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2.04 16:33

안녕하세요 HJK 님, 한국노총입니다.

최고장을 두번이나 보내셨음에도 불구하고 회사측에서 적극적인 자세로 해결하려고 노력하지않는다면, 이제는 더이상 당사자간에 해결할 수 있는 여지는 없다고 간주하시고 노동부에 진정하시기 바랍니다. 이미 귀하에게 지급이 확정된 임금채권은 사용자가 임금을 지불해야 될 날로부터 3년안에 청구할 수 있으므로(임금채권의 시효는 3년입니다.) 1년이 넘었다하더라도 귀하의 권리가 소멸된 것은 아닙니다.

귀하가 회사측에 발송하였던 최고장을 증거자료로하여 회사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사무소를 방문하여 민원실에 진정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귀하의 사례는 임금체불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으로 보여지는바, 체불임금 해결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곳 온라인상담실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가 부족하여 별도의 코너를 마련해놓고 있습니다.

<임금체불 해결방법>코너를 참조하면각 사례별로 유용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필요한 경우 전체자료를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해설을 참조로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관할 노동부지방사무소에 관한 정보는 (여기)를 참조하기바랍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HJK wrote:
> 저는 현재 재직중에 있는 직장에 근무한지 12월1일자로 1년이 넘었습니다.
> 여기로 이직하기 전에 4개월반정도 다닌 회사가 있는데, 문제는 거기에서 아직 급여를 못받았다는 것입니다. 올초 두번씩이나 최고장을 보냈음에도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 회사는 이미 정리를 한거 같은데 그 회사 구조가 사장 하나가 여러개 회사를 가지고 있는데 그중 제가 다니던 회사는 정리가 된 거 같습니다.
> 벌써 그 회사를 퇴사한지 1년이 넘었는데, 어떤식으로 급여를 다시 받을 수 있을 지 모르겠습니다.
> 잊어버릴까 하다가 괘씸한 생각이 들어서 다시 어떤 법적인 대응방법이 없을까 하여 문의드립니다. 문제는 그 회사가 현재 어떤식으로 모습을 감추고 있는지 알수가 없다는 것인데....
>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법적 대응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 지 답신 바랍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경비 아저씨와의 계약건에 대하여 2001.12.05 347
Re: 경비 아저씨와의 계약건에 대하여 2001.12.06 454
희망퇴직에 관하여 2001.12.05 1372
Re: 희망퇴직에 관하여 2001.12.06 628
나의 권리는... 2001.12.05 317
Re: 나의 권리는... 2001.12.06 345
연차수당에 관한건 2001.12.05 401
Re: 연차수당에 관한건 2001.12.06 388
Re: 연차수당에 관한건 2001.12.06 358
어렵네요... 2001.12.05 319
Re: 어렵네요잦은 지각으로 해고된 경우 해고수당을 받을 수 있나?) 2001.12.06 1255
퇴직금 반환 2001.12.05 565
Re: 퇴직금 반환(5인 미만 사업장에서의 퇴직금은?) 2001.12.06 692
체불 임금건에 관한 질문입니다 2001.12.05 330
Re: 체불 임금건에(노동부에 진정하였으나 지불하지 않을 때) 2001.12.06 601
바지사장을 앞세운 채불임금은? 2001.12.04 873
Re: 바지사장(명목상 대표이사는 임금체불의 책임이 없다) 2001.12.04 3915
1년이 지난 회사의 체불임금 해결 2001.12.04 482
» Re: 1년이 지난 회사의 체불임금 해결 2001.12.04 577
전염병이 있을때 사직해야되는지? 2001.12.04 471
Board Pagination Prev 1 ... 5311 5312 5313 5314 5315 5316 5317 5318 5319 5320 ... 5861 Next
/ 5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