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13
휴업


회사에서 확진환자가 발생하여 불가피하게 휴업을 실시한 경우,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

  • 근로자 중 확진환자, 유증상자 또는 접촉자가 발생하여 추가 감염 방지를 위한 소독·방역 등을 위하여 사업장 전체 또는 일부를 휴업한 경우에는 회사의 귀책사유로 보기 어려우므로 원칙적으로 휴업수당 지급의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 아래의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1. (일반 회사) 근로자 중 확진환자, 의심환자 또는 접촉자(밀접·일상접촉자)가 있어 추가 감염 방지를 위한 소독·방역등을 위하여 사업장 전체 또는 일부를 휴업한 경우 또는 감염병예방법령에 의하여 근로자가 자가격리 등 조치된 경우
  2. (병원) 확진환자 발생 및 의료진 감염에 따라 병원이 휴업(휴진)하거나 보건당국에 의해 휴원 조치되는 경우
  • 다만, 근로자 생계보호를 위해 가급적 유급으로 처리하는 방안을 권고합니다.
  • 한편,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보건당국에 의해 근로자가 입원·격리되어 같은 법 제41조의2에 따라 회사가 정부로부터 유급 휴가비용을 지원받은 경우에는 반드시 해당 근로자에게 유급휴가를 부여하여야 합니다.
감염병예방법에 따른 유급휴가비·생활지원비 제도
구분 유급휴가비 생활지원비
지원대상

격리된 자에게 유급휴가를 제공한 사업주

격리 통지서를 받고 격리된 자
지원수준

개인별 일급 기준 (1일 13만원 상한)

긴급복지지원액 기준(4인가구 123만원)
신청처 국민연금공단 지사 주민등록지 관할 시.군.구
※ 유급휴가비와 생활지원비는 중복 지급되지 않음


감염병 확산예방 등을 위해 회사가 자체적으로 휴업을 실시한 경우,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

  • 근로자 중 확진환자, 유증상자, 접촉자 등이 없거나, 확진자의 방문으로 인한 방역조치가 완료된 이후에도 회사가 자체적인 판단으로 휴업을 실시한 경우에는 회사의 귀책사유에 해당하므로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휴업수당은 평균임금의 70% 이상 지급해야 합니다.
  • 평균임금의 70%가 통상임금을 초과하면 통상임금을 휴업수당으로 지급할 수 있습니다.
  • 다만, 노동위원회 승인을 받은 경우 평균임금의 70% 미만(무급 포함)의 휴업수당 지급이 가능합니다.

* 근로기준법 제46조(휴업수당) 
①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휴업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휴업기간 동안 그 근로자에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 이상의 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 통상임금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상임금을 휴업수당으로 지급할 수 있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노동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제1항의 기준에 못 미치는 휴업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매출감소, 부품공급 중단 등으로 회사가 휴업을 실시한 경우,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

  • 부품업체 휴업에 따른 부품공급 중단이나, 예약취소·매출감소 등으로 인한 휴업은 회사의 세력범위 안에서 발생한 경영장애에 해당하는 경우, 회사의 귀책에 해당하므로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아래와 같은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1. (제조업 등) 중국 공장 휴업에 따른 부품 공급 중단으로 휴업하는 경우
  2. (여행사, 병원, 숙박업종 등)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의 간접적 영향으로인한 예약취소·고객감소·매출감소 등으로 휴업하는 경우
  • 휴업수당은 평균임금의 70% 이상 지급해야 합니다.
  • 평균임금의 70%가 통상임금을 초과하면 통상임금을 휴업수당으로 지급할 수 있습니다.
  • 다만, 노동위원회 승인을 받은 경우 평균임금의 70% 미만(무급 포함)의 휴업수당 지급이 가능합니다.



무급휴직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매출감소 등을 이유로 회사가 무급휴직을 실시할 수 있는지?

  • 일반적인 매출 감소 등을 이유로 근로자의 의사에 반하여 무급휴직을 강요할 수 없습니다.
  • 따라서 회사가 일방적으로 무급휴직을 실시할 경우, 원칙적으로 휴업수당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46조)
  • 휴업수당은 평균임금의 70% 이상 지급해야 합니다.
  • 평균임금의 70%가 통상임금을 초과하면 통상임금을 휴업수당으로 지급할 수 있습니다.
  • 다만, 노동위원회 승인을 받은 경우 평균임금의 70% 미만(무급 포함)의 휴업수당 지급이 가능합니다.

<매출이 급감하고 적자가 지속되어 긴박한 경영상 필요가 있는 경우>
  • 다만, 매출이 급감하고, 적자가 지속되는 등의 사유로 고용 조정이 불가피할 정도로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고회피 노력의 일환으로 고용조정 대신 노사합의를 통해 무급휴직을 실시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대법원 2001다14665 참조)
  • 노사합의 과정에서 회사의 최근 경영상황에 대한 정보공유 등을 통한 설명·설득 노력 및 자율적 합의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습니다.




임금삭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매출감소 등을 이유로 임금을 삭감할 수 있는지?

  • 원칙적으로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급여 삭감 등 근로조건을 저하시키거나 이를 강요할 수는 없습니다.
  • 근로조건 변경을 위해서는 개별 근로자의 진정한 의사에 따른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 다만, 변경된 근로조건이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무효입니다.




권고사직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매출감소 등을 이유로 권고사직을 요구할 수 있는지?

  • 권고사직은 통상 회사가 근로자에게 사직을 권유하고 근로자가 이를 수용(동의)하여 사직하는 방식의 근로관계 종료 형태를 말합니다.
  • 권고사직은 성격상 회사가 근로자에게 권고사직을 수용할 것을 강제할 수 없습니다.
  • 만일, 회사가 임금삭감이나, 권고사직을 근로자가 수용하지 않음을 이유로 해고하는 경우,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8조)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기타 [코로나19] 각종 정부 지원금 제도
기타 [코로나19] 연차휴가와 재택근무
기타 [코로나19] 퇴직금과 실업급여
» 기타 [코로나19] 휴업·휴직·권고사직·임금삭감
임금 체불임금 지연이자의 근로소득 여부
임금 비노조원의 동의를 받아 노조비를 공제하는 것이 타당한지요?
임금 통상임금에 대한 노동부와 법원 차이(상여금 근속수당 식대)
근로시간 농림연구사업 보조 직무자도 근로시간을 적용받지 않는지요? (농림사업 근로시간 적용 예외 판단...
근로기준 실적에 따른 보수만을 지급받는 채권추심원의 근로자 여부
임금 수당을 평균임금에서 제외키로 한 노사합의가 효력이 있는지요?
해고 등 회사가 새롭게 정년제도를 신설하여 해고하는 경우 정당해고인지요?
근로기준 성과급 실적급을 받는 근로자의 최저임금
근로기준 정년 60세 의무 위반시 대응은?
근로기준 노동법보다 나은 기존의 근로조건을 마음대로 낮출 수 있는지요?
여성 계약직의 출산휴가 육아휴직 기간의 계약기간 포함 여부
해고 등 출산휴가기간중 중대한 비위사실이 발견된 경우에도, 해고할 수 없나요?
임금 3년이 지나도록 받지 못한 임금
임금 회사가 폐업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당금을 받을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1
임금 재직중 받지 못한 상여금을 청구할 수 있나요?
근로기준 교회업무 종사자의 근로자 여부
근로계약 과다한 인력소개요금과 아르바이트의 주휴일과 주휴수당 여부
여성 투잡상태에서(사업자등록) 육아휴직급여 받을수 있나요? 1
근로시간 출장 업무(사업장 밖 근무) 종료 후 현지 숙박시설 취침시간은 근로시간인지요?
근로계약 정년 60세 의무화법 내용
임금 시간당 아르바이트생입니다(최저임금법 위반 사업장입니다. )
여성 임신중 야간근로에 의한 유산인 경우 사업주를 처벌할 수 있나요? 1
해고 등 해고를 목적으로 지방으로 전출시키는 경우 부당해고인지요?
임금 경영성과를 기초로 지급하는 인센티브의 임금 여부 1
임금 체불임금 신고하는 것이 부담스럽습니다.
여성 재계약 시점과 출산휴가 신청기간이 맞물렸을 경우... 1
임금 체당금믈 받는 경우 사업주의 책임은? ('임금채권 대위'의 의미) 1
임금 복직하고 8개월 뒤에 퇴사할 때, 평균임금 계산시 상여금 산입방법
근로기준 계약직 텔레마케터의 근로자성 여부와 조퇴시 임금삭감
근로계약 한 달 근무하지 않으면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약정의 효력
연봉제 연봉제 실시를 위한 취업규칙 변경은 근로자 동의가 있어야 하는지요?
여성 2006년 1월부터 출산휴가시에 고용보험에서 90일 급여를 받을수 있나요? 1
여성 임신중인 여성근로자의 연장근로와 경이한 업무로의 전환 여부 1
기타 사업주 소재불명으로 노동부 임금체불 조사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근로계약 동의서에 근로자들이 연명한 취업규칙 개정의 효력
여성 산후1년미만 여성근로자의 연장,야간근로 제한 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