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는 1주일에 평균1회이상의 휴일을 주어야한다는 근로기준법
휴일근무에 대한 질문입니다.

1. 휴일(토요일/일요일)근무 실시시 전제조건이 있는지.... 예를 들어 근로자의 동의 받아야 하는지,,,, 기타 등등

2. 회사의 휴일근무 공고에 대한 강제성 여부는 어떠한지......

3. 회사의 휴일근무 공고(화요일 공고)에 대한 휴일근무거부 근로자의 징계의 적법성

4. 휴일근무거부가 근로자 자율에 의한것이 아니고 일부특정근로자의 선동에 의해서 행한것이며 선동근로자에 대한 징계의 적법성(참고로 노동조합 없음)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무명씨 2007.07.09 18:21작성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를 위해서는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에 합의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일방적인 휴일근무 공고는 근로자를 강제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까닭에 휴일근로를 거부한 근로자에 대해서 징계를 하는 것은 적법성을 상실할 수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임을 첨언합니다.

List of Articles
노동부 진정 전에 받아놓을 수 있는 서류?? 2007.07.19 1032
☞노동부 진정 전에 받아놓을 수 있는 서류?? 2007.07.24 842
사표제출 후 결근에 따른 문의 2007.07.19 962
☞사표제출 후 결근에 따른 문의 2007.07.24 1370
휴업수당관련 2007.07.19 867
결혼후 출퇴근어려워 퇴직한경우 2007.07.19 943
☞결혼후 출퇴근어려워 퇴직한경우 2007.07.24 890
me89hs기간제근로자의 해고방법은? 2007.07.19 1118
야간수당 또는 야근수당 산출방법 2007.07.19 1064
연장근로시간 및 휴무관련문의입니다 2007.07.19 688
부당해고 구제명령 이행 강제금에 대해 2007.07.19 1217
상여금을 줄이면 2007.07.19 688
체불임금 3개월이상... 아직 재직중인데 회사를 다니기 힘듭니다... 2007.07.19 1286
관행의 법적 위치 2007.07.19 804
주40시간 근무제의 임금계산관련 문의드립니다 2007.07.19 994
출산직후 1년동안 타부서로 부서이동이 안되나요? 2007.07.19 1122
☞퇴직금 계산 부탁 드립니다. 꼭 봐주세요. 2007.07.24 574
육아휴직 후 직책변경으로 인한 실업급여 2007.07.18 1271
☞육아휴직 후 직책변경으로 인한 실업급여 2007.07.24 1745
계약직 근무중계약서위반 2007.07.18 1125
Board Pagination Prev 1 ... 2701 2702 2703 2704 2705 2706 2707 2708 2709 2710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