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3

정년퇴직의 싯점은?

사내규정에서 '사원의 정년은 만60세가 되는 날로 한다'고 정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정년이 되는 날의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정년은 만 나이가 시작하는 날

정년의 기준일과 관련하여 노사간에 많은 다툼이 있으나, 노동부 행정해석과 법원 판례의 일관된 견해는 "당사자간에 정년이 싯점을 정한 바가 있다면 그 정한바에 따라야 할 것이나, 정년의 싯점을 특별히 정한 바가 없다면 당해 정년이 도달(시작)하는 날을 정년일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예를 들어, 1963년 12월 22일 출생자는 2023년 12월 21일까지는 만 59세이고, 2023년 12월 22일부터는 만 60세가 됩니다.

따라서 사규의 내용('정년은 만60세가 되는 날로 한다')을 적용하면, 정년일은 2023년 12월 22일입니다.

아래 소개하는 노동부 행정해석과 법원의 판례를 참조바랍니다.

정년은 만나이가 시작하는 날

  • 정년이 53세라 함은 만53세에 도달(시작)하는 날을 말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상당하다. (대법원 71다2669, 1973.6.12)  

정년일을 명확히 정하지 않았으면, 만 나이에 도달(시작)하는 날

  • 단체협약에 정년을 규정하고 그 정년이 정년에 도달(시작)하는 날을 의미하는지 만55세가 종료되는 날을 의미하는지를 명확히 해놓지 않았다면 원칙적으로 만55세에 도달한 날(만55세가 시작된 날)로 보아야 할 것임. (노동부 행정해석, 근기 01254-886, ‘92.6.26)
  • 근로기준법령은 근로자의 정년에 대해서 별도로 정하고 있지 않아 회사의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 등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행할 사안이며, 정년의 시점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정년의 시점(始點)을 도달일로 보아야 할 것임.(노동부 행정해석, 근기 01254-17838, ‘90.12.26)

관련 정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 인사이동,직무변경과 급여 변동
기타 인터넷으로 임금체불 진정서 제출하기
해고 등 일괄사표제출 요구후 선별수리의 효력
임금 일급제 근로자의 통상임금 계산방법
임금 일요일부터 월요일까지 근무하는 경우, 휴일,연장,야간근로수당 계산 1
기타 일용근로자의 퇴직금 발생 여부
근로계약 일자리 소개비를 너무 많이 요구합니다
근로기준 일하는 중에 사고 발생했는데, 회사에서 손해금을 월급에서 공제하겠다고 합니다.
임금 임금 퇴직금 최우선변제 제도란 무엇인가요?
여성 임금이 소급인상된 경우, 출산휴가급여도 추가로 받을 수 있는지요? 1
임금 임금이 양도되었다고 하여 임금을 타인에게 지급할 수 있는지 (임금공제)
근로기준 임금책정시 인사평가에 따라 호봉을 삭감하는 것이 감급제한에 해당하는지
근로계약 임금체불 때문에 퇴직했는데, 저보고 손해배상 책임을 지라고 합니다.
기타 임금체불로 사무실 임대료 가압류하려고 합니다.
여성 임산부가 법정휴일이 아닌 취업규칙상의 휴일에 근로하는 경우에도 인가를 받아야 하는지요? 1
여성 임산부의 요구가 없는 타부서로의 전환배치, 업무 발령은 정당한지요? 1
여성 임신중 야간근로에 의한 유산인 경우 사업주를 처벌할 수 있나요? 1
여성 임신중인 여성근로자의 연장근로와 경이한 업무로의 전환 여부 1
여성 임신했는데, 산전후휴가를 받을 수 있는지? (최근 개정내용)
여성 재계약 시점과 출산휴가 신청기간이 맞물렸을 경우... 1
임금 재직중 받지 못한 상여금을 청구할 수 있나요?
근로계약 전자근로계약서 사용시 주의사항
기타 정규직 전환시 비정규직 근속기간 인정 여부
여성 정규직과 계약직의 임신중 정기검진 휴가 부여의 차별 1
임금 정기 상여금을 일방적으로 지급하지 않는다면?
근로기준 정기 호봉 승급을 회사가 임의적으로 중단, 정지할 수 있나요?
여성 정기상여금을 출산휴가기간 중에도 받을 수 있나요?
근로기준 정년 60세 의무 위반시 대응은?
근로계약 정년 60세 의무화법 내용
기타 정년퇴직 규정을 신설하려고 합니다.
» 근로계약 정년퇴직의 싯점은?
근로계약 정년퇴직후 촉탁직으로 고용전환이 이루어지는 방법
근로계약 제조업에서 파견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나요?
근로계약 종교문제의 부당해고 성립여부 및 동종업계 이직금지 각서의 법적효력
근로기준 주휴수당 기준은 기본급입니까? 통상임금입니까?
근로시간 지각, 조퇴자에 대해서도 연장근로수당이 지급되어야 하는지요?
근로시간 지각의 경우 종업시간이후의 근로를 연장근로로 인정할 수 있는가?
근로시간 지각한 근로자가 연장근로를 하는 경우, 연장근로수당이 지급됩니까?
해고 등 직급정년제는 인정될 수 있나요?
임금 직원과실로 손해발생시, 노사합의로 손해금을 임금에서 공제할 수 있는지요?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