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15

노동위원회

노동위원회는 노사공익 3자로 구성된 합의제 행정기관으로, 노사간의 분쟁을 심판, 조정하는 준사법적 기구이다.

노동위원회 구성

노동위원회는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 공익위원으로 구성되는데,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자 중에서 위촉하고,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천한 자 중에서 위촉하되, 중앙노동위원회의 경우에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지방 노동위원회의 경우에는 지방노동위원회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위원장이 각각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당해 노동위원회위원장·노동조합·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자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자를 위촉대상 공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 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의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대통령이, 지방노동위원회의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위원장이 각각 위촉한다.

위원의 임기는 3년인데, 연임이 가능하다. 

노동위원회의 기능

노동위원회가 맡고 있는 분쟁 해결 기능은 노동쟁의, 복수노조, 부당노동행위 등 집단적 노동분쟁 분야와 부당해고, 차별시정 등 개별적 노동분쟁 분야로 나눌 수 있다.

노동쟁의 조정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등에 따른 조정, 중재 및 긴급조정
  • 필수공익사업의 필수유지업무 유지, 운영수준 등 결정

복수노조와 부당노동행위 등에 대한 결정과 심판

  • 교섭창구 단일화, 교섭단위 분리 결정, 공정대표의무 위반 심판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른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에 대한 심판

부당해고 사건 등에 대한 심판

  • 근로기준법에 따른 부당해고(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포함)에 대한 심판

비정규직과 남녀 차별에 대한 차별시정 사건에 대한 시정명령

  • 기간제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간제근로자, 단시간근로자, 파견근로자 등 비정규직의 차별시정 신청에 대한 시정명령
  • 남녀고용평등 및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성희롱과 성차별의 시정 신청에 대한 시정명령

행정소송

  • 중앙노동위원회 재심 판정 등에 대해 제기된 행정소송 관련 업무 수행

관련 정보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징계의 형평성
퇴직금 중간정산
대기발령
쟁의행위의 조정전치주의
도급사업의 안전보건 조치
전차금 상계금지
법정근로시간
준법투쟁
부당노동행위 구제의 긴급이행명령
동일노동 동일임금
사내근로복지기금
노사협의회
안전관리자
야간근로수당
산재보험 적용의 특례
산별교섭, 산업별 교섭
도급 또는 위임형태 노무제공자의 근로자성
해고예고
취업규칙,사규
선택적 근로시간제
단체교섭 거부·해태
반의사불벌죄
근로자의 구속 제한
직상수급인, 직상수급인의 연대책임
쟁의행위
단체협약의 일반적 구속력
통상근로계수
해고기간의 임금상당액
재량근로시간제
통상임금
긴급조정
규약
전출과 전적
근로조건 명시 의무와 근로계약서 교부
조기재취업수당
단체협약 소멸후의 근로조건(여후효)
» 노동위원회
제3자 개입금지
유리한 조건 우선의 원칙
이익분쟁과 권리분쟁
휴게시간
채용 취소
노동조합
탄력적 근로시간제
고충처리
공익사업 등의 조정에 관한 특례
기간제 사용 제한 예외
약정휴일
협정근로자
구제신청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