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8.04.14 00:54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연령의 계산은 특별한 정함이 없다면 음력 양력과 관계없이 주민등록번호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따라서 귀하가 법원에 호적정정을 하지 않는 이상 주민등록상의 나이를 기준으로 정년조치를 한다고 하여 위법하다고 볼 수 없을 것입니다.

이와관련된 아래 노동부 행정해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취업규칙상의 정년을 적용함에 있어서 입사시 표기된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정년 시점을 계산하여야 한다 ( 2005.11.18, 근로기준팀-1242 )

[질 의]

저는 1949년 6월 30일(음력)에 태어나서 정상적인 성장과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가장임. 제가 태어날 때는 저희 부모님들이 태음력을 쓰는 관행으로 호적부에 음력으로 신고했고 1976년 2월 15일 회사 입사 당시에도 인사기록카드에 음력을 신고하여 지금까지 성실히 근무하고 있음.

2003년 9월 본적지인 광주지방법원에 양력으로 호적정정 신청을 하여 인정받아 호적부와 주민등록부에 모두 7월 25일(양력)로 기록수정을 하였음. 그리고 수정한 자료를 인사 관련 부서에 제출하였으나 법원의 호적 정정을 인정하지 않고 있음.

저희 회사는 인사규정상 6월과 12월 말을 기준으로 정년퇴직을 하고 있으며 2005년 7월 1일자로 임금피크제(2004년 7월 시행한 노사합의사항임)에 따른 인사명령을 받았습니다. 본인은 6월 30일을 7월 25일로 호적 정정을 하였음으로 2006년 1월 1일에 임픔피크 대상에 해당된다고 판단함.

이와 같은 내용을 본인과 회사가 서로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음으로 질의함.

<갑설>
호적부와 주민등록부가 정정되었음으로 퇴직시점도 이에 따른다.

(사유)
1992년 대법원판결 92다11824-퇴직무효확인과 저희 회사 법규부(인사관련부서가 요청한 법률자문 의견회신)에서도 “입사 당시 표기된 생년월일만을 기준으로 처우하기로 약정하였다고 인정할 자료가 없다면 퇴직일은 정정한 일자에 의하여 퇴직일을 정해야 한다”는 것과 본인은 음력을 단순히 양력으로 정정한 것에 불과함으로 판결문을 인용한 갑설이 합당하다.

<을설>
입사 당시 회사에 신고한 일자(음력 6월 30일)를 기준으로 퇴직일을 정한다.

(사유)
한겨레신문(인터넷한겨레 2005.3.27, 고법판결)과 서울연합뉴스(2004.6.2, 지법판결)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정부출자기업에 근무하는 이아무개(59세)씨가 정년을 불과 3개월 앞두고 인사기록을 바꾸어 달라고 주장하였음으로 당초 신고한 인사기록에 의한 정년발령은 정당하다”고 판결하였음. 그럼에도 우리 회사도 입사 당시에 신고한 음력생일을 양력생일로 법원에서 정정하였다고 하더라도 을설이 합당하다.

[회 시]

1. 근로자가 입사할 때에 입사서류에 기재한 생년월일은 그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사용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할 것을 청약한 것이고 사용자가 이를 승낙하여 근로관계를 맺기로 합의하였다면, 특별한 사정(법원의 판결이 있을 경우 입사 당시 표기한 생년월일을 고칠 수 있도록 취업규칙에 정하는 등)이 없는 한, 취업규칙상의 정년을 적용함에 있어서도 입사시 표기된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정년 시점을 계산하여야 할 것임.

2. 인사규정(취업규칙으로 볼 수 있음)으로 직원의 정년을 정하고 있고, 인사규정에서 직원의 채용에 관한 세부사항을 위임한 ‘인사규정시행세칙’에 ‘본인의 정당한 요구가 있을 때’ 인사기록을 수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면, 이는 취업규칙에 입사시 표기된 생년월일을 수정할 수 있는 근거를 규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귀 질의와 같이 법원의 판결로 생년월일이 정정된 경우, 근로자가 인사기록의 생년월일의 수정을 요구하는 것은 일응 ‘인사규정시행세칙’에 정하여진 ‘본인의 정당한 요구가 있을 때’로 볼 수 있다고 할 것이므로, 정년퇴직시점은 정정된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이 타당할 것임.
---------------------------------------------------------------------------------------------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저희 사업장은 공무원과 같이 1년에 6월과 12월 년 2회 퇴직을 합니다.
>즉, 6월 말 이전 생일은 6월, 12월 말 이전은 12월에 퇴직 시키고 있는데
>호적에 음력으로 되어 음력 12월 생은 다음 년도 6월인지 아니면 당해 년도 12월이 퇴직인지 알려 주세요. 음력의  만의 나이로 계산하면 다음 년도 6월 말이 정년으로  넘어가야 하는데 맞는지요.
>감사합나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해외)재택근무자_ 연차휴가관련(단시간 근로자의 연차휴가 산정... 2008.04.15 3590
2개월 임금 체불에 따른 퇴직예정과 실업급여 신청에 관하여 제발... 2008.04.14 1851
☞2개월 임금 체불에 따른 퇴직예정과 실업급여 신청에 관하여 제... 2008.04.15 3002
지금직장에서 4개월 일했습니다 실업급여 1 2008.04.14 940
☞지금직장에서 4개월 일했습니다 실업급여 2008.04.14 1568
퇴직금을 줘야하나요? 2008.04.14 1049
☞퇴직금을 줘야하나요?(사업자 등록 여부와 퇴직금) 2008.04.14 1399
퇴직금관련... 2008.04.14 763
☞퇴직금관련...(감봉조치와 퇴직금) 2008.04.14 1623
노사협의회 신고 관련 문의 2008.04.14 1619
☞노사협의회 신고 관련 문의(협의회규정 제출 의무) 2008.04.14 4045
해고 관련 문의드립니다. 2008.04.14 1099
☞해고 관련 문의드립니다.(정리해고 및 희망퇴직) 2008.04.14 1816
해고관련 문의드립니다. 2008.04.13 931
☞해고관련 문의드립니다. (8년째 계약직에 대한 갱신거부) 2008.04.14 1094
정년 월 게산법 2008.04.13 2025
» ☞정년 월 계산법 (호적에 음력으로 생년월일이 되어 있는 경우) 2008.04.14 17179
조합규약과 지부운영규정의 관계 2008.04.13 905
☞조합규약과 지부운영규정의 관계 (절차상 하자가 있는 노조결의... 2008.04.13 1523
체력부족으로 인한 실업급여 수급가능여부 문의 2008.04.12 2120
Board Pagination Prev 1 ... 2494 2495 2496 2497 2498 2499 2500 2501 2502 2503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