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섭대표권이 있는 상태에서 1년간 교섭을 진행하였으나,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못했다면
교섭대표권을 상실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 쟁의권도 함께 상실되는 것인지요?
그리고, 다시 교섭창구절차를 진행해야 하는 것인지요?
교섭대표권이 있는 상태에서 1년간 교섭을 진행하였으나,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못했다면
교섭대표권을 상실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 쟁의권도 함께 상실되는 것인지요?
그리고, 다시 교섭창구절차를 진행해야 하는 것인지요?
성별 | 남성 |
---|---|
지역 | 서울 |
회사 업종 | 출판 영상 통신 정보서비스업 |
상시근로자수 | 100~299인 |
본인 직무 직종 | 사무직 |
노동조합 | 있음 |
임금·퇴직금 | 3교대 근로자의날 수당계산 방법 1 | 2012.06.01 | 5041 | |
휴일·휴가 | 육아휴직 연차발생문의 3 | 2012.06.01 | 2930 | |
비정규직 | 계약직 연차 1 | 2012.06.01 | 3714 | |
임금·퇴직금 | 휴직자 임금에 대하여 1 | 2012.06.01 | 1497 | |
휴일·휴가 | 야간상담업무자는 감시적근로자라서 휴일수당이 없나요? 1 | 2012.06.01 | 2228 | |
고용보험 | 인격적모욕감을 느꼈을때 퇴사사유가 되는지여부 1 | 2012.05.31 | 2596 | |
기타 | 결혼으로 인한 거주지이전에 따른 실업 급여 2 | 2012.05.31 | 2020 | |
임금·퇴직금 | 휴일근로와 포괄임금 1 | 2012.05.31 | 1688 | |
임금·퇴직금 | 퇴직금 중간정산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1 | 2012.05.31 | 1958 | |
기타 | 기업 합병에 따른 ERP 등 package program 관련 1 | 2012.05.31 | 1489 | |
» | 노동조합 | 교섭대표권의 상실여부 1 | 2012.05.31 | 1713 |
임금·퇴직금 | 임금관련 1 | 2012.05.31 | 1177 | |
기타 | 실업급여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 2012.05.31 | 1888 | |
임금·퇴직금 | 퇴직연금/실업급여 1 | 2012.05.31 | 2275 | |
근로계약 | 근로계약서 서면작성 요구와 교부요구 모두 거절하는 업주를? 1 | 2012.05.30 | 2027 | |
노동조합 | 건설 노동조합 선거관련법 문의 1 | 2012.05.30 | 1529 | |
휴일·휴가 | 병가 사용시 임금지급 1 | 2012.05.30 | 2460 | |
휴일·휴가 | 개정 연차휴가 2 | 2012.05.30 | 6281 | |
기타 | 휴무를 하지 않는 직원에 대해 강제로 쉬게 할 수 있나요? 1 | 2012.05.30 | 1486 | |
임금·퇴직금 | 퇴직금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 2012.05.30 | 1069 |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노조법 시행령 제14조의10【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 유지기간 등】 3항에 의해 교섭대표노동조합이 그 결정된 날로부터 1년 동안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못한 경우에는 어느 노동조합이든지 사용자에게 교섭을 요구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해당 조항은 자율교섭으로 변경되는 것이 아닌 교섭대표노동조합을 다시 선출하여 교섭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단체협상이 1년이 경과하도록 체결되지 않았다면 다시 교섭단체 단일화 절차를 통해 대표교섭노동조합을 선출할 수 있습니다.(의무사항은 아님)
교섭대표노조의 변경시 새로운 교섭대표노조에게 교섭권 및 쟁의권이 있습니다.
노조법 시행령
제14조의10【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 유지기간 등】
③ 법 제29조의2에 따라 결정된 교섭대표노동조합이 그 결정된 날부터 1년 동안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못한 경우에는 어느 노동조합이든지 사용자에게 교섭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4조의2제2항 및 제14조의3부터 제14조의9까지의 규정을 적용한다. (2010.2.12 신설 : 2011.7.1 시행)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