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12

수습사원은 마음대로 해고할 수 있나요?

9월부터 파트강사로 근무하던중 수업능력을 인정받아 10월1일 정직조건으로 1년 연봉계약을 하고 입사하여 3개월 수습기간을 갖고 근무를 했습니다.

수습기간 조건은 급여의 70%를 받는 것이었고 12월 31일이 마지막 날이었으나 그전까지 아무얘기도 없다가 당일날 팀장님이 다음날 (1월 1일) 부터 출근을 하지말라고 말씀하시고 그 위 직책인 팀 과장님이 수습평가점수가 좋지않아 정직으로 채용할수 없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수습기간중에 시말서를 두번 제출한 일이 있습니다. 수업을 펑크낸 이유였는데 몸이 좋지않아 수업을 진행하지 못한 경우였고 저 말고도 다른 선생님들도 수업 펑크내는 일은 종종 있습니다.

그리고 과장님과 사이가 좋지않았는데 너무나 사적인 일로 그분이 저에게 이렇게 부당한 평가를 내리고 해고를 시켰다고밖에 생각되지 않습니다.

회사측에는 제가 다시 일하고 싶은 의향이 있다고 메일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지금 다른 직장에 곧 취직될 예정이고 이런 일을 당하고 다시 그곳에 나가서 일하기란 매우 힘들것 같습니다.

이런경우 해고 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수습3월중에는 예외라고 들었는데 저같은 경우는 연봉계약서에 9월까지 계약으로 되어있고 수습끝나는 마지막날 그전에 아무 통보없이 당장 내일부터 출근하지 말라고 인사과장도 아닌 저희팀 팀장님과 과장님이 구두로 말씀하신건데 이런 경우 부당해고가 되는지요

지금상황으론 더 좋은 직장으로 이전할 계획이기 때문에 다시 복직할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해고수당이나 실업급여 같은걸 받을수 있는지 답변 듣고 싶습니다.


답변

갑작스럽게 해고를 당하게 되어, 많이 당황스러우셨을 것입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그저 근로자 한명을 해고하는 것에 불과하겠지만, 직장생활을 하면서 사회생활을 해나가는 근로자에게는 "해고"는 삶에 대한 계획마저도 수정하게 만드는 큰 타격입니다. 따라서 근로기준법에서는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없이" 근로자를 해고할 수 없다고 하여 사용자의 해고권을 제한하고 있으며, 부당한 해고를 당한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도 마련하고 있습니다.

다만, 문제는 수습기간 중의 해고에 대해서는 일반 근로자의 해고보다는 해고의 정당성을 폭 넓게 인정하는 경향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상식선에서 생각해보아도 한 회사에서 오랫동안 성실히 근무한 사람과 방금 입사한 수습사원을 똑같이 대할 수는 없는 것이니까요.(예컨데, 한 회사에서 20년쯤 일한 사람을 단 3일 무단결근했다고 해고한다면 당연히 부당해고가 될 것이지만 취업한 지도 며칠 안 되는 수습사원이 3일 무단결근을 했다면 그것이 그 수습사원에게는 해고 사유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업무수행 능력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수습사원은 업무를 배우기 시작하는 단계에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오랜 기간 일한 사람과 똑같은 업무수행 능력을 기대할 수는 없는 것이고 오히려 더 보호를 받아야 할 사람이라고 볼 수도 있으므로 귀하의 업무능력이 부족함을 이유로 해고한다면 정당한 해고 사유로 보기 어렵습니다. 결국 회사가 이것 저것 가져다 붙여서 해고가 정당하다고 주장한다면 귀하도 이를 반박할만한 충분한 대응을 준비해야 합니다.

또 한가지 문제되는 것은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구제신청을 제기하기 위해서는 귀하가 원직에 복직할 의사가 있어야만 합니다. 구제신청의 취지가 근로자의 잃어버린 권리를 원상태로 되돌린다는 것이므로, 원상태로 돌아갈 의사가 없는 근로자의 청구를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니까요.

계속근무한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해고예고제도가 적용되지 않아

한편,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최소 30일 전에 해고예고를 해야 하고(그것이 정당해고이든, 부당해고이든 관계없습니다.), 30일의 해고예고기간을 두지 않았다면 30일분의 통상임금을 해고수당으로 지급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근로자가 계속근무한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에 있는 근로자에게는 이 해고예고제도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귀하가 해고예고 통지를 받은 날이 계속근무한 지 딱 3개월이 되는 날이기 때문에 해고수당의 청구는 가능합니다.

 미만에 수습기간 만료일에 갑작스럽게 해고통보를 받았다할지라도 법적으로 해고수당을 청구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사용자측에 정당한 이유없는 해고에 대한 도의적 책임을 물어 일정의 합의금을 제시할 수는 있을 것이나, 사용자가 이에 동의하지 못한다면 법적으로 강제할 길이 없습니다. 이에 관한 자세한 해설은 해고예고와 해고수당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정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민방위, 예비군훈련이 끝나고 회사에 돌아가야 하나요? (공의 직무)
민사조정제도란 무엇인가요?
법내연장근로의 경우 연장수당의 지급의무 여부는?
보궐선거 투표시간 유급처리 여부
보직해임하고 일정기간 경과 후 해고하는 것이 정당한지요?
복직하고 8개월 뒤에 퇴사할 때, 평균임금 계산시 상여금 산입방법
부당해고를 당한 경우, 구제받을 수 있는 방법은 어떤 수단들이 있는가?
부당해고를 당한 경우, 구제신청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부당해고를 당한 경우, 초기 대처 방법
부도발생시 먼저 이렇게 응급조치를 해야합니다.
부모님이 사망하셔서, 경조사로 인해 출근하지 못한 기간의 임금은?
비노조원의 동의를 받아 노조비를 공제하는 것이 타당한지요?
사업양도시 고용승계되는 근로자가 승계를 거부할 수 있는지요
사업주 변경시 임금체불 형사책임은 누구?
사업주 소재불명으로 노동부 임금체불 조사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사업주가 노동부 출석에 응하지 않아 임금체불 진정처리가 길어집니다.
사용자가 근로계약을 일방적으로 어긴 경우는?
사장 기분에 의한 갑작스런 해고 (해고수당,퇴직금,실업급여)
사직서 제출하고 철회를 요청했는데 회사가 허락하지 않아요(사직서 철회의 효력)
사직서를 제출했으나 회사가 사직서를 수리해주지 않을 때 file
산업기능요원의 교육소집기간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임금, 휴직여부)
산후1년미만 여성근로자의 연장,야간근로 제한 1
산후1년미만자 (출산후여성에게 시간외근무수당을 하향지급하는 경우) 1
상근 등기임원이 임기만료로 퇴직하는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상대방 동의없는 대화내용 녹취에 대해서 (몰래한 녹음도 증거자료가 되는지요?)
상시 5인이상 사업장 판단기준 file
상여금 지급일 이전에 퇴직한 경우, 상여금을 못받나요?
상여금은 임금인가요? (상여금에 관한 기초적 지식 / 정의와 성격)
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기 위한 상여금 규정 변경
새로운 회사에 고용승계된 경우 임금 등 근로조건은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나요?
생리휴가를 사용하지 못한 경우 생리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요? (생리수당) 3
생리휴가에 대해 (임신중에 생리휴가 사용이 가능합니까?)
성과급 실적급을 받는 근로자의 최저임금
소액재판이란 무엇인가요?
소장 작성방법 (체불임금)
수당을 평균임금에서 제외키로 한 노사합의가 효력이 있는지요?
수습 기간 만료 후 계약해지
» 수습사원은 마음대로 해고할 수 있나요?...수습끝나는 날 해고통보
시간당 아르바이트생입니다(최저임금법 위반 사업장입니다. )
시간제 근로자의 4대보험 가입 자격 여부
List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