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9.06.23 10:59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3일근무한 것에 대해서도 당연히 임금청구권이 인정됩니다. 다만 회사는 귀하의 무단퇴직에 대해 손해가 발생한 경우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있으나, 귀하의 무단퇴직이 근로계약시 당사자간에 약속한 사항을 회사가 지키지 않은 것 때문이라면, 귀하의 무단퇴직은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이와관련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된 기존 상담사례를 참고바랍니다.
https://www.nodong.kr/403081

자격증대여는 불법입니다. 귀하의 퇴직사유가 불법자격증 대여를 하지 않기 위함이라면 정당한 퇴직이므로 특별히 문제될 것은 없어 보입니다. 아울러 비록 손해금이 발생한 경우라도 회사는 귀하의 동의없이 임금에서 손해금을 공제할 수 없으므로, 임금(3일분)을 전액 수령한 후 손해금 배상 여부는 차후 대응하시면 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
>얼마전 저는 작은 가정보육시설에서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보육교사 자격증은 물론 있구요
>
>그리고 제게 시설장교사로 근무를 해달라고 하더군요.
>보건복지가족부에 신청을 하여 시설장교사 자격증을 발급받았습니다.
>그런데 그 시설은 저의 명의가 아니고 원장선생님 명의 입니다.
>가정 어린이집 하나는 원장선생님이 시설장으로 계십니다.
>40인미만 시설장으로 인원에 제한이 있다보니
>원장선생님이 두곳을 운영할 수 없어
>한곳은 제가 발급받은 시설장교사 자격증으로 운영을 하시려 했습니다.
>자격증이 우편으로 도착하여 꺼내 보니
>경고문이 적혀있더군요
>타인에게 양도할 경우 법적 책임을 물어야 했습니다.
>잘 몰라서 원장선생님께 그부분에 대해 여쭈었더니
>아무런 하자가 없으니 괜찮다고 하십니다
>그래도 불안하여 시설장교사자격증 등록은 하지 않고
>미뤄두고 정확히 알아본 후에 하려고 일단 출근만 했습니다.
>
>그런데 출근을 해서 3일간 일을 해보니
>근무조건과 상황이 법적으로 어긋난 부분이 있었습니다.
>보건복지 가족부에서 정한
>원아의 인원과 선생님의 배정이 턱없이 모자랐습니다.
>더구나 현재 근무를 하고 있지 않은 선생님을
>근무 하는 것으로 등록을 해두었다고 합니다.
>또한 식사를 담당하시는 분을 교사의 인원에 포함시켰더라구요
>물론 그분은 보육교사 자격증이 없습니다.
>
>
>아이들은 많고 교사는 부족하다보니
>체계적인 부분도 없고 일하는 것이 너무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3일 근무후 무단 퇴사를 했습니다.
>
>그런데 제가 개인적으로 급하게 돈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무단퇴사를 한 것에 대해 많이 죄송했습니다.
>직접 전화를 드리는 것이 죄송스러워
>두번에 걸쳐 장문의 문자를 보냈습니다.
>무단퇴사한 것에 대해 죄송한 마음과
>많이 힘든상황이라 3일간 일한 것에 대해
>임금을 지불을 해주셨음 한다구요
>화가 많이 나신것인지
>아무런 답변도 없이 그렇게 일주일이 지났습니다.
>3일간 일한 부분에 대해 임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인지요
>큰 금액은 아니지만..
>지금 제겐 그 조차도 너무나 절실한 상황이거든요..
>그리고..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준하는 규정을 원장선생님께서 어김으로 해서
>노동력 착취를 당하시는 그곳에 계신 선생님들과
>원아에 비해 부족한 선생님으로 인해
>충분한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신고를 하고 싶습니다.
>그 절차는 어떻게 거쳐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4대 보험도 급여지급액에 포함되나요? (사회보험료를 회사가 보조... 2009.07.08 5671
비정규직 용역회사직원의 고용에 관련해서 상담 (파견근로자에 대한 고용의... 2009.07.08 1575
고용보험 미술교습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09.07.08 1433
임금·퇴직금 퇴직금 진정에 관하여 (화해권고 결정) 2009.07.08 2357
여성 임신에 의한 퇴사 2009.07.06 913
임금·퇴직금 고용승계.퇴직금관련 2009.07.06 4223
임금·퇴직금 퇴직금 관련 문의 2009.07.06 598
고용보험 실업급여수급대상여부 2009.07.06 700
여성 산전후 휴가 확인서 작성방법이 너무 헷갈려요... 2009.07.06 4373
비정규직 파견법에 위배되는지 문의 드립니다 2009.07.04 866
비정규직 파견근로자 관련 문의 (직접고용시 무기계약이 되는지) 2009.07.04 1336
고용보험 정리해고 당했는데 4대보험 취득/상실신고를안해주네요 . 2009.07.04 4140
휴일·휴가 학교비정규직의 공가 사용 절차 및 근거 2009.07.04 2092
임금·퇴직금 시간외근무수당 계산 (근로계약서에서 정한 연장근로이상의 연장... 2009.07.04 5578
임금·퇴직금 기사3명이 교대근무시 임금계산을 부탁드립니다. 2009.07.04 1515
임금·퇴직금 주휴수당 산정이 애매합니다.. (단시간근로자) 2009.07.04 2111
고용보험 조기재취업수당 수령 후 자진퇴사일때 실업급여 남은일수에 대한 ... 2009.07.04 9643
임금·퇴직금 퇴직금 정산할때 1년동안 받은 총 퇴직금을 다 포함하나요? 아니... 2009.07.03 885
근로계약 사규 개정 (새로운 징계기준의 설정을 위한 취업규칙 개정이 '불... 2009.07.03 2501
임금·퇴직금 임금체불 (노동부 신고를 이유로 임금지급 지연) 2009.07.03 4674
Board Pagination Prev 1 ... 2268 2269 2270 2271 2272 2273 2274 2275 2276 2277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