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28

해고 후 퇴직금을 받으면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못하나요?

저는 7년동안 근무를 했습니다. 5년은 월급제로, 2년은 연봉제로 근무했는데, 연봉제로 근무하는 2년 동안 동안 퇴직금을 받았습니다.

현재는 근로계약서에 싸인을 안 했다는 이유로 해고를 당한 상태입니다. 근로계약서에 내용이 아주 불리하게 써져 있어서 싸인을 안헀습니다. 저는 계약직이 아닌데도 근로계약에 몇월 몇일까지 일한다는 내용이 없습니다 부당해고로 고발할려고 합니다.

그런데, 궁금한 것은 회사에서 중간정산 5년 일한 것을 퇴직금으로 받아가라는데요. 중간정산하는 퇴직금을 받으면 부당해고 구제신청이 안되나요?

퇴직금도 받고 싶고 구제신청해서 원직복귀도 원합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답변

회사가 근로자를 해고할 때 근로자가 퇴직금 등을 수령했다고 하더라도 해고의 정당성을 다투고 있었거나 , 이의를 제기한 상태라면 퇴직금을 받았다는 것 자체가 해고를 인정(퇴직을 수용)한 것으로 볼 수는 없습니다.

퇴직금을 수령하면서 각서 등을 제출하였다면 부제소의 합의가 있는 것으로 본다

  • 근로자가 징계해고 후 회사로부터 퇴직금과 위로금 명목의 돈을 받으면서 퇴직과 관련하여 어떠한 이의도 제기하지 않기로 하는 내용의 각서와 영수증을 제출하였다면 이에 의한 근로자와 회사 사이의 약정에는 근로자가 해고처분의 효력을 다투고 그 무효를 전제로 금원지급을 구하는 등의 소송을 제기하지 않기로 하는 부제소의 합의도 포함되어 있다. (1991.04.26, 대법원 91다4799)

부당해고의 효력을 다툰다고 볼 수 있는 객관적인 사정이 인정되면 퇴직금을 수령한 경우라도 해고의 효력을 인정했다고 볼 수 없다

  • 사용자로부터 해고된 근로자가 퇴직금 등을 수령하면서 아무런 이의의 유보나 조건을 제기하지 않았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해고의 효력을 인정하였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그로부터 오랜 기간이 지난 후에 그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것은 신의칙이나 금반언의 원칙에 위배되어 허용될 수 없다고 할 것이나, 이와 같은 경우라도 해고의 효력을 인정하지 아니하고 이를 다투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 객관적인 사정이 있음이 엿보이는 때에는 명시적인 이의를 유보함이 없이 퇴직금을 수령한 경우라고 하여도 일률적으로 해고의 효력을 인정하였다고 보아서는 안될 것이다. (2004.02.20, 서울행법 2003구합 21954 )

하지만, 근로자가 퇴직금을 받으면서, 해고처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였거나 효력을 다투고 있지 않은 상태였다면 해고가 유효하다고 승인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노동부에 부당해고에 대한 진정서를 제출하시거나,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제출하시거나 또는 법원에 해고무효 확인소송을 제출하신 이후 퇴직금을 수령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지만, 그러한 이의제기 절차없이 퇴직금을 수령하였다면 '근로자가 해고를 수용(정당한 퇴직으로 인정)한 것이 아닌가'하는 빌미를 회사측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정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해고 등 해고와 권고사직은 무엇이 다른가요?
근로기준 학원강사의 근로자성 인정여부와 기준
기타 일용근로자의 퇴직금 발생 여부
근로기준 도급제근로자의 근로기준은 어디까지?
근로계약 위약금을 배상하라하고 의무재직을 강요하는 경우
근로시간 철야근무후 다음날 대체휴무하면 임금은 유급인가요, 무급인가요? 1
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이 주당 연장근로시간에 포함되는지 여부
근로시간 연장근로는 시키는데로 마냥 해야합니까? (연장근로의 제한)
임금 인사이동,직무변경과 급여 변동
연봉제 연봉제의 경우 일방적인 재계약 거부는 가능한가? (계약거부와 해고)
해고 등 근로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전직,전근명령을 할 수 있나 ?
기타 정규직 전환시 비정규직 근속기간 인정 여부
해고 등 부당해고를 당한 경우, 초기 대처 방법
여성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회사가 허락하지 않습니다.
연봉제 연봉총액에 연차수당을 포함시킬 수 있습니까?
해고 등 이메일로 해고 통지를 받았습니다. (해고 서면통지의 효력)
연봉제 퇴직금을 연봉에 포함하고 12로 분할하여 지급, 그 효력은?
근로계약 단기 근로계약이 반복 갱신된 경우 계속근로년수의 산정은?
근로기준 주휴수당 기준은 기본급입니까? 통상임금입니까?
임금 일요일부터 월요일까지 근무하는 경우, 휴일,연장,야간근로수당 계산 1
기타 소장 작성방법 (체불임금)
해고 등 해고기간 중 임금의 기준 (임금상당액의 의미는?)
여성 출산휴가를 끝내고 복직 1주후 퇴직한다면 퇴직금 정산은? 1
근로계약 개인의 연봉수준을 동료에게 누설하면 해고가 정당합니까?
근로계약 정년퇴직후 촉탁직으로 고용전환이 이루어지는 방법
근로기준 회사의 경영상 이유에 의한 휴업과 연차휴가의 사용
임금 출퇴근보조비,차량유지비,유류대 임금 여부와 삭감
임금 업무추진비 판공비가 통상임금에 포함되는지요?
여성 권고사직 당할 임산부 근로자입니다.
근로계약 감시단속적 근로자에 대한 근로시간등의 적용예외 승인을 취소받을 수 있을까요? 1
기타 민사조정제도란 무엇인가요?
해고 등 계약기간을 '현장업무 종료시까지'로 정한 경우, 정당한 계약해지 사유가 되는지요?
여성 정기상여금을 출산휴가기간 중에도 받을 수 있나요?
해고 등 회사가 폐업하면 해고수당을 받을 수 없나요?
연봉제 연봉계약시 퇴직금을 포함했는데, 1년이내 퇴직한다면, 반납해야 하나요?
임금 근속수당의 통상임금 산입 여부는?
근로기준 아파트관리사무소 위탁관리에서 자치관리로 변경시 고용승계는?
» 해고 등 해고 후 퇴직금을 받으면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못하나요?
임금 사업주 변경시 임금체불 형사책임은 누구?
근로계약 허위 구인광고를 당했어요....대처방법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