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제와 취업규칙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를 보면,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를 넘어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2018년에는 14%를 넘어 ‘고령사회’, 2025년에는 20%로 확대돼 ‘초고령 사회’로 들어선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년층 근로자의 주된 일자리 퇴직연령은 53세(남성 55세, 여성 51세)에 불과하다. 특히 대기업 대졸 사무직을 중심으로 명예퇴직 등 조기퇴직 관행이 여전하다. 사회 전체적으론 고령자가 급증함에도 우리 산업 및 노동시장은 장년·고령근로자를 수용할 수 있는 준비가 전혀 돼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상황은 더 나빠지고 있다. 노동시장 내 생산가능인구(15세∼64세)는 지난해를 정점(3763만명)으로 올해부터 감소한다. 2020년부터는 연평균 30만명 이상 급감하기 시작해 2065년에는 2062만명으로 줄어들어, 부양인구가 생산가능인구보다 많아진다. 1명이 벌어서 1명 이상의 유아 또는 고령자를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정년퇴직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면서 기업 내 노동시장을 장년·고령친화적으로 재편하지 않으면, 기업의 경쟁력은 물론 우리 경제의 지속성장 또한 담보할 수 없다. 인구절벽에 대한 해법 중 하나로 정부가 제시한 것이 60세 이상 법정정년제 도입이다. 기업 또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장년·고령인력을 핵심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이와 함께 관련 인사제도를 정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정년제도란 사업장내 취업규칙에서 또는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 약정한 연령에 도달하면, 근로 가능여부나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근로계약을 종료하는 제도다. 이러한 정년제도에 대해 과거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고령자고용촉진법)’은 정년 나이를 60세 이상으로 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권고적 효력만 부여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사업장에서는 노사간 협상 등을 통해 정년을 정해 운영했다. 그러나 2013년 정년 60세 이상 법정정년제가 도입됐고 3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16년 300인 이상 사업장 및 공공기관에 적용됐다. 그리고 2017년 1월1일부터는 국가·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해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에 적용됐다.

모든 사업장에 법정도입제가 적용됨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정해야 하고,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정하지 않는 경우 근로자의 정년은 60세로 간주한다. 

관행적으로 정년 넘겨 근무…정년제 이유로 한 해고는 ‘부당해고’

법정정년제 도입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정해야 하고,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정하지 않는 경우 근로자의 정년은 60세로 간주한다. 만약 사업장내 취업규칙에 따른 정년규정이 60세 미만인 경우, 이를 근거로 근로관계를 종료한다면 고령자고용촉진법을 위반한 부당해고에 해당된다. 기존의 60세 미만 정년규정을 근거로 해고를 당한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구제신청을 통해 원직복직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했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상당액을 사용자는 지급해야 한다.

회사 정년이 60세 미만인 경우 60세 이상으로 정년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과 협의절차를 거치는 것으로 족하다. 그러나 60세 미만인 정년규정을 60세 이상으로 연장하면서, 임금피크제를 동시에 도입하는 경우에는 임금삭감 등 근로조건 불이익 변경에 해당돼 노동조합의 동의절차를 거치는 것이 원칙이다.

또 많은 사업장 특히 중소 제조업에서 회사내 정년규정(60세)은 있지만, 생산인력이 부족해 관행적으로 또는 회사의 묵인하에 정년 이후까지 고용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같은 사업장에서 법정정년제 도입을 이유로 만 60세에 도달한 근로자에 대해 정년퇴직 처분을 하거나, 정년을 넘겨 계속 근무중인 근로자를 정년 또는 고령을 이유로 해고하면 부당해고에 해당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대판 2003.12.12.선고, 2002두12809).

생일전 정년퇴직.png

근로관계 종료일 아니라 만 60세 도달하는 날 ‘정년’

고령자고용촉진법에서 정한 ‘60세 이상 정년’에서 ‘60세’란 ‘만 60세’를 의미한다. 그러나 취업규칙에 정년을 ‘60세’로만 정하고 근로관계 종료일에 대한 명시규정 또는 관행이 없는 경우 노사간의 다툼이 발생할 수 있다. 만 60세에 도달하는 날을 의미하는지, 종료되는 날을 의미하는지 문제가 될 수 있다. 판례(대판 1973.6.12. 선고, 71다2669)와 행정해석(근기 68207-686, 94.4.25)의 입장은 만 60세에 도달하는 날(주민등록상의 생일)을 정년으로 본다.

입사 시 제출한 주민등록상의 생년월일이 근로계약기간 중 변경돼 정정한 경우에는 인사기록변경신청이 제한되지 않는다면 변경된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정년 도달일을 판단한다. 지방공무원인 A는 임용신청 당시 잘못 기재된 호적상 출생연월일을 생년월일로 기재했고, 처음 임용된 때부터 약 36년 동안 A는 공무원인사기록카드에 기재된 생년월일에 대해 전혀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A는 정년을 1년3개월 앞두고 호적상 출생연월일을 정정한 후 그 출생연월일을 기준으로 정년의 연장을 요구하는 것이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하지 않는다고 보아 A의 청구를 인용한 사례가 있다(대판 2009.3.26. 선고, 2008두21300).

법정정년제 도입에 따라 증가할 수 있는 사업주의 임금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는 고령자 고용연장지원금제를 도입·운영하고 있다. 상시근로자 수가 300명 미만인 사업의 사업주가 ▲정년을 폐지하거나 ▲기존에 정한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1년 이상 연장한 사업주 ▲정년퇴직자를 재고용한 사업주가 지원대상이다.

정년폐지 및 정년연장 지원금

정년을 폐지하거나 기존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1년 이상 연장한 경우, 정년연장에 따라 계속 근로하는 근로자 1인당 3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기간은 정년을 폐지한 경우에는 1년간, 정년을 1년 이상 3년 미만 연장한 경우에는 1년간, 그리고 정년이 3년 이상 연장한 경우에는 2년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정년퇴직자 재고용

정년을 55세 이상으로 정한 사업장의 사업주가 정년에 도달한 근로자를 퇴직시키지 않거나, 정년퇴직 후 3개월 이내 재고용한 경우에 근로자 1인당 30만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지원기간은 재고용기간이 1년 이상 3년 미만인 경우는 6개월간, 재고용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는 1년간 지원한다. 단 1년 미만의 기간을 정해 재고용한 경우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다.

‘100세 시대’ 수명연장이 인간의 재앙이 아닌 신의 축복이 될 수 있도록 개인을 비롯해 기업과 사회가 준비를 해야 한다. 정년 연장 또한 이러한 시대의 추세에 맞춘 것으로 볼 수 있다. 법정정년제 도입에 따른 노사간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취업규칙 등 관련제도를 서둘러 정비해야 한다.


관련 정보

Atachment
첨부파일 '2'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1. 미투, 성희롱 피해자 도운 근로자 징계는 위법…손해배상도 해야

    서지현 검사, 미투, ‘미퍼스트’ 그리고 르노삼성 대법, 성희롱 피해자 도운 근로자 징계 위법…손해배상책임도 인정 사업장내 성희롱 사건의 피해자와 피해자를 도운 동료직원에게 불이익한 인사처...
    2018.05.08 조회1702 file
    Read More
  2. 휴게시간에 휴식·대기했다면 해당시간 임금 지급해야

    경비직 ‘근로시간 줄여 휴게시간 늘리기’에 제동 대법원 “휴게시간에 휴식·대기했다면 해당시간 임금 지급해야” 올해 부쩍 아파트 경비노동자들의 상담이 늘었다. 상담의 주된 내용은...
    2024.04.16 조회4005 file
    Read More
  3. 포괄임금계약, 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운 경우에만 인정

    대법원, 포괄임금제 남용 경종 대법원이 근로시간 산정이 가능하다면 포괄임금제를 적용할 수 없으며 최저임금보다 낮게 책정된 포괄임금 계약은 무효라고 판결했습니다. 노인요양보호사의 포괄임금제 적용에 대한 대...
    2024.04.16 조회2531 file
    Read More
  4. 대학교 조교도 근로자, 퇴직금 지급해야

    학교로부터 받는 장학금 명목의 금품은 근로제공의 댓가, 업무종속성 인정 최근(2017.11월) 고용노동부가 대학교 조교도 근로자라고 결정했습니다. 그동안 대학교 조교는 캐디 학습지교사 보험설계사 대리기사 등과 ...
    2017.11.14 조회1425 file
    Read More
  5. 포괄임금계약도 위법하면 미지급 임금 줘야

    근로시간의 산정이 어려운 경우가 아니면 포괄임금제 적용 부적절 포괄임금제란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근로시간에 관계없이 연장, 야간, 휴일가산수당 등 법정수당을 포함해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기로 정한 계약을...
    2024.04.16 조회1057 file
    Read More
  6. 5인미만 사업장도 6개월 미만자 해고예고 유의해야

    헌법재판소 위헌 판결 이후, 대법원도 "6개월 미만자 해고수당 지급하라" 판결 입사 후 6개월이 안된 월급제 근로자가 ‘해고예고없이 행한 해고처분이 부당하다’며 해고예고수당을 청구한 사건에서 동 수...
    2024.04.16 조회2241 file
    Read More
  7. 법정정년제 적용, 취업규칙 제도 정비 서둘러야

    정년제와 취업규칙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를 보면,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를 넘어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2018년에는 14%를 넘어 ‘고령사회’, 2025년에는 20%로...
    2024.04.16 조회907 file
    Read More
  8. 사업자 등록한 ‘소사장’ 근로자일까 사장일까

    사업자등록 여부가 근로계약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근로관계 단절 경위, 운영의 독자성·노무지휘권 존부 등 따라 판단 ‘소사장’이라 하더라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할 수 있다. 소사...
    2024.04.16 조회6471 file
    Read More
  9. 도보 자가용 대중교통을 이용한 출퇴근 사고 모두 산재

    회사가 제공한 교통수단을 이용해야만 산재가 되는 것은 아니다 헌재, ‘심판대상조항’ 위헌…내년말까지 산재보험법 개정해야 산업사회의 발달로 생산과정에서 근로자의 재해발생은 불가피한 현상...
    2024.04.16 조회523 file
    Read More
  10. 시용기간 끝나 근로계약 해지하면 분쟁 소지

    시용기간 끝나 근로계약 해지하면 분쟁 소지 특별한 사유없이 해지하면 계약기간 만료가 아닌 해고로 해석 신규 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수습, 시용, 인턴 기간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신규 입사자의 경우 3개월...
    2024.04.16 조회4237 file
    Read More
  11. 정리해고 필요는 일부사업부가 아니라 회사 전체로 판단해야 한다

    일부 부서 경영악화 따른 정리해고는 정당성 인정받기 어려워 ‘긴박한 경영상 필요’ 정리해고 판단 ‘사업부 아닌 법인’ 기업 운영 중 일부 사업부서의 실적악화를 이유로 부서를 축소하거나 ...
    2024.04.16 조회696 file
    Read More
  12. 근로계약, 해고통보, 연차휴가촉진은 '서면’ 원칙

    근로계약 체결, 해고통지, 연차휴가 촉진의 방법과 원칙 이메일 · 문자메시지 해고통지, 전자문서 보편화로 다툼 늘어 근로관계의 형성 및 유지, 해지과정에서 중요한 사항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서면으로 작성...
    2024.04.15 조회2123 file
    Read More
  13. 유니온샵과 사용자의 해고의무

    유니온샵과 사용자의 해고의무 홍길동은 2002년 ○○택시회사에 입사하였고, 단체협약에서 ‘회사는 운전직 근로자 중 회사에 종사하는 전체 근로자를 노동조합원으로 하는 유니온숍을 인정한다.’는 이른바 ‘유니온숍’ ...
    2019.05.27 조회25414 file
    Read More
  14. 노사관행에 의한 근로조건과 변경요건

    노사관행은 함부로 바꿔도 되나? 노사관행에 의한 근로조건 300인 규모의 제조업 사업장의 사무직노동자가 회사측의 당직수당제도 변경조치에 따른 심층상담을 요청해왔다. 내용인즉, 회사에서는 10여년전부터 취업규...
    2024.04.15 조회14810 file
    Read More
  15. 장시간근로시 휴게시간 부여 기준이 명확해야

    장시간근로와 휴게시간 금형사업체에 근무하는 노동자 홍길동씨는 상담소를 찾아와 1일 8시간 실근로 이후 작업물량이 밀리는 날에는 5~8시간 정도의 연장근로를 하고 있다고 했다. 그런데 회사에서는 단지 정규근로...
    2024.04.15 조회30161 file
    Read More
  16. 대체휴일이 유효하기 위한 요건

    휴일 대체는 회사 마음대로? 무분별한 휴일대체 비일비재 A사는 원청사로부터 급작스럽게 생산물량을 증가해줄 것을 요청받고 토요일 퇴근 무렵 전체 노동자들에게 주휴일(일요일)에 근무하고 다른 근무일에 쉴 것을 ...
    2024.04.15 조회15129 file
    Read More
  17. 하청사 임금 원청사에 청구할 수 있나?

    하청회사 근로자의 임금을 원청사에 청구할 수 있나? A회사로부터 휴대폰단말기 도장을 도급받은 B업체에 근무하는 노동자 홍길동은 원청 A회사가 하청 B회사에 도급계약상의 도급금액을 수차에 걸쳐 제때 지급하지 ...
    2024.04.15 조회13163 file
    Read More
  18. 당직근무에 대해 연장·휴일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나

    당직근무와 연장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당직근무는 당직수당만 지급하는 끝? 한 사회복지기관에서 일선 사회복지업무를 맡고 있는 노동자 이몽룡은 장시간노동에 따른 고통을 호소해왔다. 얘기인 즉, 일주일 간격으로...
    2024.04.15 조회23829 file
    Read More
  19. 연차유급휴가 사용가능일수보다 부족한 기간을 근무하고 퇴직한 노동자의 연차수당

    연차유급휴가 사용가능일수보다 부족한 기간을 근무하고 퇴직한 노동자의 연차수당 금융권회사에 근무하는 노동자 홍길동은 1969.4.1 회사에 입사하여 1998.4.1부터 44일의 연차휴가청구권이 발생한 상태에서 1998.4....
    2024.04.15 조회16952 file
    Read More
  20. 연봉총액에 포함된 퇴직금에 대한 노동부 태도 문제 있다

    연봉총액에 포함된 퇴직금 요샌 연봉제와 관련된 상담이 최근 부쩍 늘었다. 조직의 효율성을 높인다며 기업들이 우후죽순처럼 무분별하게 도입한 연봉제도는 결국 조직내 결속력 약화, 노동자의 사기저하 등으로 인해...
    2024.04.15 조회31380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