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2.02 00:04

안녕하세요 관리직 님, 한국노총입니다.

1. 월급제근로자라하더라도 당사자간에 약정한 근로시간을 초과한 근로에 대해서는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하여야 함은 마땅하며 재론의 필요는 없을것 같습니다. 즉, 18시30분 이후의 근로는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른 연장근로이며 이를 지급치 않는 것은 근로기준법 제55조 위반에 해당합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노동OK 40번 사례 【월급제 근로자도 연장, 야간근로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지?】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만약 연장근로수당을 지급치 않는다면 이는 임금체불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자세한 해결방법은 <임금체불 해결방법>코너를 참조하면각 사례별로 유용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필요한 경우 전체자료를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해설을 참조로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관련 노동법 조항에 대한 검색은 노동법령 검색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관리직 wrote:
> 1. 저는 중소기업(종업원:8명)의 공장장으로 근무하던중에 갑자기 해고통보 되었습니다.
> 2. 최초 입사시에 근무시간은 08:30분 부터 18:30분까지로 하였고, 봉급은 200만원으로 하였
> 으며, 기타 수당등으로 분류하여 제공한다고 하였습나다.
> 3. 처음달에는(금년6월) 연장근무에 대한 수당이 지급되었으나, 두번째달에는 성과금 지급 및
> 보너스 지급 규정정리 관계로 연장수당이 지급되지 않았고,
> 4. 석달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Re: 체불임금(체불임금을 입증할 증거자료과 없을 때) 2001.12.04 1206
답답해서요 2001.12.04 320
Re: 답답해서요 2001.12.04 316
시간외수당에 대해서... 2001.12.04 360
Re: 시간외수당에 대해서.(식사시간은 근로시간에 해당되지 않나... 2001.12.05 1864
선거관리위원회의 쟁계의건 2001.12.04 895
Re: 선거관리위원회의 쟁계의건 2001.12.05 332
이직사유 수정 가능한가요? 2001.12.04 586
Re: 이직사유 수정 가능한가요? 2001.12.05 1647
최저임금에 대해.. 2001.12.04 357
Re: 최저임금에 대해..(최저임금에 포함되는 임금의 범위) 2001.12.05 923
체불임금에 대해.. 2001.12.04 385
Re: 체불(노동부에 진정하였음에도 체불임금이 해결되지 않은 경우) 2001.12.05 350
[질문]계약만료되어서 다른직장을 구할려고 하는데.. 2001.12.04 383
Re: [질문]계약만료되어서 다른직장을 구할려고 하는데.. 2001.12.05 521
연봉제와 호봉제의 혼용 2001.12.04 647
Re: 연봉제와 호봉제의 혼용 2001.12.05 1144
사용자측의 일방적인 용역회사로의 변경 2001.12.04 375
Re: 사용자측의 일방적인 용역회사로의 변경 2001.12.05 393
수습기간의 월급을 다 줄수 없다구 하는데... 2001.12.04 793
Board Pagination Prev 1 ... 5315 5316 5317 5318 5319 5320 5321 5322 5323 5324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