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인생 2012.02.08 13:20

프리랜서 계약을 했지만 정직원처럼 출퇴근하며 상급자의 감시아래 업무시를 받으며 근로하였기에

회사를 그만두고 퇴직금문제로 노동청에 진정을 냈습니다.

 

노동청에 퇴직금 진정을 낸 이유를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하는 프리랜서로써 계약을 하였으나]

[회사측에서는 정직원처럼 출퇴근하라고 강요하였기때문에 고용되는 입장에서 이의를 제기할 수 없어 출퇴근을 하며 근무했다.]

[출퇴근시간을 엄수하며 상급자의 지휘아래 업무지시를 받으며 근로자로써 근무하였으므로]

[근로성을 인정받아 퇴직금을 받고자하여 노동청에 진정을 내었다.]

 

 

요지는 프리랜서냐, 근로자냐 였는데

여러차례 노동청에 출석하여 근로성 입증에 따른 모든 증거자료를 제출하였고 (동영상, 녹취록,사진,문서 등)

하나부터 열까지 세세하게 진술 하였습니다.

제대로된 조사도 없이 석달넘게 질질 끌더니 결국 [회사측 위반없음] 이라는 결과를 통보받았습니다.

 

저의 진술과 제출한 입증자료를 제대로 검토했다면 절대로 이런 결과가 나올 수가 없습니다.

제출한 녹취록의 짧은 한부분만 듣더라도, 

제가 그만둔다고 했을때 상급자가 자신에게 사직서를 제출하라는 지시부터 시작해서 후임 인수인계를 거론하는 내용도 있습니다.

무슨 프리랜서가 사직서를 내며 후임한테 인수인계를 합니까?

녹취록이 아니라도 노동청에 제출한, 저의 근로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입증자료가 정말 많습니다.

 

헌데 근로감독관은 저의 세세한 진술과 명백한 입증자료들을 무시한채,

출퇴근강요한적없다, 프리랜서가 맞다라고 증거자료 하나없이 말로만 진술하는 회사측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회사측에서 제출한 자료는 프리랜서 계약서뿐입니다. )

 

근로감독관의 말에 따르면

학교측에서는 출퇴근하라는 강요를 한적이 없다고 진술하였으며,

본인은 프리랜서 계약이라는것을 인지한 상태에서 계약서에 싸인을 하고 근로하였기때문에 근로자로 볼 수 없다.

또한 4대보험도 가입되지 않았으며 세금도 근로자로써 납세하지 않았기때문에..

라네요..

 

정말 말도 안되는 결과 아닌가요?

프리랜서계약을 하였지만 회사에서 출퇴근하라고 강요가 있었고

그런 강요로인해 다른 정직원과 똑같은 근무조건에서 근무를 하였기에

근로성을 인정받기위해 진정을 낸거잖아요.

프리랜서 계약이니까 당연히 4대보험 가입을 회사측에서 안해주는거고, 납세 또한 종합소득세를 내는것이죠.

그리고 회사측에서는 제대로된 입증자료 하나없이 출퇴근하라고 강요한적없다는 진술로만 일관하고 있었는데, 

저는 회사측의 진술에 반박할 수 있는 명백한 입증자료들을 제출했거든요.

 

그 어느 누가 봐도 저는 명백한 근로자가 맞아요..

프리랜서계약하고 근로자처럼 부려먹었으니 계약자체가 부당한것이고 무효아닌가요?

헌데 근로감독관은 프리랜서 계약인거 뻔히 알면서도 스스로 계약서에 싸인하고 일했으니까

저는 근로자가 아니라 프리랜서라고 합니다. 회사측은 어느것하나 위반한게 없다고 합니다..

 

근로자의 편이 되주어야 할 근로감독관이 어쩜 이렇게도 눈하나 깜짝안하고 이럴 수가 있나요.

진술과 제출자료가 너무도 명백하여 더 볼것도 없는데 어떻게 이런 결과를 통보할 수 있을까요..

 

너무 억울합니다. 저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런 잘못된 비리와 관련하여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방법을 알려주세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교육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0~99인
본인 직무 직종 기타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2'


  • 천사뚱땡이 2012.03.02 13:53작성

    요즘,, 근로감독관 다그러더군요.. 

  • 상담소 2012.03.05 14:37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먼저, 상담소 업무가 폭주하여 답변이 늦어진 점에 대해 널리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노동부 진정 조사 부당하다 판단될 때에는 노동부에 재진정 또는 고소등을 통해 사건 조사를 다시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와 별개로 체불임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민사소송을 통해 체불임금 소송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귀하가 근로자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면 민사소송시 체불임금으로 인정받을 여지가 높습니다.
     체불임금액이 2천만원 미만의 경우 소액재판으로 분류되어 소송기간이 3-4개월정도 소요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노동청에 퇴직금 진정을 냈는데 회사측이 저에게 소송을 걸겠다고... 1 2011.12.07 16287
임금·퇴직금 SI업체를 통해 일한 프리랜서의 임금체불 1 2012.02.22 15587
기타 알바하는데 3.3% 세금 뗀다고해서 문의합니다. 3 2016.06.23 15504
고용보험 퇴직후 프리랜서 후 실업급여 신청 1 2012.02.24 9576
고용보험 4대보험 미가입 상근 프리랜서의 고용보험과 실업급여 문의 1 2020.11.11 7417
임금·퇴직금 학원강사 프리랜서 계약 및 퇴직금 1 2016.04.11 5108
비정규직 IT프리랜서 중도계약 해지 요청했으나 대체인력 구할때까지 그만... 1 2020.07.23 4896
임금·퇴직금 프리랜서는 퇴직금을 받을 수 없나요? 3 2010.08.13 4731
» 임금·퇴직금 노동청의 진정결과에 대해서 이의제기를 하고 싶습니다. 2 2012.02.08 4714
휴일·휴가 주16시간 프리랜서(사업소득)근로자 연차휴가 계산법 1 2022.09.30 4214
임금·퇴직금 계약직(프리랜선) 임금 체불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1 2010.09.17 4074
임금·퇴직금 프리랜서 임금미지급 1 2011.01.26 3907
근로계약 프리랜서의 상시근로자 판단여부 1 2022.02.21 3762
임금·퇴직금 피트니스 업계에서 퇴사한 트레이너입니다. 도움이 필요합니다. 1 2022.09.08 3501
임금·퇴직금 프리랜서 계약직 퇴직금 가능 여부 1 2014.04.29 3381
기타 몇가지 질문을 한꺼번에 드리겠습니다.(임금.퇴직금.도급대금.외) 1 2011.04.29 3361
근로계약 임금 돌려줘야 하는건아요?퇴직얘기후 몇일까지 있어야 하는건가요? 1 2011.09.19 3197
근로계약 학원 강사 프리랜서 계약 1 2015.01.03 3149
근로계약 프리랜서 사업소득세 공제 및 고용/건강보험 문의 1 2014.02.26 3091
고용보험 퇴사 후 프리랜서 계약시 실업급여 1 2020.10.12 300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