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1.21 17:59

안녕하세요. kwanh001 님, 한국노총입니다.

1. 육아문제로 인한 이직의 경우, 근로자의 주소 혹은 직장의 근처 또는 통근경로상의 적당한 장소에 보육을 위한 시설 또는 친족 등이 없다면 수급자격을 쉽게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나, 그 같은 시설이나 친족 등이 적당한 장소에 있었다 하더라도 근무의 시간대와 보육시간대와의 관계 등으로 인하여 보육의 의뢰가 불가능하다고 인정되는 객관적인 사정이 있는 경우에도 수급자격이 인정됩니다. 다만, 그 객관적인 사정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근거가 근로자의 근무시간과 보육시간 그리고, 아이를 보육원에 맡기고 출근하는데 걸리는 시간 등이므로 그 점에 대해서 세밀하게 주장을 했어야 했다는 아쉬움이 남는군요. 만약, 당시 실업급여 수급불인정 판정이 있었다면 그 처분을 통지받은 날로부터 90일내에 심사청구를 할 수 있었습니다.

2. 귀하의 경우 이미 이직한지 11개월이 지났고, 당시 이의제기를 한 상황이 아니므로 소급하여 실업급여 수급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없군요. 희망적이지 않은 답변이어서 저희들도 안타깝습니다.

이상 노동OK입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길....

kwanh001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 저는 대구에 사는 직장인 입니다.
> 3년간 한택시회사에서 근무하다 사정상 이사를 했읍니다.
> 그래서 회사와 부모님댁과 멀리 떨어지게 되었읍니다.
> 7살난 아이와 부모님과 살다 아이와 저는 이사를 했읍니다.
> 근데 이사한 거리와 직장이 너무 멀고 아이의 보육문제로 직장을 그만 두게 되었읍니다.(퇴직일 2002년3월)
> 학교도 일년 늦추었음.(아이가 학교 방과후 돌봐줄 보육원도 근처에 없고(야간근무시 야간보육원 없음))
> 퇴직후 실업급여를 받으러 갔는데 실업급여 대상에서 안된다고 그러더군요
> 이유는 아이의 보육문제는 같은 지역에 부모님이 산다는 이유로....
> 하지만 직장과 부모님 사시는 동네가 같은데 차로 40분 거리이고, 택시는 오전, 오후 교대로 하기때문에
> 도저히 저로서는 양육이 불가능하고 부모님에게 맡기고 일하고 하는 시간이 직장 시간과 맞지 않은데도
> 실업급여를 받지 못한다네요.
> 포기한후 노동ok를 보고 다시 문의하니다.
> 직장을 그만둔것도 분명히 아이문제로 그만 두었는데 말입니다.
> 지금 11개월 정도 지났는데 환급 받을수 있는지 ?
> 200년 11월 부터 다른 직장으로 직장은 구했지만 그동안(8개월간)의 실업급여 청구를 할 수 있는지 ?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답변】 산재승인이 나지않았을 경우는? 2003.01.21 442
실업급여 청구건 2003.01.20 535
» 【답변】 실업급여 청구건 2003.01.21 618
3개월 실여급여을 받을수 있나여? 2003.01.20 568
【답변】 3개월 실여급여을 받을수 있나여? 2003.01.21 1245
감사합니다^^.. 2003.01.20 467
【답변】 감사합니다^^.. 2003.01.21 348
답변에 감사드리며..추가질문입니다(야간연장수당) 2003.01.20 451
【답변】 답변에 감사드리며..추가질문입니다(야간연장수당) 2003.01.21 391
사직서 제출후 근무날짜에 관한문의 2003.01.20 1480
【답변】 사직서 제출후 근무날짜에 관한문의 2003.01.21 1211
어학연수중의 실업급여 2003.01.20 905
【답변】 어학연수중의 실업급여 2003.01.21 975
고용보험미가입업체 2003.01.20 477
【답변】 고용보험미가입업체 2003.01.21 525
직업안정기관의 정의 2003.01.20 594
【답변】 직업안정기관의 정의 2003.01.21 3764
Q) 이직 관련 문의 2003.01.20 479
【답변】 Q) 이직 관련 문의 2003.01.21 460
아르바이트 수당 받지 못했습니다. 2003.01.20 330
Board Pagination Prev 1 ... 4654 4655 4656 4657 4658 4659 4660 4661 4662 4663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