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02

민방위, 예비군훈련이 끝나고 회사에 돌아가야 하나요? (공의 직무)

저희 회사 근무시간은 08:00 ~ 17:00 까지입니다. 그런데, 민방위 교육이 09:00 ~ 13:00 까지입니다.

이때 아침 1시간은 교통시간으로 소비되므로 미출근 하였고 민방위 교육후 회사를 안들어가면 안되는지요?

가게되면 14까지 들어갈수 있고 점심 또한 굶습니다. 꼭 회사를 들어가야 하는지?

답변

근로기준법 제10조에서는 "사용자는 근로자가 근로시간 중에 선거권 기타 공민권의 행사 또는 공의 직무를 집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청구하면 거부하지 못한다"고 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민방위훈련을 받게 된 근로자는 사용자에게 그 시간에 대한 근로제공의 면제를 청구할 수 있으며, 근로자의 청구가 있는 경우에 "그 시간만큼은" 사용자가 공의직무에 지장이 없도록 보장해주어야 합니다.

이처럼 공민권 또는 공의직무 수행일을 휴일 또는 휴가로 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충분한 보장"만을 정하고 있으므로 민방위훈련을 마치고 회사로 들어오게 하는 것이 위법은 아닙니다. 


관련 정보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제10조(공민권 행사의 보장)

사용자는 근로자가 근로시간 중에 선거권, 그 밖의 공민권(公民權) 행사 또는 공(公)의 직무를 집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청구하면 거부하지 못한다. 다만, 그 권리 행사나 공(公)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에 지장이 없으면 청구한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비군법 제10조(직장 보장)

다른 사람을 사용하는 자는 그가 고용한 사람이 예비군대원으로 동원되거나 훈련을 받을 때에는 그 기간을 휴무로 처리하거나 그 동원이나 훈련을 이유로 불리한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해고 등 근로자의 잘못을 이유로 한 해고의 정당성
임금 회사가 부도,법정관리 상태인데 체불임금은 어떻게 합니까?
근로기준 시간제 근로자의 4대보험 가입 자격 여부
근로계약 취업규칙의 개정을 통한 근로조건의 변경은 어떤 방법으로 가능한가?
연봉제 연봉계약기간이 지났는데, 회사가 재계약을 하지 않으면...(연봉계약의 묵시적 갱신)
임금 특별상여금이 임금인지 여부에 관한 검토
» 근로시간 민방위, 예비군훈련이 끝나고 회사에 돌아가야 하나요? (공의 직무)
근로시간 당직근무 인지요? 연장근무 인지요? (당직,일직,숙직과 연장근로의 구분)
근로계약 전자근로계약서 사용시 주의사항
임금 명절상여금 지급제한 규정의 효력(지급일 현재 퇴직자에 대한 상여금 지급 여부)
임금 임금 퇴직금 최우선변제 제도란 무엇인가요?
근로계약 근로조건의 명시와 근로계약서 교부 의무화
근로계약 회사의 인수, 합병시 고용승계 여부
임금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시간외수당(고정OT수당)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는지요?
근로계약 회사가 사직서 제출을 강요하는 경우
임금 상여금 지급일 이전에 퇴직한 경우, 상여금을 못받나요?
기타 소액재판이란 무엇인가요?
해고 등 무작정 정리해고가 가능합니까? (정리해고의 요건과 절차)
임금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수당은?
근로시간 월급제 근로자도 연장 · 야간근로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지?
근로기준 파트타이머(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은 어떻게 하나요?
기타 진정서 작성 방법 (체불임금)
임금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직책수당, 자격수당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나?
근로기준 근로자의 동의 없이 사무실 내부에 cctv 설치 하였을 경우
근로계약 근로계약이 만료되었는데, 계약만료 기간 이후에도 계속하여 회사에 출근할 의무가 있나요?
근로기준 근로자성 판단기준과 사례 (학원강사, 지입차주, 학습지교사 등)
기타 회사가 아무런 재산이 없습니다. (재산명시제도와 재산조회제도의 활용)
임금 예비군훈련 참가와 임금 지급 여부 (공의 직무시 임금지급 여부)
임금 감시단속직 3교대 근로자 급여 산출과 연차수당 계산 방법
임금 각종 수당을 정액으로 정하여 임금에 포함시키는 경우 (포괄임금계약)
임금 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기 위한 상여금 규정 변경
해고 등 수습사원은 마음대로 해고할 수 있나요?...수습끝나는 날 해고통보
해고 등 해고와 해고수당은?
근로계약 업무상 발생한 손해금은 배상해야 하나?
근로계약 사용자가 근로계약을 일방적으로 어긴 경우는?
근로계약 동종업계로의 취업금지 계약서의 효력 (영업비밀의 보호)
근로기준 회사 임원을 맡고 있는데, 근로자인지요? (임원의 근로자성 판단기준)
기타 실업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는 이직사유는?
임금 상여금은 임금인가요? (상여금에 관한 기초적 지식 / 정의와 성격)
기타 휴직기간(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동안 4대보험료는 어떻게 처리됩니까?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