벅찬가슴 2023.07.19 05:16

2014년 9월 6에 입사하여 2023년 8월 1일에 퇴사 예정 근로자입니다.

미리 퇴직금 예상 금액을 알아보려고 퇴직금 계산기로 계산해보니 계산 과정에 평균임금 계산시 3개월 급여총액 + 연간 상여금 + 연차수당을 입력하던데 현재 근무중인 회사는 연차를 사용하지 않으면 나오는 연차수당을 년 마다 지급되지 아니하고 퇴사시 퇴직금과 함계 미지급된 연차수당을 모두 정산하여 주는 상황입니다.

그러면 퇴직금 계산기에 평균임금 계산 항목에 연차수당을 0원으로 입력해야 하는지 아니면 매년 지급됐다고 가정하고 해당 금액을 입력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시뮬레이션으로 두가지 경우의 수로 모두 계산해보니 퇴직금 금액이 상당히 많이 차이가 나던데 

저같은 경우는 퇴직금 수령시 연차수당이 실제로 매해 나오지 않았지만 나왔다고 가정하고 금액을 산출하여 받아야 하는지

아니면 연차수당이 0원으로 산출해서 받아야 하는지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단순노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3.07.22 10:20작성

    노동OK입니다.

    퇴직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임금을 근로기준법에서는 '평균임금'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평균임금은 이를 계산할 필요가 있는 날(=계산 사유 발생일=퇴직시에는 퇴직일)을 기준으로 '퇴직 전전년도 출근율에 의하여 퇴직 전년도에 발생한 연차휴가 중 미사용하고 근로한 일수에 대한 연차휴가미사용수당액의 3/12'를 반영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연차유급휴가청구권·수당·근로수당과 관련된 지침)

    회사가 미사용연차휴가에 대한 임금(연차수당)을 매년마다 지급하지 않는다면 체불에 해당하지만, 체불 여부와는 별도로 연차수당 청구권이 발생한 날을 기준으로 지급된 것 간주하고 평균임금에 반영해야 합니다. 

    회사의 연차휴가 부여기준이 개별 근로자 마다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하는지 아니면, 회사의 회계기준일(매년 1월1일)을 기준으로 하는지 알수는 없으나, 입사일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라면 아래와 같습니다.

    • 2020.9.6.~2021.9.5. 기간의 출근율이 80% 이상인 경우 2021.9.6~2022.9.5.기간중에 18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기간중 전혀 사용하지 못했다면, 2022.9.6.에 연차수당 청구권이 발생(지급 여부, 수령 여부와 무관)한 것이고, 이는 퇴직 전 1년(2022.8.1~2023.7.31) 중의 임금이므로 그 금액의 3/12에 상당하는 액수는 평균임금에 반영되어야 합니다.
    • 2021.9.6.~2022.9.5. 기간의 출근율이 80% 이상인 경우 2022.9.6~2023.9.5.기간중에 18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기간중인 2023.8.1.에 퇴직함으로써 전혀 사용하지 못했다면, 2023.8.1.에 연차수당 청구권이 발생(지급여부와 무관)한 것이고, 이는 퇴직 전 1년(2022.8.1~2023.7.31) 중의 임금이 아니라, 퇴직일(2023.8.1.)에 발생한 임금이므로 평균임금에 반영되지 않으며, 퇴직시 퇴직금과 별도로 수령하면 됩니다.

    관련정보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시간 점심시간 근무에 대한 수당을 받고 싶습니다 1 2023.08.03 444
해고·징계 부당해고에 해당되는지 알려주세요 1 2023.08.03 444
임금·퇴직금 연장수당과 연차수당이 문의 드립니다. 1 2023.08.03 468
임금·퇴직금 퇴직금 정산시 근로계약서 특약사항 효력 여부 1 2023.08.03 566
휴일·휴가 휴업수당 질문드립니다. 1 2023.08.03 231
임금·퇴직금 연차수당과 퇴직금이요ㅜ 질문이 많지만 부탁드립니다. 1 2023.08.03 609
휴일·휴가 퇴사시 연차 정산 문의 1 2023.08.03 296
근로시간 단기(2일) 행사장 운영 아르바이트를 하는데 초과근무수당을 받을... 1 2023.08.03 416
고용보험 권고 사직 이후 일당(12만원) 프리랜서로 도와 달라는 사장님 1 2023.08.03 564
근로계약 위촉강사 손해배상 여부 1 2023.08.02 256
휴일·휴가 근로계약서상에 연.월차 휴가에 대한 약정이 있는 경우 1 2023.08.02 703
근로시간 근로시간 단축이면 복지도 비례해서 단축인가요? 1 2023.08.02 194
임금·퇴직금 교대근무 연차 부여 및 수당계산 1 2023.08.02 972
근로계약 첨부한 근로계약서 내용에 따라 일방적 발령이 가능한지 문의드립... 1 2023.08.02 534
휴일·휴가 포괄임금제에서의 무급 보건휴가 또는 결근시 공제되는 임금 1 2023.08.02 1036
기타 실업급여 수령 가능여부 1 2023.08.02 722
고용보험 실업급여 수급가부 1 2023.08.02 263
고용보험 고용보험 가입나이 / 변경된 만나이기준? 1 2023.08.01 3560
임금·퇴직금 받은 퇴직금을 회사로 다시 송금해도 문제 없나요? 1 2023.08.01 216
임금·퇴직금 퇴직금 수령 가능 여부 문의드립니다. 1 2023.08.01 238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