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 재직중에 있으면서 그동안 지급되지 않았던 미지급 시간외수당, 휴일수당 및 연차수당을 회사에 요구하고 있습니다.
임금채권은 소멸시효가 3년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기 미지급 수당을 요청할때 산정기준이 되는 임금이 3년전, 2년전, 1년전의 임금으로 각기 계산을 해야 하는지요?
아니면 현재의 급여로 지난 3년의 미지급 수당을 계산하여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회사에 재직중에 있으면서 그동안 지급되지 않았던 미지급 시간외수당, 휴일수당 및 연차수당을 회사에 요구하고 있습니다.
임금채권은 소멸시효가 3년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기 미지급 수당을 요청할때 산정기준이 되는 임금이 3년전, 2년전, 1년전의 임금으로 각기 계산을 해야 하는지요?
아니면 현재의 급여로 지난 3년의 미지급 수당을 계산하여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성별 | 남성 |
---|---|
지역 | 경기 |
회사 업종 | 제조업 |
상시근로자수 | 100~299인 |
본인 직무 직종 | 생산직 |
노동조합 | 없음 |
근로시간 | 4조 3교대 시 공휴일 처리 1 | 2014.07.30 | 2299 | |
임금·퇴직금 | 실업급여 수령 대상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1 | 2014.07.30 | 446 | |
임금·퇴직금 | 위탁관리계약에 의한 퇴직금 중간 정산후 1년미만 근로자 퇴직금 ... 1 | 2014.07.30 | 1893 | |
임금·퇴직금 | 퇴직금 중간정산 후 1년 이내 퇴직합니다 1 | 2014.07.30 | 807 | |
임금·퇴직금 | 통상임금의 범위 1 | 2014.07.30 | 742 | |
근로시간 | 관리감독자라하여 시간외수당 및 휴일수당등을 지급하지 않는경우 1 | 2014.07.30 | 2580 | |
» | 임금·퇴직금 | 미지급 시간외 수당 및 연차수당 산정방법 1 | 2014.07.30 | 793 |
기타 | 퇴직문의 1 | 2014.07.30 | 375 | |
근로계약 | 우유배달을그만뒀는데요 1 | 2014.07.30 | 1679 | |
임금·퇴직금 | 시간외 수당 말 바꾸기. 근로계약서. 1 | 2014.07.30 | 1488 | |
여성 | 육아휴직 후 실업급여 1 | 2014.07.30 | 808 | |
기타 | 급여 미지급 관련 1 | 2014.07.29 | 854 | |
임금·퇴직금 | 연봉제 통상임금 강제조항과 관련 1 | 2014.07.29 | 944 | |
휴일·휴가 | 신입사원 연차 부여 안내부족으로 인한 휴가 계산 1 | 2014.07.29 | 1151 | |
근로시간 | 892번호 다시 질의 드립니다. | 2014.07.29 | 339 | |
노동조합 | 복수노조제도하의 근면자 관련 상담 1 | 2014.07.29 | 1288 | |
휴일·휴가 | 회사에서 휴가를 강제적 연차휴가로 대체 1 | 2014.07.29 | 1117 | |
임금·퇴직금 | 성과급을 퇴직연금dc에 납입시 퇴직소득으로 인정하여 세금절감 ... 3 | 2014.07.29 | 2788 | |
기타 | 경조관련 문의드립니다. 1 | 2014.07.29 | 7731 | |
근로계약 | 근로계약 휴가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2014.07.29 | 474 |
각기 해당 기간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합니다.
연차수당의 경우, 연차발생일로 부터 해당 년 연차사용청구권이 소멸되는 시점의 통상임금으로 산정합니다.
가령, 2012.1.1~2012.12.31 사이에 80%이상 출근하여 2013.1.1에 15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했다면 이는 2013.12.31까지 연차사용청구권이 발생합니다. 귀하가 이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 연차사용청구권이 소멸하는 2013.12.31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연차수당을 산정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