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7.06.16 19:33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유기계약의 해지는 원칙상 계약기간의 만료일이 되면 자동으로 해지되는 것이며, 민법 제661조의 의미는 근로계약이 유지되는 도중에 계약 당사자 일방이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 계약위반자에게 그 과실범위내에서 책임을 물을 수 있다고 봄이 타당합니다.
그리고 유기계약으로 인해 당해 계약이 유지되는 기간이라고 하더라도 계약 당사자는 자유의사에 의해 계약을 해지 할 수 있고 그 계약의 해지가 완성되는 절차는 민법 제660조에 준용한다고 사료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무기계약
>근로자 사직 : 자유
>사직의 효력 시기: 민법 준용하여
>
>민법 제660조 【기간의 약정이 없는 고용의 해지통고】
>①고용기간의 약정이 없는 때에는 당 사자는 언제든지 계약해지의 통고를 할 수 있다.
>②전항의 경우에는 상대방이 해지의 통고를 받은 날로부터 1월이 경과하면 해지의 효력이 생긴다.
>③기간으로 보수를 정한 때에는 상대방이 해지의 통고를 받은 당기후의 1기를 경과함으로써 해지의 효력이 생긴다.
>
>======================
>
>기간이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 경우
>
>근로자가 사직 : 제한(민법 661조)
>사직의 효력 시기: ?
>
>민법 제661조 【부득이한 사유와 해지권】
>고용기간의 약정이 있는 경우에도 부득이한 사유 있는 때에는 각 당사자는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사유가 당사자 일방의 과실로 인하여 생긴 때에는 상대방에 대하여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
>질문1) 유기계약 겨우 민법 661조 해석상 사직은 자유이나 손해배상을 하지 않고 해지를 하거나 손해배상을 하고 해지를 하는 경우 두가지가 있을 수 있다는 의미인지?(근로자 과실인 경우 손해배상만 하면 사직이 자유로운지)
>
>질문2) 유기계약의 경우도 효력시기는 민법 660조 유기계약을 준용해야 하는지 아님 곧바로 효력이 발생하는지?
>
>감사합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상담해주세요... 2007.06.28 810
☞ 상담해주세요...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것과 퇴직하고 실업급여... 2007.07.01 907
임금체불과 관련하여 2007.06.28 886
포괄적임금(시간외근로수당)지급시 주 40시간실시에따른 수당지급 2007.06.28 1853
근로 기준법을 보면... 2007.06.28 758
☞근로 기준법을 보면... (연장근로수당 할증율의 25% 적용 근거) 2007.07.01 1672
(긴급) 일용직 퇴직금관련 2007.06.28 1038
☞(긴급) 일용직 퇴직금관련 (퇴직금을 안받겠다는 계약) 2007.07.01 1471
연봉계약에대한 퇴직금 지급 방식 2007.06.28 1282
청소년고용촉진장려금에 대해 2007.06.27 1267
미사용휴가수당 청구에 관한 질문입니다. 2007.06.27 623
☞미사용휴가수당 청구에 관한 질문입니다. (연월차수당의 계산과 ... 2007.06.28 983
고용보험자격에대해서 질문요 2007.06.27 651
☞고용보험자격에대해서 질문요 (임금체불에 의한 퇴직시 실업급여) 2007.06.28 1496
연차금액계산과 연차일수? 2007.06.27 2271
☞연차금액계산과 연차일수? (주40시간제도가 시행되는 경우) 2007.06.28 2159
연장근로및 휴일근무 2007.06.27 772
☞연장근로및 휴일근무 (월급제 사무직근로자의 연장, 휴일근로수당) 2007.06.28 3586
최저임금에 속하는 항목은? 2007.06.27 875
☞최저임금에 속하는 항목은? (가족수당, 통근수당, 능률수당 등) 2007.06.28 4888
Board Pagination Prev 1 ... 2717 2718 2719 2720 2721 2722 2723 2724 2725 2726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