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에서 일하는데.급여는 220만원이고 근무시간은 16:00-04:00시까지인데
기본급 및 야간수당 월차수당 휴일수당및 휴게시간이 어떻게 책정되는지 알고싶어요
그리고 휴일은 일주일에 한번입니다 본인이 원하는 요일
식당에서 일하는데.급여는 220만원이고 근무시간은 16:00-04:00시까지인데
기본급 및 야간수당 월차수당 휴일수당및 휴게시간이 어떻게 책정되는지 알고싶어요
그리고 휴일은 일주일에 한번입니다 본인이 원하는 요일
성별 | 여성 |
---|---|
지역 | 경기 |
회사 업종 | 숙박 음식점업 |
상시근로자수 | 1~4인 |
본인 직무 직종 | 단순노무직 |
노동조합 | 없음 |
임금·퇴직금 | 동일임금 위반관련 1 | 2016.02.02 | 133 | |
임금·퇴직금 | 식대 및 업무수당의 통상임금 포함여부 1 | 2016.02.02 | 1933 | |
비정규직 | 계약직 사직서 1 | 2016.02.02 | 951 | |
기타 | 경조휴가로 인한 대체근무비 1 | 2016.02.01 | 1287 | |
여성 | 배우자 해외발령 기간 동안의 육아휴직 1 | 2016.02.01 | 1783 | |
근로계약 | 해외근무 퇴직관련 1 | 2016.02.01 | 199 | |
휴일·휴가 | 촉탁직 전환자 연차수당 1 | 2016.02.01 | 668 | |
여성 | 임신중 조기진통으로인한 조산진단서 질병 유뮤입니다. 1 | 2016.02.01 | 2311 | |
임금·퇴직금 | 임금체불 상담드립니다. 1 | 2016.02.01 | 664 | |
임금·퇴직금 | 포괄임금제에서 퇴직금과 연차보상비 계산방법과 유효성여부 1 | 2016.02.01 | 4066 | |
임금·퇴직금 | 근로계약서 작성, 임금 체불로 진정서 제출하려고합니다. 도움 부... 2 | 2016.02.01 | 861 | |
비정규직 | 기간제근로자 문의입니다 (공공기관 연수단원) 1 | 2016.02.01 | 646 | |
임금·퇴직금 | 그룹사 인사이동에 따른 1년미만자 퇴직금 지급 1 | 2016.02.01 | 434 | |
임금·퇴직금 | 만근수당관련 1 | 2016.02.01 | 338 | |
휴일·휴가 | 퇴직 시 연차 보상 기준... 1 | 2016.02.01 | 536 | |
» | 임금·퇴직금 | 기본급및 수당계산부탁드려요 1 | 2016.02.01 | 220 |
비정규직 | 퇴직 후 경영성과급 지급 기준 변경 2 | 2016.02.01 | 2368 | |
최저임금 |
근로계약서, 주휴수당 및 일일 근로시간 초과분, 해고에 관한 문의
1 ![]() |
2016.01.31 | 1672 | |
최저임금 | 급여 계산이 제대로 된건가요, 최저임금도 안되는금액으로 노동강... 1 | 2016.01.31 | 324 | |
임금·퇴직금 | 퇴직금관련 문의드립니다. 1 | 2016.01.31 | 231 |
1. 상시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사용자는 연장근로가산과 야간근로가산, 휴일근로에 따른 가산수당 그리고 연차유급휴가 지급의 의무가 없습니다.
2. 따라서 귀하의 경우 전체 실근로시간을 산출하여 해당 근로시간으로 월 급여총액을 나눴을때, 1시간의 시간급이 2016년 최저임금에 미달하는지 여부를 따져 근로기준의 준수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3. 귀하의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4시까지 근로제공을 한다면 1일 총 12시간 근로제공을 한 것이 됩니다. 근로기준법 제 54조에 따라 휴게시간은 4시간의 근로에 대해 30분, 8시간에 대해 1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부여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를 부여하지 않았다면 근로기준법 제 54조 위반이 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사용자를 상대로 관할 고용노동지청에 근로기준법 제 54조에 따른 휴게시간부여 의무 위반의 진정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4. 사용자가 1시간의 휴게시간을 부여하지 않았다 가정하고 답을 드리겠습니다. 1일 12시간×주 6일×4.34주(1달 평균 주수)=약 312시간의 실 근로시간이 나옵니다. 여기에 주휴수당이 35시간 더해져야 합니다. (1주 8시간×4.34주) 총 347시간의 근로시간수가 나오며 귀하의 월 급여 총액 220만원을 해당 근로시간수로 나누면 2,200,000/347시간=6,340원의 시간급이 나옵니다.
5. 2016년 최저임금은 시간급 6,030원으로 귀하의 1시간급은 최저임금에 미달하지는 않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