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7

퇴직자의 연차휴가 정산

저희 회사에 2010년 9월 1일 입사하신 후 2023 1월 3일자로 퇴사예정인 분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2003년 연차는 몇일이 되는 건지요? 다음 두가지 안 중에서 선택을 해주세요.

1안) 2023년-2010년 + 10일 = 24일의 연차 발생

2안) 내년 근무 가능 일수가 2일이면 이틀만 발생한다. 즉 2일의 연차 사용시 추가 보상은 발생하지 않음

어떤 분이 2안을 내시면서 하시는 말씀이, 24일의 휴가를 주라는 것이 법이다!

즉, 이른 퇴사로 인해 그것을 다 쓰지도 못할 상황에서까지 휴가를 발생시켜 보상을 하라는 것은 무리가 있지 않느냐고 하시는데 그것도 설득력이 있는 것 같아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답변

입사일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계산하는 회사의 경우

연차휴가의 부여는 원칙적으로 개별근로자마다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부여되므로 2010.9.1에 입사한 근로자의 연차휴가와 수당의 부여는 다음과 같습니다.

-2010.9.1~2011.8.31까지 개근한 것에 대해 2011.9.1~2012.8.31까지 15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기간중에 사용하지 못한 휴가에 대해서는 2012.9월 급여일에 수당으로 보상하고,

-2011.9.1~2012.8.31까지 개근한 것에 대해 2012.9.1~2013.8.31까지 15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기간중에 사용하지 못한 휴가에 대해서는 2013.9월 급여일에 수당으로 보상하고,

-같은방식으로 ,

-2020.9.1~2021.8.31까지 개근한 것에 대해 2021.9.1~2022.8.31까지 20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기간중에 사용하지 못한 휴가에 대해서는 2022.9월 급여일에 수당으로 보상하고, 이때의 연차수당은 퇴직금산정에 가산하지만,

-2022.9.1~2023.1.3 퇴직일까지에 대해서는 1년을 개근하지 못하였으므로 연차휴가의 청구권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수당청구권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회사의 회계일(1.1)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계산하는 회사의 경우

이렇게 연차휴가의 기산일은 개별근로자의 입사일이 기준이나 회사에 따라 자체적으로 정한 기산일 (매년 1.1 등)을 정하여 전체의 근로자에 대해 일괄적용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당해 근로자에게 있어서 불이익이 있어서는 절대 안됩니다.

연차휴가기산일을 개별근로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하건, 회사가 자체적으로 정한 기산일로 하건, 연차휴가제도는 먼저 휴가를 부여하는 제도이고 부득이하게 휴가를 사용하지 못한것에 대해서 수당으로 보상하는 것은 사실상 후차적인 문제입니다.

따라서 당해 근로자(연차휴가 기산일을 입사일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만약 2023.1.3에 퇴직하였다면 2021.9.1~2022.8.31까지 근무한 것에 대한 휴가일 수 만큼 사용하지 않은 연차휴가에 대해 수당으로 보상이 가능합니다.


관련 정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 하청업자가 임금을 미지불하고 잠적하였다면?
근로기준 파트타이머, 단시간근로자의 연장근로에 대한 가산임금은?
근로기준 파트타이머(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은 어떻게 하나요?
여성 파견직 계약기간 만료시에 출산휴가에 들어가있다면 어떻게... 1
기타 특별성과급여는 고용보험료 부과대상에 포함되는지요?
임금 특별상여금이 임금인지 여부에 관한 검토
여성 투잡상태에서(사업자등록) 육아휴직급여 받을수 있나요? 1
» 임금 퇴직자의 연차휴가 정산
기타 퇴직을 했는데, 자격증을 돌려주지 않고 퇴직처리도 하지 않습니다.
연봉제 퇴직금을 연봉에 포함하고 12로 분할하여 지급, 그 효력은?
여성 퇴직금 중간정산과 생리휴가
임금 퇴직금 중간정산 이후 연차휴가, 상여금, 승진을 위한 계속근로기간은?
임금 통상임금이란? (정의와 계산법) file
임금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수당은?
임금 통상임금에 대한 노동부와 법원 차이(상여금 근속수당 식대)
근로계약 통상근로에서 교대제근로로 전환하는 경우 취업규칙을 개정해야 하는지요?
근로기준 카페 알바인데, 최저임금법 위반 사업장입니다!
근로계약 취업규칙의 개정을 통한 근로조건의 변경은 어떤 방법으로 가능한가?
근로기준 취업규칙을 불이익변경하는 경우,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이 동의권이 있나요?
연봉제 취업규칙에서 정해진 연봉제도를 지금보다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
근로계약 취업규칙 불이익변경이 무효인 경우, 개정 취업규칙의 적용대상은?
근로계약 취업규칙 변경 동의 여부를 노사협의회에서 근로자에게 일괄적으로 받으면 효력이 있는지요?
임금 출퇴근보조비,차량유지비,유류대 임금 여부와 삭감
근로시간 출장업무 수행 중 연장수당을 청구할 수 있는지요? (간주근로시간제도)
근로시간 출장 업무(사업장 밖 근무) 종료 후 현지 숙박시설 취침시간은 근로시간인지요?
여성 출산휴가후 복직시 부당한 부서이동 어떻게 하나요?
여성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회사가 허락하지 않습니다.
여성 출산휴가를 끝내고 복직 1주후 퇴직한다면 퇴직금 정산은? 1
여성 출산휴가는 언제부터 시작할 수 있는지요? 1
해고 등 출산휴가기간중 중대한 비위사실이 발견된 경우에도, 해고할 수 없나요?
여성 출산휴가 중 회사분할로 인한 퇴직 (고용승계되는 경우 출산휴가급여의 처리) 1
여성 출산휴가 와 육아휴직을 사용한 후의 퇴직금은? 1
여성 출산휴가 사용시 연차휴가 출근율
여성 출산휴가 90일중 일부만 사용한 경우,산전후휴가급여는? 1
여성 출산일이후에만 출산휴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1
여성 출산으로 인한 권고사직과 출산휴가 도중 사직처리
기타 최고장(독촉장) 작성 방법
임금 체불임금을 청구하자 회사에서 재직중 과다 지급된 임금을 공제한다고 합니다.
임금 체불임금을 입증할 증거가 없어요
임금 체불임금 지연이자의 근로소득 여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