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rjfn 2010.02.12 19:09

빠른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답변을 보니

 

[기간의 단절없이 2010.1.1.부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였으므로, 2009.3.1.입사자로 계속근무하는 경우의 연차휴가 산정방식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로 되어있는데요

 

기간의 단절없이 2010.1.1부로 기간의 정함이 있다면 처음 주셨던 답변과 달라지나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교육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서비스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0.02.15 08:54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2010.1.1.에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자(기간제근로자)로 채용되었건,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무기계약근로자)로 채용되었건 관계없이 2009.12.31.계약기간만료이후 사실상 계속적으로 고용관계가 유지되므로 연차휴가부여를 위한 계속근로기간의 최초일은 최초의 입사일인 2009.3.1.로 보아야 합니다.

     

    만약, 2010.1.1.의 계약(무기계약 또는 기간제계약)이 사실상 형식에 불과한 채용절차가 아니라, 전혀 다른 채용절차(모집공고-지원서제출-채용심사-채용자 확정)에 따라 종전과 다른 업무에 종사하고, 근로조건 역시 종전과 전혀 다른 수준이었다면 이는 사실상 새로운 고용관계가 개시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따라서 종전의 근로계약과 새로운 근로계약은 단절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라면, 연차휴가부여를 위한 계속근로기간의 최초일을 2010.1.1 보아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귀하의 사례의 경우, 단순히 퇴직 및 재입사 절차를 거쳤을 뿐, 종전의 업무와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종전의 근로조건 등에 있어서 현격한 차이가 없다면 종전계약과 새로운 계약은 각각 단절된 계약으로 보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와관련한 보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된 곳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nodong.kr/406350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밀린 임금에 관해서 입니다.. 1 2010.03.09 1191
임금·퇴직금 연장수당에 대해서 여쭙니다 1 2010.03.09 1126
해고·징계 부당해고 2 2010.03.09 1302
임금·퇴직금 제조업 운전직의 시간외수당 삭감에 대하여 1 2010.03.09 1680
비정규직 임금차별 1 2010.03.09 1245
기타 차량유지비 1 2010.03.09 2466
기타 단체협약 1 2010.03.09 1345
휴일·휴가 연차일수에 대하여 1 2010.03.09 1029
근로계약 경비반환관련 1 2010.03.09 1855
임금·퇴직금 병가시 주차는 어떻게 되나요?? 1 2010.03.09 3121
휴일·휴가 육아휴직전 연차사용 문의 1 2010.03.09 3309
기타 임금,수당등 청구소송의 당사자는? 1 2010.03.09 1233
여성 육아휴직 관련 질문 1 2010.03.09 1326
임금·퇴직금 회생인가법인의 체불임금 1 2010.03.09 3341
임금·퇴직금 기숙사 사감/부사감 수당의 임금여부 1 2010.03.08 3606
휴일·휴가 연봉제하의 연,월차수당 지급요건? 1 2010.03.08 3832
휴일·휴가 병가 1 2010.03.08 1920
근로시간 평일, 무급휴무일 연장 야간근로 중복시 계산 1 2010.03.08 2230
기타 주3일근무시 년차계산 1 2010.03.08 5457
고용보험 실업급여가 해당이 되는지 여쭤봅니다. 1 2010.03.08 1396
Board Pagination Prev 1 ... 2185 2186 2187 2188 2189 2190 2191 2192 2193 2194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