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의 드립니다.
2015년 1월 1일부로 입사하여 2017년 12월 31일부로 2년 만근후 퇴사한 직원에 대하여
퇴직금을 지급할때 연차수당이 포함되는지 문의 드립니다.
퇴직하는 직원은 연차을 사용하지 않아 2015년도에 15일, 2016년도에 15일 에 대한 미사용 연차수당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러면 퇴직금 계산시 2015년도에 발생한 미사용 연차수당을 포함하여야 하는지, 포함되지 않는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의 드립니다.
2015년 1월 1일부로 입사하여 2017년 12월 31일부로 2년 만근후 퇴사한 직원에 대하여
퇴직금을 지급할때 연차수당이 포함되는지 문의 드립니다.
퇴직하는 직원은 연차을 사용하지 않아 2015년도에 15일, 2016년도에 15일 에 대한 미사용 연차수당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러면 퇴직금 계산시 2015년도에 발생한 미사용 연차수당을 포함하여야 하는지, 포함되지 않는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성별 | 여성 |
---|---|
지역 | 경기 |
회사 업종 | 시설관리 서비스업 |
상시근로자수 | 5~19인 |
본인 직무 직종 | 사무직 |
노동조합 | 없음 |
기타 | 고용승계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2017.08.25 | 204 | |
근로계약 | 1년 단위로 근로계약을 하면서 연속적으로 근무시 퇴직금 산정 1 | 2017.08.25 | 1710 | |
휴일·휴가 | 심야(밤샘) 근무 수당 지급 여부 1 | 2017.08.25 | 1203 | |
임금·퇴직금 | 퇴직금중간정산 1 | 2017.08.25 | 349 | |
» | 임금·퇴직금 | 정확하게 2년 만근 후 퇴직시 퇴직금 계산시 연차수당 포함 여부 ... 1 | 2017.08.25 | 3137 |
고용보험 | 원거리 발령에 따른 실업 급여 청구 1 | 2017.08.25 | 585 | |
기타 | 실업급여 관련 문의드립니다. 1 | 2017.08.25 | 160 | |
산업재해 | 퇴직 후 산재처리관련.... 1 | 2017.08.24 | 2176 | |
고용보험 | 숙소로 인한 퇴사시에 실업급여 수급 조건이 되나요? 1 | 2017.08.24 | 961 | |
여성 | 출산휴가+육아휴직 기간중 상여금 및 연봉 인상 반영 여부 1 | 2017.08.24 | 5464 | |
임금·퇴직금 | 개인사업자 사망해서 폐업예정인데 퇴직금을 받을수 있나요? 1 | 2017.08.24 | 2998 | |
근로시간 | 근로시간계산 문의 1 | 2017.08.24 | 235 | |
임금·퇴직금 | 유니폼 관련입니다 1 | 2017.08.24 | 550 | |
휴일·휴가 | 연차휴가 대체일? 1 | 2017.08.24 | 759 | |
임금·퇴직금 | 실업급여 관련 문의입니다 1 | 2017.08.24 | 207 | |
휴일·휴가 | 연차촉진제도 1 | 2017.08.24 | 384 | |
고용보험 | 4대보험에 제 명의를 도용한것 같습니다. 1 | 2017.08.24 | 2264 | |
최저임금 | 최저임금과 통상임금의 산입범위에 대한 궁금중 1 | 2017.08.23 | 818 | |
비정규직 | 4년째 근무 일용직이라고 다음 계약때 계약을 갱신하지 않겠다 ... 1 | 2017.08.23 | 271 | |
해고·징계 | 부당해고 중노위 승소 후 임금상당액 어떻게 받나요?? 1 | 2017.08.23 | 1789 |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2015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근로제공 했다면 2015.1.1.~12.31사이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해 2016.1.1에 15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할 것이며 2016.1.1.~12.31 사이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해 15일의 연차휴가가 2017.1.1.에 발생됩니다. 그리고 2017.1.1.~12.31 사이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한 연차휴가 16일이 2018.1.1. 퇴사일에 발생됩니다.
이중 2015년 출근율에 따라 2016.1.1.에 발생된 연차휴가 15일에 대한 미사용분이 2017.1.1.에 연차수당으로 지급되어 하는데 이는 퇴사일인 2018.1.1. 이전에 지급이 확정된 연차수당인 만큼 1년차 연차휴가 미사용에 따른 15일분의 연차수당을 12로 나눠 이중 12분의 3에 해당하는 금액을 퇴직전 3개월의 임금총액에 반영하여 퇴직금을 산정하시면 됩니다.
2016년 출근율에 따라 2017.1.1.에 발생한 2년차 연차휴가 15일은 2017.12.31.까지 사용하고 미사용시 2018.1.1.에 연차수당으로 지급받게 되며 2017년 출근율에 따라 2018.1.1.에 발생한 3년차 연차휴가 16일은 퇴사와 동시에 연차수당으로 지급받게 되는데 퇴직금 산정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