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rjfn 2010.02.12 19:09

빠른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답변을 보니

 

[기간의 단절없이 2010.1.1.부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였으므로, 2009.3.1.입사자로 계속근무하는 경우의 연차휴가 산정방식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로 되어있는데요

 

기간의 단절없이 2010.1.1부로 기간의 정함이 있다면 처음 주셨던 답변과 달라지나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교육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서비스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0.02.15 08:54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2010.1.1.에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자(기간제근로자)로 채용되었건,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무기계약근로자)로 채용되었건 관계없이 2009.12.31.계약기간만료이후 사실상 계속적으로 고용관계가 유지되므로 연차휴가부여를 위한 계속근로기간의 최초일은 최초의 입사일인 2009.3.1.로 보아야 합니다.

     

    만약, 2010.1.1.의 계약(무기계약 또는 기간제계약)이 사실상 형식에 불과한 채용절차가 아니라, 전혀 다른 채용절차(모집공고-지원서제출-채용심사-채용자 확정)에 따라 종전과 다른 업무에 종사하고, 근로조건 역시 종전과 전혀 다른 수준이었다면 이는 사실상 새로운 고용관계가 개시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따라서 종전의 근로계약과 새로운 근로계약은 단절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라면, 연차휴가부여를 위한 계속근로기간의 최초일을 2010.1.1 보아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귀하의 사례의 경우, 단순히 퇴직 및 재입사 절차를 거쳤을 뿐, 종전의 업무와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종전의 근로조건 등에 있어서 현격한 차이가 없다면 종전계약과 새로운 계약은 각각 단절된 계약으로 보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와관련한 보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된 곳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nodong.kr/406350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퇴직금 1 2010.02.28 1181
고용보험 이직확인서 2 2010.02.27 17566
휴일·휴가 연차계산방법(회계기준) 1 2010.02.27 5826
고용보험 실업급여받는기준에대해 1 2010.02.27 2033
해고·징계 계약직 중도 해고 1 2010.02.26 4144
휴일·휴가 연차휴가일수 부여관련입니다. 1 2010.02.26 1421
임금·퇴직금 퇴직금 문의, 체불임금과 지급방식 1 2010.02.26 1448
근로계약 퇴직일시에 대한 문제 1 2010.02.26 3095
산업재해 산재와..공상 1 2010.02.26 5677
임금·퇴직금 퇴직연금제도 1 2010.02.26 1958
임금·퇴직금 총 근무일수, 상시근로자수에 대해서 1 2010.02.26 2893
비정규직 공공기관 비정규직원의 시간외 수당과 연차수당에 관하여 1 2010.02.25 4491
휴일·휴가 연차수당 지급일에 대해 1 2010.02.25 3358
근로시간 궁금하여서 질문을 남깁니다. 1 2010.02.25 1265
기타 연말정산 1 2010.02.25 1096
근로계약 연봉제와 법정성과제 1 2010.02.25 1672
임금·퇴직금 결근,지각,조퇴 1 2010.02.25 5569
임금·퇴직금 노동부진정취하 후 약속불이행시 취할수 있는방법 1 2010.02.25 3619
노동조합 상급단체탈퇴 1 2010.02.25 1411
고용보험 이번에 실업급여를 못받으면 다음에 모았다가 받을수 있나요? 1 2010.02.25 2599
Board Pagination Prev 1 ... 2188 2189 2190 2191 2192 2193 2194 2195 2196 2197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