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사업장에서 주말 (토, 일) 아르바이트 했을때 주휴수당을 받을수 있나요?
혹시 받을수 있다면 지급 조건이랄게 있을까요? 예로 주 15시간 근무이상이라든지. 몇명 이상 근무라든지.
구체적으로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근로계약서를 만약에 썼는데 거기에 주휴수당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어도 나중에가서 주휴수당을 받을수 있나요?
일반 사업장에서 주말 (토, 일) 아르바이트 했을때 주휴수당을 받을수 있나요?
혹시 받을수 있다면 지급 조건이랄게 있을까요? 예로 주 15시간 근무이상이라든지. 몇명 이상 근무라든지.
구체적으로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근로계약서를 만약에 썼는데 거기에 주휴수당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어도 나중에가서 주휴수당을 받을수 있나요?
성별 | 남성 |
---|---|
지역 | 서울 |
회사 업종 | 농림어업 |
상시근로자수 | 1~4인 |
본인 직무 직종 | 기타 |
노동조합 | 없음 |
휴일·휴가 | 연가사용일수를 초과해서 사용해도 되는지요 1 | 2017.01.31 | 1545 | |
» | 임금·퇴직금 | 주말 아르바이트도 주휴수당 받을수 있나요? 1 | 2017.01.30 | 6819 |
비정규직 | 무기계약직 호봉 문의 1 | 2017.01.30 | 3631 | |
노동조합 | 조합장선거 1 | 2017.01.30 | 344 | |
근로계약 | 근로계약서 오류 및 연차휴가 1 | 2017.01.30 | 614 | |
근로계약 | 근로계약시 위약에 대한 보증금 1 | 2017.01.29 | 414 | |
휴일·휴가 | 중도 퇴사자 연차관련 질문드립니다. 1 | 2017.01.28 | 673 | |
비정규직 | 무기계약 전환 여부 1 | 2017.01.28 | 411 | |
휴일·휴가 | 촉탁근로자 연차수당에 관한 문의 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1 | 2017.01.27 | 282 | |
해고·징계 | 해고시 급여삭감 및 퇴직시 업무파일 1 | 2017.01.26 | 642 | |
기타 | 계약서 궁금증 1 | 2017.01.26 | 232 | |
임금·퇴직금 | 퇴사후 인센티브(실적급) 의도적인 미지급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1 | 2017.01.26 | 2867 | |
임금·퇴직금 | 성과급 미지급에 대한 질의(인사위원회 회부) 1 | 2017.01.26 | 465 | |
임금·퇴직금 | 재계약후 인상분임금받지못한경우 1 | 2017.01.26 | 172 | |
근로계약 | 프리랜서 단기계약으로 근로하였는데 월급을 덜받은것같습니다. 1 | 2017.01.26 | 1511 | |
기타 | 노동지청의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제43조(재신고사건의 처리)에 ... 1 | 2017.01.25 | 958 | |
기타 | 회사에서 원치 않는 전환배치 명령시 1 | 2017.01.25 | 1242 | |
임금·퇴직금 | 육아휴직 만료 후 퇴직 시 퇴직연금 계산 알려주세요.. 1 | 2017.01.25 | 422 | |
기타 | 육아휴직후 복직시 발령문제 1 | 2017.01.24 | 2969 | |
기타 | 출산 및 육아휴직은 호봉산정 어떻게 되는지?: 1 | 2017.01.24 | 1003 |
주휴수당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2가지 요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1> 4주를 평균하여 1주 15시간 이상 일을 하기로 정해야 합니다. 이를 소정근로시간이라고 하는데, 근로계약시 1일, 혹은 1주 몇일, 몇시간을 일할지?기본적으로 정해 놓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귀하가 1주에 토,일 양일간 근로제공을 하기로 정했다면 4주를 평균했을 때 1주 15시간 이상 근로제공하기로 약속을 했어야 합니다. 만약 근로계약등을 통해 이를 정하지 않았다면 실제 근로제공한 시간을 평균내어 1주 15시간 이상이 되는지? 살펴 15시간 이상이 된다면 주휴수당을 청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다음으로 1주 소정근로일을 개근해야 합니다. 즉 한주에 토요일과 일요일에 각각 8시간 이상 근로제공하기로 정한 경우 토요일과 일요일에 결근하지 말아야 합니다.
3>근로계약서에 1주 근로시간과 그에 따른 월급여액을 정했다면 이 경우 일반적으로 주휴수당을 별도로 표기하지 않았다면 1주 근로시간과ㆍ주휴시간을 더한 1주 근로시간수를 해당월의 주수만큼 곱한다음 월급여총액을 해당 근로시간수로 나누어 1시간의 시간급이 최저임금 시간급에 미달하는지?를 따져 미달하지 않는다면 주휴수당이 포함된 것으로 봐야 합니다.
그러나 1주 근로일과 시급만을 정했다면 당연히 별도의 주휴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