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영양사로 1년을 근무하였습니다.
연봉제 한시임기계약직으로 2013.7.29. ~ 2014.7.27. 까지 근무 후
2014.7.28. 퇴사할 예정입니다.
1년이상 근무하여 퇴직금 청구가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퇴직금 청구시 근거법률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그리고 연봉제 계약은 퇴직금이 발생되지 않나요?
연봉에 퇴직금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시는 분도 있구요.
감사합니다.
저는 영양사로 1년을 근무하였습니다.
연봉제 한시임기계약직으로 2013.7.29. ~ 2014.7.27. 까지 근무 후
2014.7.28. 퇴사할 예정입니다.
1년이상 근무하여 퇴직금 청구가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퇴직금 청구시 근거법률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그리고 연봉제 계약은 퇴직금이 발생되지 않나요?
연봉에 퇴직금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시는 분도 있구요.
감사합니다.
성별 | 여성 |
---|---|
지역 | 경북 |
회사 업종 | 공공행정 |
상시근로자수 | 100~299인 |
본인 직무 직종 | 서비스직 |
노동조합 | 없음 |
임금·퇴직금 | 교대근무자의 임금문제 1 | 2014.07.24 | 926 | |
휴일·휴가 | 주3일 근무(월,수,금) 근무자의 연차발생건 1 | 2014.07.24 | 14706 | |
근로계약 | 근로계약서 작성 1 | 2014.07.24 | 813 | |
여성 | 조기 육아휴직 신청 가능한가요? 2 | 2014.07.24 | 723 | |
임금·퇴직금 | 8년의 퇴직금 2 | 2014.07.24 | 983 | |
근로시간 | 시급제 수당계산시 연장근무에 대하여 2 | 2014.07.24 | 2751 | |
근로시간 | 시간제근로자의 주휴수당 계산문의 1 | 2014.07.24 | 1535 | |
비정규직 | 파견직 휴가 및 연차규정 문의 1 | 2014.07.24 | 2173 | |
최저임금 | 너무 부당한곳에서일하는것같아요 1 | 2014.07.24 | 798 | |
노동조합 | 임금 찬반투표 2 | 2014.07.23 | 600 | |
임금·퇴직금 | 퇴직금계산시 연차수당 포함여부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 2014.07.23 | 4865 | |
» | 임금·퇴직금 | 퇴직금 청구 가능여부 1 | 2014.07.23 | 444 |
임금·퇴직금 | 연차 수당 지급 시기에 대해서 1 | 2014.07.23 | 1555 | |
임금·퇴직금 | 임금인상 1 | 2014.07.23 | 335 | |
임금·퇴직금 | 퇴직금과 실업급여 산정 문의 1 | 2014.07.23 | 875 | |
기타 | 복리후생의 차별.. 1 | 2014.07.23 | 595 | |
휴일·휴가 | 시급 근로자의 휴가시 제 급여에 미치는 영향 2 | 2014.07.23 | 706 | |
임금·퇴직금 | 연차 계산 방법 2 | 2014.07.23 | 1105 | |
최저임금 | 제가 받은 월급이 정당한지 문의드립니다. 1 | 2014.07.23 | 594 | |
여성 | 분만휴가 급여계산을 어떻게 해드리는지 궁금합니다... 2 | 2014.07.23 | 2400 |
퇴직금은 후불적 성격의 임금으로 계속근로기간 1년 이상 근로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귀하의 연봉액에 퇴직금을 포함시켜 매월 지급했다면 이는 퇴직금 중간정산으로 특정 사유(근로자가 주택구입이나 가족 요양을 위한 의료비지출 사유로 근로자가 요청하고 사용자가 허락하여 적법하게 중간정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를 제외하고는 무효입니다.
귀하가 2013.7,29일 입사후 7월 28일까지 근로를 제공하고 7월 29일이 퇴사일이 되어야 계속근로기간 1년이 됩니다. 계속근로기간 1년에서 1일이라도 모자랄 경우 사용자는 퇴직금 지급의무가 없습니다.
관련법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 제4조【퇴직급여제도의 설정】
① 사용자는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하기 위하여 퇴직급여제도 중 하나 이상의 제도를 설정하여야 한다.(퇴직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의미입이다.) 다만, 계속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4주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계속근로기간 기산과 관련해서는 민법 제 159조를 참고하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