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겠습니다.
2015년 8/1 입사자가 A가 있습니다.
비례연차로 올해 2016년 약 7개의 연차가 발생하였구요.
1. 만약 현재 연차를 모두 사용하면 2016년에는 더이상 사용하지 못하는건가요??
2. 아니면 1년 미만자의 경우 17년 것을 당겨쓸 수 있는건가요
3. 당겨쓸 수 있다면 1년 미만자가 아닌 모든 근로자에 유효한 것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예를 들겠습니다.
2015년 8/1 입사자가 A가 있습니다.
비례연차로 올해 2016년 약 7개의 연차가 발생하였구요.
1. 만약 현재 연차를 모두 사용하면 2016년에는 더이상 사용하지 못하는건가요??
2. 아니면 1년 미만자의 경우 17년 것을 당겨쓸 수 있는건가요
3. 당겨쓸 수 있다면 1년 미만자가 아닌 모든 근로자에 유효한 것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성별 | 남성 |
---|---|
지역 | 경기 |
회사 업종 | 제조업 |
상시근로자수 | 20~49인 |
본인 직무 직종 | 사무직 |
노동조합 | 있음 |
휴일·휴가 | 퇴사시 연차관련 질문입니다 부탁드립니다 1 | 2016.02.12 | 421 | |
해고·징계 | 정부과제 불인정금액의 담당 직원 변상 요구 1 | 2016.02.12 | 721 | |
근로계약 | 서약에의한 채무가 없는 조건의 권고사직 계약퇴직 1 | 2016.02.12 | 315 | |
임금·퇴직금 | 퇴직금 계산 질문드립니다. 1 | 2016.02.12 | 237 | |
기타 | 감시적 단속 근로자입니다. 1 | 2016.02.12 | 432 | |
비정규직 | 단속적 근로자입니다. 1 | 2016.02.12 | 253 | |
임금·퇴직금 | 직원동의 없이 급여조정?? 1 | 2016.02.11 | 1278 | |
임금·퇴직금 | 퇴직금 계산 방법 문의 1 | 2016.02.11 | 609 | |
» | 휴일·휴가 | 1년 미만 근로자 연차 산정 4 | 2016.02.11 | 736 |
임금·퇴직금 | 퇴직금 정산시 연차수당 계산 1 | 2016.02.11 | 445 | |
임금·퇴직금 | 개인사업자 회사가 부도시 퇴직금 지급에 관하여 문의드립니다 1 | 2016.02.11 | 1568 | |
임금·퇴직금 | 통상임금 포함여부 질의 1 | 2016.02.11 | 486 | |
근로계약 | 급여및 연차수당 관련 문의드립니다. 1 | 2016.02.11 | 818 | |
임금·퇴직금 | 교대근무시 최저임금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2 | 2016.02.11 | 710 | |
해고·징계 | 해고가 가능한가요? 1 | 2016.02.11 | 348 | |
근로계약 | 한시적 사업 (무기)근로계약체결건 1 | 2016.02.11 | 619 | |
근로계약 | 근로기준법 위반시 처벌과 시정기간 문의 1 | 2016.02.11 | 1240 | |
근로계약 | 겸직 및 영리행위 관련 1 | 2016.02.11 | 238 | |
임금·퇴직금 | 연봉 계약 후 명절 상여금이란 명목으로 분리지급 1 | 2016.02.10 | 1136 | |
기타 | 합동순찰 불법인가요 2 | 2016.02.09 | 80 |
1. 해당 근로자의 사업장에서 연차휴가산정을 어떤 기준을 가지고 하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취업규칙이나 근로계약서에 연차휴가산정을 1>기업의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할 경우 로 정했고, 회계연도가 매년 1.1~12.31 사이 1년일 경우 회계연도 중간입사자에 대해서는 회계연도 말일까지 재직일수에 비례하여 연차휴가를 부여하면 됩니다.
이 경우 회계연도 중간에 입사한 날부터 해당 회계연도 말일까지 재직기간에 대해 80% 이상 출근할 경우 15일에 비례한 연차휴가를 다음해 1월 1일에 부여하고 이를 그해 연차휴가산정기간(회계연도)동안 사용하도록 합니다. 따라서 해당 연도에는 연차휴가가 추가적으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해당 연도에 작년 출근율에 따라 발생한 연차휴가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허락하면 당해연도 출근율에 따라 내년에 발생이 예정되는 연차휴가를 미리 땡겨사용할 수 있습니다.(사용자가 선부여를 거부하면 어쩔수 없습니다.)
3. 그러나 사업장의 취업규칙이나 근로계약에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산정한다는 기준이 별도로 없는 경우 당연히 근로기준법의 원칙에 따라 근로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산정하게 되며 이 경우 2015년 8월 1일 입사자는 계속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2016년 7월 31일 이전까지 1개월 개근시 1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