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4.08.24 13:48
산업재해의 경우 부상 발생한 날 부터 2년에내에 관할 근로복자공단에 신청하시면됩니다. 이때에는 반드시 재직 중일 필요는 없으면 퇴직후 에도 위의 기간 안이라면 산업재해로 인정 받을 수 있습니다. 산업재해는 누구의 잘못으로 발생했는지를 따지지 않고 무조건 지급하므로 귀하께서도 관할 고용안정센터에서 신청하시면 어려움 없이 산재보상을 받을 수있으리라 생각되어집니다. 만약 고용안정센터에서 자세한 내용을 물어보다면 있었던 사실 그대로(귀하가 쓰신 그대로) 말씀하시면 됩니다.


직장인들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답변에 감사 드리며,,
>
>그리고 회사에서 당시에 산재 처리를 안하려고 넘어져서 다쳤다고 하라고 했어요..
>
>그래서 병원에(연대세브란스) 넘어져서(의료보험 처리) 다쳤다고 되어 있습니다.
>
>이럴경우 산재로 다시 돌릴 수 있을까요..
>
>산재로 돌리려면 어떻게 처리 해야 할까요?
>
>
>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
>>1. 귀하의 글을 잘 읽어보았습니다. 귀하가 질문하신 산업재해란 업무상 사유에 의한 부상, 질병, 신체장해, 또는 사망 등과 같은 근로자가 업무상재해를 입게 되는 경우 신속하고 공정하게 근로자에게 보상해주는 제도를 말 합니다.(산업재해보상보헙법 제4조)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과연 어떠한 경우에 업무상 재해라고 인정하능 가입니다. 귀하의 질문 역시도 이러한 부분에 속한 다고 할 수 있습니다.
>>
>>2. 업무상 재해에 대한 판단기준은 두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로는 "업무기인성"(귀하께서 하시는 일과 재해와의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는가를 판단 하는 것입니다.)을 들을 수 있습니다. 이는 귀하가 그 일을 하지 않았다면 재해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으로 인정되거나, 해당업무에 종사하면 그러한 재해가 발생할 수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업무의 기인성을 인정합니다. 두 번째로는 "업무수행성"을 들을 수 있습니다. 이는 사업주의 지배관리 아래에서 근로자가 작업 중, 또는 작업준비 중, 작업종료 전후에 수행하는 일상적인 업무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업무와 관련되어 발생한 재해는 모두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위의 두 가지 요건에 모두 만족하여야 산업재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재인정 여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업무상이었나 아니었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
>>3. 위의 요건들을 중심으로 귀하의 경우를 생각해보면 귀하께서 일을 하시다가 부상을 당하셨다고 하셨는데 이는 사업주가 그 자리에 있건 그렇지 않았던 간에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그에 따라 귀하께서 일을 하고계셨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포괄적으로 사업주의 지배관리 하에 있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하기에 귀하께서는 "업무수행성"은 인정 받을수 있으리라 생각되어집니다. 다만 "업무기인성"에 대한 판단은 귀하께서 넘어지셨을 당시의 장소, 시간, 업무와 부상과의 상당인과 관계를 따져보아야 하는데 귀하의 글로 이부분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마지막으로 귀하께서 고의, 자해행위에 의한 부상이 아닐 경우에는 산업재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
>>더욱 궁금한 것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주시고, 귀하의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직장인들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
>>
>>
>>
>>
>>>안녕하세요!!
>>>
>>>아르바이트로 일을 하다가
>>>
>>>현장에서 넘어져서 턱이 마니 다쳤답니다.
>>>
>>>현장엔 아무도 없었고. 혼자 있었답니다.
>>>
>>>혼자 일을 하다가 퇴근을 하였는데..  다음날 넘 아퍼서 병원에 갔더니..
>>>
>>>응급실로 가라고 하더군요..
>>>
>>>
>>>이럴경우 산재 처리가 될수 있을 까요?   현장에서 본사람도 일한걸 아는 사람도 없는데 말이죠..
>>>
>>>
>>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산전후 급여에 관해서 문의 드립니다. 2004.08.24 374
☞산전후 급여에 관해서 문의 드립니다. 2004.08.24 494
해고에 대하여 2004.08.24 335
☞해고에 대하여 2004.08.24 376
임금인상후 소급분 지급 관련 2004.08.24 770
☞임금인상후 소급분 지급 관련 2004.08.24 1535
산재 처리에 관하여 2004.08.24 450
☞산재 처리에 관하여 2004.08.24 353
☞☞산재 처리에 관하여 2004.08.24 538
» ☞☞☞산재 처리에 관하여 2004.08.24 498
재직중 체불임금관련 소송의 준비 2004.08.24 919
☞재직중 체불임금관련 소송의 준비 2004.08.24 1172
퇴직 적립금 보장 2004.08.24 444
☞퇴직 적립금 보장(회사가 퇴직금을 적립하는 것이 법적 의무사항... 2004.08.24 2712
퇴직금 2004.08.23 407
☞퇴직금 2004.08.24 410
최저임금에 의한 시간외 수당 산출방법 2004.08.23 724
☞최저임금에 의한 시간외 수당 산출방법 2004.08.24 1070
출근시간과 관련하여 결근 또는 휴가등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 알... 2004.08.23 468
☞출근시간과 관련하여 결근 또는 휴가등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 알... 2004.08.23 946
Board Pagination Prev 1 ... 3659 3660 3661 3662 3663 3664 3665 3666 3667 3668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