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2.01 19:30
사용자가 최저임금법 위반, 연장근로의 위반 그리고 휴일근로, 유급휴일 금품청산에 관련된 근로기준법을 위반하고 있습니다. 저는 퇴직 후 14일이 지나 노동부에 신고하고, 그곳에서 확인받은 체불임금을 사용자에게 받아낼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그때가서 제게 마지못해 체불임금을 지급하겠죠...

그때는 벌써 사용자가 위에 해당하는 근로기준법을 위반 했는데, 왜 그에 대한 벌칙을 받지 않는 것인지요?
다시 질문할까요? "법을 위반 했는데, 왜 처벌을 주지 않는 것입니까?" 법은 법인데 처벌이 없는 법이군요... 체불임금을 지급하는 것은 처벌이 아니라 당연히 노동자에게 주어져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근로기준법은 위반해도 되는법... 근로자의 요구와, 노동부의 명령이 있을때, 그때가서 지키면 되는법 아닙니까? 어쩔수 없는 근로기준법의 한계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뭔가 안타까운 마음에 글을 쓰다보니, 상담소 분들께 따지는 듯한 어투가 된것 같습니다. 오해없으시긴 바랍니다. 항상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12804 추가질문(연차수당관련) 2002.02.05 391
Re: 12804 추가질문(중간입사자의 연차휴가 여부) 2002.02.06 391
월차휴가사용=불이익?? 2002.02.04 451
Re: 월차휴가(월차휴가의 사용시기는 근로자가 자유로인 선택가능!) 2002.02.04 1006
이런 경우에도 퇴직금을.... 2002.02.04 365
Re: 이런 경우에도(상시근로자수 5인 이상인 사업장의 기준은) 2002.02.04 416
월급에 관한 질문입니다.. 2002.02.04 355
Re: 월급에 관한(근로한 날에 대한 임금은 지급받으셔야..) 2002.02.04 375
아파트수위계약및고용승계에관하여 2002.02.04 1258
Re: 아파트수위계약및고용승계에관하여 2002.02.04 1289
출퇴근 거리가 멀어 퇴직하는 경우의 제출서류 2002.02.04 957
Re: 출퇴근 거리가 멀어 퇴직하는 경우의 제출서류 2002.02.05 1379
퇴직금 산정시 평균임금에 대해서... 2002.02.04 335
Re: 퇴직금 산정시(평균임금산정시 상여금 산입요령) 2002.02.04 989
계약직 근로게약서 서식 2002.02.04 1235
Re: 계약직 근로게약서 서식 2002.02.04 1042
연수비용을 퇴직금에서 공제하는것이 옳은지.. 2002.02.04 652
Re: 연수비용을(퇴직금은 전액이 근로자에게 지급되어야 합니다.) 2002.02.05 1054
12811추가질문입니다. 2002.02.04 354
Re: 12811추가질문입니다. 2002.02.05 321
Board Pagination Prev 1 ... 5216 5217 5218 5219 5220 5221 5222 5223 5224 5225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