 산재신청이 가능한지요 4 2023.06.07 325
임금·퇴직금 퇴직금, 실업급여 수급 1 2023.06.06 227
휴일·휴가 법정공휴일과 유급무급주휴일 중복 시 대체휴일 지급 판단 문의 1 2023.06.06 2079
임금·퇴직금 최저시급,추가근무,회사사정으로 며칠쉬게될때 급여차감부분 1 2023.06.06 320
근로시간 점심시간이 지켜지지 않습니다. 1 2023.06.05 362
임금·퇴직금 토요 당직근로 수당 1 2023.06.05 357
휴일·휴가 연차휴가 및 급여정산 1 2023.06.05 335
임금·퇴직금 지난 석가탄신일 근로 1 2023.06.05 155
기타 질병 실업급여 1 2023.06.05 886
임금·퇴직금 구두 계약한 성과금의 미지급 2023.06.05 213
임금·퇴직금 육아휴직자 복직 후 통상임금 문의드립니다. 2023.06.05 405
근로계약 불리한 취업규칙 변경관련 과거날짜에 동의서 작성 강요 2023.06.05 265
휴일·휴가 무급휴가 주말 포함무급인지? 1 2023.06.05 1004
임금·퇴직금 퇴사후 월급 1 2023.06.05 1730
근로시간 근무시간 증가 1 2023.06.05 122
해고·징계 이중 징계 여부 문의 드립니다. 2 2023.06.04 589
해고·징계 공직자 임용전의 행위를 이유로 한 징계관련 2023.06.04 170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