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1.10 17:25

안녕하세요. 공승관 님, 한국노총입니다.

근로자의 결근일을 차후 연차휴가로 간주하였던 관행이 있었을지라도 연차휴가일수가 이미 소진된 상태에서 연차일수를 초과한 결근일을 연차로 간주할 수 있는 근거가 없습니다. 다만, 지금까지의 사업장 내 관행상 결근을 하더라도 무급처리하여 월급에서 임금을 공제한 사례가 없었던 사실을 강조하여, 완전월급제임을 주장하는 수밖에 없으리라 보여집니다.

또한 회사내 근로조건 관련 규정(그것이 인사규정이든, 취업규칙이든, 사규든 관계없이 전체 사업장에 적용되는 근로자의 근로조건에 관한 규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근로자 과반수의 의견을 들어야 하고 그것이 근로자들에게 불이익하게 변경되는 것일 때는 단순히 의견을 청취하는 정도가 아니라 근로자 과반수(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다면 노동조합)의 동의까지 얻어야 하는 바, 그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회사가 근로조건 관련 규정을 임의적으로 바꾸었다면 무효를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노동OK 25번 사례 "근로조건의 불이익 변경 방식-1 (취업규칙 변경)"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안이 급하다면, 저희 상담소로 전화를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032) 653 - 7051~2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공승관 wrote:
>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
> 하지만 저희 직장에서는 특별히 근로계약서 등을 작성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정확히완전월급제인지 월급일급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 하지만 지금까지 단 한번도 연차일수보다 몇일 더 결근하였다고하여 월급을 공제한 관례가 없었습니다.
> 특히, 인사규정을 바꾸어 2002년 1월 3일자로 연차일수보다더 쉬는 경우 쉬는 날 만큼 급여에서공제하기로 하였나는 개정안을 통보받았을 뿐입니다.
> 법률도 소급효를 인정하지 않는데, 올해 개정된 인사안을 가지고 전년도 결근일수를 소급하여 1월 급여에서 공제하겠다는 것은 불법이 아닌지요 !!!
> 저희는 통상적으로 결근일을 그냥 사후에 연차처리하는 관행입니다.
> 꼭 사전에 연차휴가원을 제출하는 것은 아니지요.
> 답변에 감사드리며 이번 질의도 꼭 답변주시기 바랍니다. (급합니다)
> 그럼 많이 수고하세요 !!!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갑작스러운 권고사직 2002.01.11 620
Re: 갑작스러운 권고사직 2002.01.12 573
감사합니다. 2002.01.12 370
유급휴일의 해석에 관하여 2 2002.01.11 370
Re: 유급휴일의 해석에 관하여 2 2002.01.12 432
산전후 휴가에 대한 추가 답변 바랍니다.. 2002.01.10 354
Re: 산전후 휴가에 대한 추가 답변 바랍니다.. 2002.01.10 399
11781번 추가질문입니다. 2002.01.10 415
Re: 11781번 추가질문입니다. 2002.01.10 357
몸이 아파서 2002.01.10 470
Re: 몸이 아파서(몸이 아파서 퇴사하려고 하는데-실업급여 수급 ... 2002.01.10 6038
문의드립니다. 2002.01.10 362
Re: 문의드립니다.(임금이 체불되어 스스로 사직을 했는데 -실업... 2002.01.10 520
임금 삭감에 대하여... 2002.01.10 389
Re: 임금 삭감에 대하여...(결근일을 무급처리하는 것이 정당한가?) 2002.01.10 1090
보충 질의입니다,(급합니다) 2002.01.10 432
» Re: 보충 질의입니다,(급합니다) 2002.01.10 336
이럴때도 산재적용받을수 있나요? 2002.01.10 479
Re: 이럴때도 (뇌졸증으로 갑자기 쓰러진 경우 -산재인정이 가능... 2002.01.10 1194
이런 경우 노동법 위반아닌가요? 2002.01.10 452
Board Pagination Prev 1 ... 5265 5266 5267 5268 5269 5270 5271 5272 5273 5274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