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08.24 14:32

안녕하세요 gkwjddk 님, 한국노총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43조에서는 '채용시 건강진단'에 대해 '근로자를 신규로 채용하는 때에 사업주가 실시하는 건강진단'을 말한다고 정하면서 채용시 사업주가 이를 실시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소용비용에 대해서는 과거 의료보험법을 감안하여 매년 노동부 장관이 최소 건강검진비용을 공시해왔으며 97.10에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건강진단에 소요되는 검진비용은 의료보험법에서 정한 기준에 따르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즉, 채용과 동시에 사업주가 실시하는 건강진단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의료보험법을 참작하여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으나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99조에서 "다른 사업장에서 당해 연도중에 채용시건강진단 또는 일반건강진단을 받았거나 채용시 건강진단의 제1차건강진단검사항목을 모두 포함하는 특수건강진단 등을 받아 건강진단결과를 기재한 서류 또는 그 사본을 제출한 근로자에 대하여는 채용시 건강진단을 실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으므로 사실상 이를 활용하여 채용시 건강진단을 근로자가 스스로 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것에 대해서는 어찌되었건 사용자가 실시한 건강진단이 아니라 근로자가 스스로 실시하는 건강진단이 되는 이상 이 비용을 사용자에게 부담토록 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gkwjddk wrote:
> 안녕하세요? 질문마다 성실하게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건강검진 비용에 관해서 문의 드립니다.
> 저희 회사는 신규사원 채용 시 건강진단서를 받고 있습니다.
> 이 때 그 사원은 아직 의료보험증이 나오지 않은 상태로 건강검진을 받게 되는 데, 그 비용을 개인이 부담해야 하는 지, 회사에서 부담해야 하는 지 논의가 생겨서요.
> 답변 부탁 드립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Re: 파견근로 문제입니다 2000.09.01 615
징계 `무급정직`과 연월차수당과의 상관관계 2000.09.01 776
Re: 징계 `무급정직`과 연월차수당과의 상관관계 2000.09.01 1432
부당해고에 관하여.. 2000.09.01 355
Re: 부당해고에 관하여.. 2000.09.02 409
부당해고로 봐도 되는지 2000.09.01 374
Re: 부당해고로 봐도 되는지 2000.09.01 395
부당하다고 생각되는 서약서를 제출해야 되나요? 2000.09.01 633
Re: 부당하다고 생각되는 서약서를 제출해야 되나요? 2000.09.02 801
집회결사의 자유 2000.09.01 508
Re: 집회결사의 자유 2000.09.02 469
이미 받은 상여금을 회사가 반납을 요구 할 수 있습니까? 2000.09.01 430
Re: 이미 받은 상여금을 회사가 반납을 요구 할 수 있습니까? 2000.09.02 532
연봉제이후 상여금에 관해 2000.09.01 476
Re: 연봉제이후 상여금에 관해 2000.09.02 458
휴업, 휴직, 쟁의기간에 대한 처리 질문입니다. 2000.09.01 937
Re: 휴업, 휴직, 쟁의기간에 대한 처리 질문입니다. 2000.09.02 529
퇴직금을 못 받았어요 2000.09.01 649
Re: 퇴직금을 못 받았어요 2000.09.02 896
2717번(퇴직금)에대해문의드렸었습니다..그런데.. 2000.09.01 400
Board Pagination Prev 1 ... 5720 5721 5722 5723 5724 5725 5726 5727 5728 5729 ... 5861 Next
/ 5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