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9.06.12 07:50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귀하의 경우, 우선 국내 근로기준법이 적용대상이 되는지를 먼저 판단해야 하는데, 외국에 현지법인의 경우에는 속지주의 원칙에 따라 그 나라의 법을 적용받는 것이 원칙이지만 국내 본사에서 그 관할안에 있는 해외법인체에 근로자를 파견하고 그 근로자의 근로조건에 대해 본사가 지휘감독을 하는 경우에는 국내의 근로기준법이 적용됩니다.

다음으로 귀하가 해고된 것인지 아니면 당사자간의 합의하에 사직한 것인지를 살펴보아야 하는데, 상담글에서 4.29.에 그만둘 것을 통보를 받았으나, '집에서 쉬고 있으면 다른 일자리를 알아봐 준다는 말에 수긍하고 집에서 5.20.까지 쉬었다'고 말씀하신 부분이 해고인지 아니면 회사의 사직권고 조치를 수용(합의하에 퇴직)한 것인지 불분명합니다. 회사측의 언급내용이 '해고된 것은 확실하고 다만 호의적 차원에서 다른 일자리를 알아봐줄수도 있다'는 정도의 취업알선에 관한 것이라면 회사의 해고여부에 대해 별도로 다툴 필요는 없지만, 귀하가 회사측의 사직통보를 수용한 것이라면 이는 권고사직에 해당하므로 법률적 구제대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차후 법적 다툼시 이부분이 중요하게 작용할 수 도 있으므로, 4.29. 해고될 때, 귀하가 회사측의 사직권고를 수용한 것은 아니다라는 주장을 강력히 하시거나 그와 관련된 입증사항을 미리 준비해두시는 것도 좋습니다.

다음으로, 회사측의 조치가 해고라면, 해고의 정당성 여부가 관건인데, 해고의 정당성 판단기준은 '더이상 고용관계를 계속할 수 없을 정도로 근로자에게 상당한 귀책사유가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됩니다. 귀하의 상담글만으로는 고객과의 마찰이 어느정도의 수준이고 그 영향이 '도저히 고용관계를 계속할 수 없을 정도의 심각한 수준인지' 알수는 없으나, 단순한 고객과의 마찰로 인한 해고라면 부당해고로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당해고라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고된날로부터 3개월이내에 회사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구제신청을 제기하셔야 합니다. 부당해고구제신청을 제기할 때는 해고사유가 정당하지 않으며, 귀하의 행동과 비교하여 과도한 처분이라는 점을 강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해고절차와 관련하여서는 귀하가 먼저 언급을 하지 마시고, 노동위원회에 '문서제출명령'을 통해 회사의 취업규칙을 교부받게 해달라 요구하시고 노동위원회를 통해 교부받은 취업규칙을 자세히 살펴, 해고는 징계위원회나 인사위원회를 통해 하도록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도 살펴서 귀하의 해고의 부당성(절차상 하자)을 추후 강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부당해고구제신청과 관련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된 곳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부당해고 해결방법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2008년 4월에 입사를 하면서 중국근무를 원하여 중국주재원으로 중국에서 1년간 일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4월중순경 고객과의 업무진행 시 사소한 문제로 고객대응이 원활하지 않아 고객측에서 회사의 대표께 메일로 불편한 심기를 나타냈습니다. 회사의 대표는 중국법인장에게 해고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4월29일에 처음으로 중국법인장에게 4월30일까지 근무하고 나오지 말라는 구두통보를 받았습니다. 부당한 처사라고 밝혔으나 더이상 근무할 분위기가 아니었고 4월말까지 근무를 하고 집에서 쉬고 있으면 다른일자리를 알아봐 준다는 말에 수긍하고 집에서 5월20일까지 쉬었습니다. 하지만 퇴직서를 제출하지 않았고 금일까지(6월10일)본사에서는 퇴사처리가 되지 않았습니다.(본사 경영지원부 확인 내용)
>그래서 5월20일 본사대표님과 면담을 하였고 어쨌거나 고객의 심기를 불편하게 한것은 본인의 잘못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용서를 구했습니다. 그래서 본사의 대표는 "다시 열심히 하라"내용을 저에게 말씀하셨고 그런 내용을 중국법인장에게 얘기하였으나 중국에서는 해고처리하였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해고수당과 한국으로의 이사비용 및 비행기표를 요구하였으나 회사의 규정상 해고시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내용을 저에게 통보하였습니다. 부모님과 처자식이 중국에 있는데 마음고생한것도 모자라 돈 한푼없는데 이사도 못하고 한국으로 돌아가지도 못하고어떻해야하나? 이러한 부분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내용을 전달하였으나 회사의 규정이라는 내용만 되풀이 했습니다. 그리고 회사의 사칙을 요구하였으나 중국에는 없고 본사에있다고 하였으며 저는 회사에 입사 시 근로계약서를 받은적도 없고 근로계약서에 사인도 않했는데 무슨 회사사칙이냐?는 내용을 전달하였으나 본사와 얘기하라며 답변을 거부하였습니다.
>저는 큰것바라지도 않는다고 했으며 다만 이사비용만 해달라고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에 제가 받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노동조합 규약제정 안건을 찬반 토론절차를 무시하고 의결된 사항도 법적인... 2009.06.15 1428
임금·퇴직금 출산휴가 후 퇴직금 정산 2009.06.15 2761
고용보험 전근명령에 따른 퇴사 (실업급여) 2009.06.14 2183
임금·퇴직금 평균임금의 산정방법 (사회보험료의 회사부담분의 임금 여부) 2009.06.14 1600
임금·퇴직금 인상율 차별적용 2009.06.14 761
임금·퇴직금 어린이집 퇴직연금 운영 의무화(?) 2009.06.14 3177
휴일·휴가 육아휴직 후 복직 시 연차 계산 (육아휴직이 있는 경우 육아휴직) 2009.06.14 2610
임금·퇴직금 근로연수 포함 여부 (병가기간의 퇴직금 포함 여부) 2009.06.13 1386
휴일·휴가 휴일휴가의 중복 (휴일과 휴일의 중복, 휴일과 휴가의 중복) 2009.06.13 5211
임금·퇴직금 중국 내 한국기업에서의 임금체불 2009.06.13 1111
» 휴일·휴가 중국근무 주재원 해고 (고객과의 마찰에 의한 해고) 2009.06.12 2048
임금·퇴직금 병역특례기간중 4주훈련시 급여 지급??? 2009.06.11 5473
임금·퇴직금 임금인상합의서상 인상율에 대하여~~ 2009.06.11 1017
휴일·휴가 토요일,휴일,무급유급 2009.06.11 5057
비정규직 기간제근로자 휴업급여 신청시 월급지급여부 2009.06.11 3721
임금·퇴직금 퇴직금 포함 연봉제에서 퇴직금 및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을까요? 2009.06.11 2616
임금·퇴직금 상여금 반납분에 대한 퇴직시 지급 여부? 2009.06.11 1070
산업재해 산재 휴업급여신청 건 입니다 2009.06.09 5374
고용보험 3개월 계약직 퇴직시 실업급여 2009.06.09 19372
휴일·휴가 계열사 전보시 연차수당 2009.06.09 3245
Board Pagination Prev 1 ... 2275 2276 2277 2278 2279 2280 2281 2282 2283 2284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