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정년 60세 의무 위반시 대응은?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년이 60세 이상으로 의무화 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법적인 실효성에 의문이 있습니다.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설정하지 않은 경우 벌칙이나 과태료, 기타 제재 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 외 법 시행 이후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 것인지 문의 드립니다.

답변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9조제1항에서 정한 정년 60세 의무화는 사업장의 규모에 따라 적용시기가 각각 다릅니다.

  • 300인 이상 사업장 및 공공기관은 2016년 1월 1일부터 적용
  • 300인 미만 사업장 및 국가 지방자치단체는 2017년 1월 1일부터 적용

따라서 해당 사업장은 취업규칙 등에 정년규정을 정비하여 운영해야 할 의무가 발생합니다.

말씀하신대로 법 위반시 처벌조항은 없습니다. 다만, 2016년(300인미만 사업장은 2017년)부터는 취업규칙의 개정 여부와 관계없이 정년은 최소 60세가 되므로, 사업장은  최소 60세까지 고용의무가 발생하며, 법 시행일 이후에 취업규칙상의 정년이 60세 미만이라는 이유로 근로관계를 종료한다면 이는 부당해고에 해당하므로 회사측의 근로관계 종료행위는 법률상 효력이 없습니다.

이 경우, 법적인 처벌과 구제방법 등은 부당해고에 대한 처벌과 구제방법과 동일합니다.


관련 정보


관련 법률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9조(정년)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정하여야 한다.
② 사업주가 제1항에도 불구하고 근로자의 정년을 60세 미만으로 정한 경우에는 정년을 60세로 정한 것으로 본다. [전문개정 2013. 5. 22.]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 상여금 지급일 이전에 퇴직한 경우, 상여금을 못받나요?
근로계약 단기 근로계약이 반복 갱신된 경우 계속근로년수의 산정은?
기타 실업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는 이직사유는?
근로계약 근로자가 사직서 제출과 관련해 유의할 점
연봉제 퇴직금을 연봉에 포함하고 12로 분할하여 지급, 그 효력은?
임금 퇴직금 중간정산 이후 연차휴가, 상여금, 승진을 위한 계속근로기간은?
기타 정년퇴직 규정을 신설하려고 합니다.
여성 출산휴가 와 육아휴직을 사용한 후의 퇴직금은? 1
연봉제 연봉계약시 퇴직금을 포함했는데, 1년이내 퇴직한다면, 반납해야 하나요?
연봉제 연봉제의 경우, 임금에서 퇴직금을 공제할 수 있나요?
근로기준 대기발령에 따른 임금저하와 퇴직금,연차수당 등
해고 등 사장 기분에 의한 갑작스런 해고 (해고수당,퇴직금,실업급여)
연봉제 연봉총액에 포함된 퇴직금액이 법정퇴직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연봉제 연봉에 퇴직금 포함한 후 1년미만에 퇴직한 경우, 퇴직금을 반환해야하나요?
해고 등 해고 후 퇴직금을 받으면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못하나요?
해고 등 회사가 새롭게 정년제도를 신설하여 해고하는 경우 정당해고인지요?
근로계약 정년퇴직후 촉탁직으로 고용전환이 이루어지는 방법
근로계약 정년퇴직의 싯점은?
임금 명절 귀향여비와 여름휴가비가 퇴직금 계산시 평균임금에 포함됩니까?
여성 출산휴가를 끝내고 복직 1주후 퇴직한다면 퇴직금 정산은? 1
임금 명절상여금 지급제한 규정의 효력(지급일 현재 퇴직자에 대한 상여금 지급 여부)
임금 개인연금 보조금,핸드폰 보조금이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나요?
해고 등 직급정년제는 인정될 수 있나요?
근로계약 정년 60세 의무화법 내용
» 근로기준 정년 60세 의무 위반시 대응은?
기타 [코로나19] 퇴직금과 실업급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