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3.12 10:34

안녕하세요. 최민 님, 한국노총입니다.

1. 상여금에 관해서는 법에 명시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회사의 취업규칙이나 급여규정 혹은 노조와의 단체협약에 명시된 지급기준, 지급대상, 지급시기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한 명시적인 규정이 없다면, 해당 상여금 제도가 사실상 근로조건으로 확립되어 사업장내에 관행화되어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관행에 의하여 확립되어 근로에 대한 대가로 지불되고 있고 있어 해당 상여금이 임금으로 볼 수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실제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한 날만을 일할 계산하여 해당 상여금을 지불하는 것을 위법하다할 수는 없습니다.

2. 한편 귀하의 질문 중, "회사 사정으로 무급휴가를 갔다." 고 언급한 부분이 있는데, 구체적인 사실관계가 어떠했는지 궁금하군요. 만약 무급휴가가 사용자의 작업량부족 등의 이유로 일방적으로 실시된 것이라면 근로자는 근로기준법 제45조의 휴업수당을 지불받을 수 있을 것이나, 그것이 아니라 회사가 긴박한 경영상 어려움을 겪게 되어 정리해고를 막기 위한 해고회피수단으로 사용한 정황이 인정되고 (무급휴직을 실시하지 않으면 해당근로자를 해고대상자로 삼게 되는 상황에 처해있었다면) 그에 대하여 근로자들도 동의하였다면 회사가 휴업수당을 지불할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이 노동부의 견해입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최민 wrote:
> 안녕하세요..
>
> 하나궁금 한점이 있어서요.....
>
> 저의 회사는 상여금이 600%인데요
>
> 1월 18일까지 회사 사정으로 무급휴가를 했어요..
>
> 이번달에 상여금이 2달치가 아닌 40일치만 나왔거든요
>
> 상기와 같이 계산이 맞나요?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연주를 하고 페이를 안주면 호소할때가 없네요 2002.03.13 564
Re: 연주를 하고 페이를 안주면 호소할때가 없네요 2002.03.14 521
퇴직금에 관한 질문입니다. 2002.03.13 358
Re: 퇴직금에 관한(수습기간도 계속근로연수에 포함됩니다.) 2002.03.14 901
실업급여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도움부 2002.03.13 359
Re: 실업급여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도움부 2002.03.14 360
산업재해에대해 문의 드립니다. 2002.03.13 423
Re: 산업재해에(산재보험에 가입하고 있지 않아도 산재처리 가능) 2002.03.14 1031
과외 알선 소개료가 첫달은 다 달라고 합니다 2002.03.13 527
Re: 과외 알선 소개료가 첫달은 다 달라고 합니다 2002.03.14 1076
파견근로자의퇴직금.... 2002.03.13 492
Re: 파견근로자의퇴직금.... 2002.03.14 3480
퇴직금에 관련된 질문인데요.. 2002.03.13 376
Re: 퇴직금에 관련된 질문인데요.. 2002.03.14 369
이제 지칩니다.. 2002.03.13 359
Re: 이제 지칩니다.(자신감있게 문제에 다가서세요.) 2002.03.14 370
실업금 받을 수 있겠죠? 2002.03.13 656
Re: 실업금 받을 수 있겠죠? 2002.03.14 710
연차휴가에 대해 2002.03.13 402
Re: 연차휴가에 대해(중도입사자의 연차유급휴가부여는?) 2002.03.14 373
Board Pagination Prev 1 ... 5149 5150 5151 5152 5153 5154 5155 5156 5157 5158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