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애매한 부분이 있어서 다시 한번 도움을 구합니다.
우선 쉽게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예) A라는 근로자는 시급 10,000원을 받는다.
     일요일 저녁 18:00부터 다음날 아침 06:00까지 12시간을 일한 경우 얼마를 받아야 하겠는가?
     (가정 : 휴게시간은 고려하지 않고 12시간을 근무한 것으로 한다.
               소정근로시간은 일 8H, 주 40H이다.
               A는 금주(월요일~금요일) 시간외(초과)근무 없이 40H 만근했다.)

제가 알고 있는 범위에서 계산을 하자면, 우선
1. 유급 임금 8만원(통상임금이 8만원/日 이므로)
2. 기본 임금 12만원(시급 10,000원 X 12시간)
3. 휴일근로 할증수당 6만원(10,000원 X 12시간 X 50%)
4. 야간근로 할증수당 4만원(10,000원 X 8시간(22시부터 06시 까지) X 50%)
5. 연장근로 할증수단 2만원(10,000원 X 4시간(8Hr/日을 초과하는 시간은 4Hr이므로) X 50%)
이렇게 하면 총 32만원 나옵니다.

제가 계산한 이 계산이 맞는지 알고 싶습니다.

제가 조금 애매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연장근로 할당수단인데요..
즉, 5번 계산식이 맞는지 알고 싶은데요..
주 40시간의 소정근로시간을 만근한 후에 주휴일인 일요일에 잔업을 했을 경우,
잔업한 시간(12시간)만큼 휴일근로수당 할증만 적용이 되는 건지(연장근무는 8H/日을 초과한 4H만 적용),
아니면, 12시간 모두 휴일근로 할증수당 뿐만 아니라 연장근무 할증수단까지 둘다 적용이 되는 지 알고 싶습니다.

전자의 경우라 하면, 제가 계산한 것이 맞을 것 같고,
후자라고 한다면,  5번의 연장근로 할증수당은 2만원이 아니라, 6만원(10,000원 X 12H X 50%)이 될 것 같네요

또한, 주 40H(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하는 최초 4시간에 대해서는 25%의 할증율이 적용 되어야 하는 것이지,
아니면, 위의 25% 할증은 평일 잔업의 경우(휴일 제외)에만 적용되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바쁘시더라도 명쾌한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회사 도산 후 체당금 신청이 늦었는데... 2004.05.25 912
☞회사 도산 후 체당금 신청이 늦었는데... 2004.05.25 1494
이직확인서에 대한 궁금증~ 2004.05.25 693
☞이직확인서에 대한 궁금증~ 2004.05.25 1811
결혼으로 인한 거주지변경 이직일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2004.05.24 1383
☞결혼으로 인한 거주지변경 이직일 경우 실업급여? 2004.05.25 1276
체당금 관련 문의 드립니다. 2004.05.24 548
☞체당금 관련 문의 드립니다. 2004.05.25 388
임금채권보장사업을 이용시 사업주의 재산이 없을때? 2004.05.24 657
☞임금채권보장사업을 이용시 사업주의 재산이 없을때? 2004.05.25 683
해고예고수당에 대하여 2004.05.24 445
☞해고예고수당에 대하여 2004.05.25 716
이런 경우 실업급여 받을수 있나요?? 2004.05.24 497
☞이런 경우 실업급여 받을수 있나요?? 2004.05.25 535
고용보험피보험 기간산정시에 수습기간도 포함가능할까요? 2004.05.24 904
☞고용보험피보험 기간산정시에 수습기간도 포함가능할까요? 2004.05.25 1454
주40시간근무제 관련입니다. 2004.05.24 689
☞주40시간근무제 관련입니다. 2004.05.25 4447
☞☞주40시간근무제 관련입니다. 2004.05.25 725
» 휴일근로수당과 연장근로수당이 중복된다면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 2004.05.24 970
Board Pagination Prev 1 ... 3817 3818 3819 3820 3821 3822 3823 3824 3825 3826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