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2010.12.23 09:28

수고많으십니다..

저희 회사는

20인이하 44시간제 사업장입니다.

*연차수당  -----   회계기준입니다.

*지급시기 ------  매년 12월31일    (아파트라서  그냥 매년 수당으로 지급합니다)

 

입사일 : 2001.  1.  1.일 (입사)

               2010.  12. 19일(퇴사) 

 

*입사일  :2001년  1월  1일  ~  2001.  12.  31.  (10개)지급

               2002년  1월  1일  ~  2002.  12.  31.  (11개)지급

               2003년  1월  1일  ~  2003.  12.  31.  (12개)지급

               2004년  1월  1일  ~  2004.  12.  31.  (13개)지급

               2005년  1월  1일  ~  2005.  12.  31.  (14개)지급

               2006년  1월  1일  ~  2006.  12.  31.  (15개)지급

               2007년  1월  1일  ~  2007.  12.  31.  (16개)지급

              2008년  1월  1일  ~  2008.  12.  31.  (17개)지급

              2009년  1월 1일  ~  2009년 12.  31. (18개)지급

              2010년  1월 1일  ~ 2010년 12.  19일 퇴사시  연차수당 지급유무  (지급해야되면 몇개를 지급해야 하는지요) 만근이 안됨. 

 

      2)  그리고 퇴직시 연차수당 평균임금에 3개월 산정 해야 하는가요?

           산정할경우 어떻게 (몇개로 )계산해야 할까요..

 

             지급해야 되면  퇴직시 2010년도 연차수당도 지급해야하고

            별도로 퇴직금 산정시 3개월 평균임금에 넣고 또 계산해야 하는지요?

    

          초보라서 자세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날씨가 많이춥네요.. 건강 조십하시길 바랍니다.

 

   완전 초보라서 죄송해요.. 문의드립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부산
회사 업종 기타업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0.12.26 14:36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귀하가 소개하신 사례를 기초로 근로기준법에 의한 적절한 연차휴가일수와 수당을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2001.1.1 ~ 12.31.기간에 대해 : 2002.1.1.~12.31.까지 1년간 10일의 연차휴가를 부여하고 이를 모두 미사용한 경우에는 2003.1.1.에 수당(10일)을 지급.

    2) 2002.1.1 ~ 12.31.기간에 대해 : 2003.1.1.~12.31.까지 1년간 11일의 연차휴가를 부여하고 이를 모두 미사용한 경우에는 2004.1.1.에 수당(11일)을 지급.

    3) 2003.1.1 ~ 12.31.기간에 대해 : 2004.1.1.~12.31.까지 1년간 12일의 연차휴가를 부여하고 이를 모두 미사용한 경우에는 2005.1.1.에 수당(12일)을 지급.

    4) 2004.1.1 ~ 12.31.기간에 대해 : 2005.1.1.~12.31.까지 1년간 13일의 연차휴가를 부여하고 이를 모두 미사용한 경우에는 2006.1.1.에 수당(13일)을 지급.

    5) 2005.1.1 ~ 12.31.기간에 대해 : 2006.1.1.~12.31.까지 1년간 14일의 연차휴가를 부여하고 이를 모두 미사용한 경우에는 2007.1.1.에 수당(14일)을 지급.

    6) 2006.1.1 ~ 12.31.기간에 대해 : 2007.1.1.~12.31.까지 1년간 15일의 연차휴가를 부여하고 이를 모두 미사용한 경우에는 2008.1.1.에 수당(15일)을 지급.

    7) 2007.1.1 ~ 12.31.기간에 대해 : 2008.1.1.~12.31.까지 1년간 16일의 연차휴가를 부여하고 이를 모두 미사용한 경우에는 2009.1.1.에 수당(16일)을 지급.

    8) 2008.1.1 ~ 12.31.기간에 대해 : 2009.1.1.~12.31.까지 1년간 17일의 연차휴가를 부여하고 이를 모두 미사용한 경우에는 2010.1.1.에 수당(17일)을 지급.

    9) 2009.1.1 ~ 12.31.기간에 대해 : 2010.1.1.~2010.12.18.(퇴직일전일)까지 1년간 18일의 연차휴가를 부여하고 이를 모두 미사용한 경우에는 2010.12.19.(퇴직일)에 수당(18일)을 지급.

    10) 2010.1.1 ~ 12.18.기간에 대해 : 연차휴가 부여를 위한 최소한의 기본요건(1년간의 계속근로)이 충족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연차수당을 지급하지 않는다고 하여 위법하지 않음.

     

    2. 귀사의 경우, 연차수당을 미리 선지급하여 법적인 절차와 방법에 부합하지는 않지만, 결과적으로는 적절한 일수만큼 연차수당을 지급하였으므로, 2010.1.1.~12.18.기간에 대해서는 별도의 연차휴가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하여 위법하지 않습니다.

     

    3. 퇴직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평균임금에는 퇴직일 이전 1년간 지급된 연차수당액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연차수당액의 1/4에 해당하는 금액) 퇴직일이 2010.12.19.라면, 퇴직일 이전 1년간은 2009.12.19.~2010.12.18.기간이므로 이 기간중에 법적인 청구권이 발생하여 지급되었어야 할 연차수당(2010.1.1.에 지급권이 발생한 17일분) 중 1/4에 해당하는 만큼 평균임금에 반영되어야 합니다.

    즉, 위 9)의 연차수당은 퇴직일(2010.12.19.)에 지급청구권이 발생하는 것으로 퇴직전 1년(2009.12.19.~2010.12.18)간에 발생하는 임금이 아느므로 평균임금에 반영되지 않으며 단지 퇴직시에 퇴직금과 별도로 지급하면 되는데, 귀사의 경우 이미 소급하여 이미 지급되었으므로 별도로 지급하지 않는다고 하여 위법하지 않습니다. 다만, 위 8)의 연차수당액은 평균임금에 반영하여 퇴직금을 계산하여야 합니다.

     

    참고할 사례
     
    퇴직일의 정의
     
    퇴직근로자의 연차수당과 평균임금 반영방법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연차수당 관련문의입니다. 1 2011.01.07 1124
기타 교육비 환수 요구 및 이에 따른 급여 미지급 1 2011.01.07 3675
임금·퇴직금 이틀치 급여계산 방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2011.01.07 3519
임금·퇴직금 상여금관련 질문입니다. 1 2011.01.07 1474
임금·퇴직금 최저시급 문제에 관해서 질문을하나더 드려야할것같아서요 .. 1 2011.01.07 1482
고용보험 실업급여 질문드립니다 1 2011.01.06 1754
임금·퇴직금 퇴직금문의 2 2011.01.06 1184
기타 실업급여 가능한지 여쭙니다. 1 2011.01.06 1561
기타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요? 1 2011.01.06 1237
임금·퇴직금 퇴직금 중간정산과 근속수당의 단절 1 2011.01.06 4525
임금·퇴직금 연차에 관현하여 문의드립니다.(두번째문의) 1 2011.01.06 1148
휴일·휴가 연차 1 2011.01.06 1355
기타 실업급여에 대해서 여쭤볼게 있습니다. 1 2011.01.06 1926
고용보험 고용유지지원금에 관하여 1 2011.01.06 2086
휴일·휴가 육아휴직중 해외취업 가능한가요? 1 2011.01.06 6583
산업재해 회사 퇴근시 발목골절 1 2011.01.06 3201
임금·퇴직금 주6일제에서 주5일제 변경에 따른 연차수 발생 및 지급시기 1 2011.01.06 3091
임금·퇴직금 퇴직금 관련 문의 1 2011.01.06 1153
임금·퇴직금 연차에 관현하여 문의드립니다. 1 2011.01.06 1158
휴일·휴가 연가보상비 계산 1 2011.01.06 6600
Board Pagination Prev 1 ... 2052 2053 2054 2055 2056 2057 2058 2059 2060 2061 ... 5861 Next
/ 5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