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유급휴가 사용촉진제도!
근로자와 사용자가 사전 본 제도에 대한 협의사항이 없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일방적으로 회사에서 사용촉진제도에 따라 문서만 발송해 놓고 근로자의 유급휴가를 반 강제적인 방법으로 휴가촉진을 하는것은
근로자로서는 불이익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제도 시행 이전에 노사협의회나 아니면 근로자측에 본 제도를 시행하여야 함을
과반수 이상 찬성하는 협의가 있어야 하는것 아닌가요?
연차유급휴가 사용촉진제도!
근로자와 사용자가 사전 본 제도에 대한 협의사항이 없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일방적으로 회사에서 사용촉진제도에 따라 문서만 발송해 놓고 근로자의 유급휴가를 반 강제적인 방법으로 휴가촉진을 하는것은
근로자로서는 불이익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제도 시행 이전에 노사협의회나 아니면 근로자측에 본 제도를 시행하여야 함을
과반수 이상 찬성하는 협의가 있어야 하는것 아닌가요?
성별 | 남성 |
---|---|
지역 | 서울 |
회사 업종 | 도소매업 |
상시근로자수 | 100~299인 |
본인 직무 직종 | 판매영업직 |
노동조합 | 없음 |
해고·징계 | 사직서 제출없이 당황해서 문자로 사직의사표하고 사직수리예정 ... 1 | 2014.07.14 | 4916 | |
휴일·휴가 | 1년 2개월 근무자의 연차일수 1 | 2014.07.14 | 3636 | |
임금·퇴직금 | 사업자등록증 보유(폐업예정)시 직장퇴사후 실업급여 수급 가능여... 1 | 2014.07.14 | 8689 | |
고용보험 | 배우자 동거를 위한 거소이전 실업급여 문의드려요 1 | 2014.07.14 | 1090 | |
근로계약 | 단기 계약 알바 문의 1 | 2014.07.14 | 862 | |
노동조합 | 교섭대표조합의 단체교섭권 유효기간이 언제까지 인지? 1 | 2014.07.14 | 1582 | |
산업재해 | 건설현장 산재사고 1 | 2014.07.14 | 1179 | |
» | 휴일·휴가 | 연차유급휴가 사용촉진제도 운영시 2 | 2014.07.14 | 1429 |
산업재해 | 안전사고 발생시 비용 청구 가능 여부 1 | 2014.07.14 | 583 | |
임금·퇴직금 | 주40시간 미달시 임금삭감 | 2014.07.14 | 1053 | |
임금·퇴직금 | 연차 차감 후 퇴사일 결정 1 | 2014.07.14 | 991 | |
근로계약 | 학원 아르바이트 그만둘 때 손해배상 청구 1 | 2014.07.13 | 4602 | |
기타 | 실업급여에 대해 상담 1 | 2014.07.13 | 518 | |
임금·퇴직금 | 연봉격차 확대 추진 2 | 2014.07.13 | 398 | |
기타 | 무단퇴사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 및 미지금 임금과 개인카드로 쓴 ... 1 | 2014.07.13 | 1685 | |
휴일·휴가 | 육아휴직자의 연차 1 | 2014.07.13 | 692 | |
임금·퇴직금 | 연봉제하에서 중도퇴사 관련 퇴직금 정산 1 | 2014.07.13 | 1390 | |
임금·퇴직금 | 임금체불 퇴직금 연차수당 1 | 2014.07.13 | 687 | |
임금·퇴직금 | 야간전담 근무수당에 대해 1 | 2014.07.13 | 1312 | |
임금·퇴직금 | 연차수당 환수 1 | 2014.07.13 | 1374 |
근로기준법에 규정된 강행조항인 만큼 사용자와 근로자가 임의적으로 해당 조항의 적용을 배제하는 단체협약이나 근로계약등을 체결할 수 없습니다.
연차사용촉진제는 연차수당을 목적으로 근로기준법에 따라 부여된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는 근로자에 대해 사용자가 연차휴가 사용을 촉진하는 제도로서 합법적으로 시행될 경우 근로자에게 연차휴가 사용을 오히려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만약 사용자가 연차사용청구권 소멸 6개월전에 잔여연차일수 고지와 사용계획 보고 촉구, 2개월 전 잔여연차 고지와 강제연차사용등 2회에 거친 연차사용촉진제를 합법적으로 시행하지 않은 경우 근로자는 사용자에게 연차수당을 별도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