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04

국민연금료율 건강보험료율 고용보험료율 산재보험료율(2023년)

  • 국민연금료율 : 9.0% (근로자 : 4.5%, 회사 : 4.5%)
  • 건강보험료율 : 7.09% (근로자 : 3.545%, 회사 : 3.545%)
  • 고용보험료율 : 실업급여 부문 1.8% (근로자 0.9%, 회사 0.9%) + 고용안정 부문(회사) 0.25%~0.85%
  • 산재보험료율 : 업종별 보험료율 + 출퇴근보험료율(0.1%) + 임금채권보담금률(0.06%) + 석면피해구제 분담금률(0.003%)
국민연금료율 건강보험료율 고용보험료율 산재보험료율

국민연금료율

국민연금료 기준 국민연금요율(전체) 근로자 사업주
소득월액 9.0% 4.5% 4.5%
상한액ㆍ하한액 소득 상한액ㆍ하한액 상한액 : 월590만원 (소득월액이 590만원 이상이면 590만원 기준)
하한액 : 월37만원 (소득월액이 월 37만원 미만이면 37만원 기준)
적용기간 : 2023년 7월 ~ 2024년 6월
연금료 상한액ㆍ하한액 상한액 : 월265,500원 (소득월액 590만원 기준)
하한액 : 월16,650원 (소득월액 37만원 기준)
  • 소득이란, 소득세법에 따른 근로소득에서 비과세 근로소득을 뺀 소득을 말합니다.
    • 대표적인 비과세 소득: 식비(월20만원이내) 자가운전보조금(월20만원이내) 출산보육수당(월20만원이내) 초과근로수당(연240만원) 연구활동비 (월20만원이내) 등 | 자세히 보기
  • 1,000원미만은 제외(절사)하고 계산합니다. (예: 월급여가 3,512,990원인 경우 3,512,000원 × 4.5%)
국민연금료율 건강보험료율 고용보험료율 산재보험료율

건강보험료율

건강보험료ㆍ장기요양보험료 기준 보험료율 근로자 사업주
건강보험료 보수월액 7.09% 3.545% 3.545%
장기요양보험료 보수월액 0.9082% 0.4541% 0.4541%
상한액ㆍ하한액 소득 상한액ㆍ하한액 상한액 : 월 110,332,300원 (소득월액이 110,332,300원 이상이면 110,332,300원 기준)
하한액 : 월 279,266원 (소득월액이 월 279,266원 미만이면 279,266원 기준)
적용기간 : 2023년 1월 ~ 12월
보험료 상한액ㆍ하한액 상한액 : 월 7,822,560원 (근로자 사업주 각각 3,911,280원)
하한액 : 월 19,780원 (근로자 사업주 각각 9,890원)
  • 보수란, 소득세법에 따른 근로소득에서 비과세 근로소득을 뺀 소득을 말합니다.
    • 대표적인 비과세 소득: 식비(월20만원이내) 자가운전보조금(월20만원이내) 출산보육수당(월20만원이내) 초과근로수당(연240만원) 연구활동비 (월20만원이내) 등 | 자세히 보기
국민연금료율 건강보험료율 고용보험료율 산재보험료율

고용보험료율

구분 근로자 사업주
실업급여 0.9% 0.9%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150인 미만 - 0.25%
150인 이상(우선지원대상기업) - 0.45%
150인~999인(우선지원대상기업 제외) - 0.65%
1,000인 이상 기업, 국가, 지방자치단체 - 0.85%
  • 소득이란, 소득세법에 따른 근로소득에서 비과세 근로소득을 뺀 소득을 말합니다.
    • 대표적인 비과세 소득: 식비(월20만원이내) 자가운전보조금(월20만원이내) 출산보육수당(월20만원이내) 초과근로수당(연240만원) 연구활동비 (월20만원이내) 등 | 자세히 보기
  • 우선지원대상기업이란, ㆍ제조업 500인 이하 ㆍ광업 300인 이하 ㆍ건설업 300인 이하 ㆍ운수.창고.통신업 300인 이하 ㆍ기타 100인 이하 기업을 말합니다. | 자세히 보기
국민연금료율 건강보험료율 고용보험료율 산재보험료율

산재보험료율

구 분 내 용
보험료 계산 산재보험료 = 월 평균보수액 × [산재보험료율(각 업종별 보험료율 + 출퇴근보험료율(0.1%)} + 임금채권부담금 비율(0.06%) + 석면피해구제 분담금률(0.003%)]
- 업종별 보험료율 자세히 보기 링크
- 그 외 개별실적요율 및 예방요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건설업 개산보험료 건설업의 경우, 인건비 확정이 곤란한 경우가 많으므로
※ 개산보험료 = 총공사금액 × 노무비율 × 보험요율
※ 확정보험료 = (직영인건비 + 고용보험 가입하지 않은 하수급인 외주비×하도급노무비율) × 보험요율

관련 정보


다운로드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노동정책 유연근무제 도입 운영 매뉴얼 file 2019.08.10
노동정책 연차유급휴가청구권·수당·미사용수당과 관련된 지침 file 2021.12.17
노동정책 연봉제의 퇴직금 중간정산요건 지침 file 2005.08.22
노동정책 연봉계약서(연봉근로계약서) file 2005.08.17
노동정책 알기 쉬운 부당노동행위 사례와 실무 file 2006.04.18
노동정책 아파트 종사근로자의 근로조건 보호에 관한 지침 file 2024.02.29
노동정책 소규모사업장을 위한 7가지 노른자 노동법 file 2021.09.25
노동정책 사업장 노무관리 자율진단표(2023년) file 2023.02.19
노동정책 비정규직 차별 예방 및 자율 개선 가이드라인 file 2023.12.09
노동정책 대체공휴일 주요 Q&A file 2021.09.25
노동정책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근로기준법 적용방법 (근로기준법 시행령 별표+노동부 자료) file 2024.03.17
노동정책 노사협의회 운영매뉴얼(2022년 12월) file 2023.02.16
노동정책 노사협의회 운영 매뉴얼 file 2001.08.09
노동정책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질의회시 모음집 file 2013.07.31
노동정책 노동관계법 시행규칙 각종 서식 (총 89 종) file 2008.12.12
노동정책 기간제 근로자 판례분석 (근로계약 해지의 정당성) file 2008.06.19
노동정책 근로자파견(불법파견)의 판단 기준에 관한 지침 file 2008.08.29
노동정책 근로시간 해당여부 판단 기준 및 사례 (가이드라인) file 2018.06.11
노동정책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한 고용노동부 설명자료 file 2018.05.21
노동정책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 규정의 주요내용 file 2023.12.15
노동정책 근로기준법 질의회시집 file 2014.06.29
» 노동정책 국민연금료율 건강보험료율 고용보험료율 산재보험료율(2023년) file 2023.07.04
노동정책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문재인정부) file 2017.10.19
노동정책 고용장려금 지원제도(2023년) file 2023.02.19
노동정책 고용유지지원금 안내 file 2008.12.19
노동정책 고용보험법에 의한 각종지원금 제도 file 2005.05.14
노동정책 고용보험·산재보험 실무편람 file 2006.02.26
노동정책 계약직근로자(1년 또는 1년미만)에 대한 근로기준법 등 적용 지침 file 2006.08.22
노동정책 건설일용 근로자 보호지침 (노동부) file 2005.03.04
노동정책 개정 퇴직급여보장법 해설 file 2013.09.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