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11.12 13:37
안녕하세요 kingkazama 님, 한국노총입니다.

근로기준법 제61조에서는 감시,단속적근로자에 대해서는 노동부에 "감시,단속적근로자에 대한 근로시간등의 적용예외승인"을 받은 경우, 당해 감시,단속적근로자에 대해 근로기준법이 정한 근로시간 및 휴일,휴게시간과 연장,휴일근로의 적용을 받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임원의 운전기사는 보일러,기관실 기사 등과 함께 단속적업무(실근로제공시간에 비해 대기시간등이 상당히 길어 업무행위가 연속적으로 진행되지 아니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로 봅니다.
따라서 근로기준법 제61조에서 정한 조치를 밟는다면 귀하가 문의하신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더이상의 답변은 저희 상담소의 본의와 달리 당해 근로자에게 불이익이 있을 수 있어 자제하오니 이점 널리 양해하여 주시기 바라며, 참고적으로 위 답변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노동자료실>에 등록된 37번 자료 【포괄임금정산제 해설 (판례와 사례)】을 다운받아 참고하시면 다소 도움이 될 것입니다.

관련 노동법 조항에 대한 검색은 노동법령 검색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좋은하루되시기 바랍니다.





kingkazama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 항상 빠르고 명쾌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직원중 운전기사의 초과근로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 회사 업무시간이 아침 8 시~ 오후 5시 까지입니다. 이 업무시간을 초과한 초과근로에 대해 가산임금을 주고 있습니다.
> 운전기사의 경우 임원들을 수행하는 데요. 통상 아침과 저녁에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통상의 업무시간에는 기사대기실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고요.
> 일반적으로 지시와 통제속에 자유롭냐 자유롭지 않냐에 따라 업무시간을 파악하겠지만, 기사의 경우 단지 대기를 하고 있을 뿐인데요..
> 결국 많은 기사들이 업무일지를 보면 24시간 중에 18~20시간을 일하는 꼴이 되어버립니다.
> 현행 방법이 맞는 건지, 아니면 운행시간만을 따졌을 경우 큰 무리는 업는지 궁금합니다.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종전 퇴사 한 회사에서 권고 퇴직됬는데 정당한 것인지.. 2003.11.14 1022
【답변】 종전 퇴사 한 회사에서 권고 퇴직됬는데 정당한 ... 2003.11.14 438
근무시간에 대한질문입니다 2003.11.13 381
【답변】 근무시간에 대한질문입니다 2003.11.14 445
임금을 제대로 계산해 주세요? 2003.11.13 369
【답변】 임금을 제대로 계산해 주세요? 2003.11.15 328
노동부에 다녀왔습니다...근데... 2003.11.13 502
【답변】 노동부에 다녀왔습니다...근데... 2003.11.15 482
34117번 대한 추가 질문입니다 2003.11.13 385
【답변】 34117번 대한 추가 질문입니다 2003.11.14 333
대리 진정(고발)이 가능한지 2003.11.13 644
【답변】 대리 진정(고발)이 가능한지 2003.11.14 827
조부모상시 무급휴가가 정당한가요? 2003.11.13 5882
【답변】 조부모상시 무급휴가가 정당한가요? 2003.11.14 4481
sofa적용되는 외국인회사에서의 강제퇴사 2003.11.13 916
【답변】 sofa적용되는 외국인회사에서의 강제퇴사 2003.11.14 1446
산재처리가 가능한지 빨리 처리좀 부탁드립니다. 2003.11.13 872
【답변】 산재처리가 가능한지 빨리 처리좀 부탁드립니다. 2003.11.14 1470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은 하였지만..왠지 자신이 없어지려구 합니다 2003.11.13 345
【답변】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은 하였지만..왠지 자신이 없어지... 2003.11.13 482
Board Pagination Prev 1 ... 4159 4160 4161 4162 4163 4164 4165 4166 4167 4168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