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9.03.10 10:27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아래 노동부 행정해석에 의하면 주휴일수당 지급 기준은 통상 근무일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지급하도록 정하고 있으며 월-금 7시간, 토요일 5시간 근무를 할 때에는 평일 7시간 기준으로 주휴수당을 지급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아래 노동부 행정해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노동부 행정해석>
주40시간제 시행에 따른 소정근로시간 및 주휴수당 산정기준 ( 2004.07.07, 임금정책과-2492 )

[질 의]

당사는 근로기준법 개정에 맞추어 당사의 단체협약과 취업규칙을 변경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중 아래와 같은 의문점이 있어 질의합니다.

1. 현행 당사는 유통업을 하는 업체로서 소정근로시간을 평일 8시간, 토요일 4시간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영업시간에 맞추어 평일 1시간, 토요일 5시간을 고정연장근로로 실시하고 있습니다(평균적인 백화점 근로시간).

개정된 근로기준법에 맞추어 소정근로시간을 평일 7시간, 토요일 5시간으로 조정하고, 고정연장근로를 평일 2시간, 토요일 4시간으로 변경하는 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월 소정근로시간을 계산함에 있어 주휴시간을 8시간으로 적용하느냐(월 소정근로 209시간), 7시간을 적용하느냐(월 소정근로 205시간)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습니다.

월 소정 근로시간 변경에 따른 시간당 단위임금의 변화로 인해 연장근로수당의 계산에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일 소정근로시간 변경에 따른 주휴시간의 변경이 가능한지에 대해 유권해석을 부탁드립니다.

2. 현재 1일 7시간을 근무하고 있는 당사 비정규직 근로자의 경우, 현행 근로기준법에 따라 단시간 근로자로 분류하여 주휴수당을 주7시간 지급하고 있습니다. 만약 상기 [질의1]의 주휴가 8시간으로 인정된다면, 현행 1일 7시간을 근무하는 단시간 근로자도 주휴수당을 8시간으로 계산하여 지급하여야 하는지 여부

[회 시]

근로기준법 제54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5조의 규정에 의하여 사용자는 1주간의 소정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 대하여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하며, 동휴일에 대한 수당은 정상근로일의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산정하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참고자료>

▣ 주40시간제와‘유급’주휴시간 검토

◆ 검토배경
주40시간제가 시행되면서 주5일근무 또는 주6일 근무 여부에 따라 1일 소정근로시간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
  ※ 예 시
ⅰ) 월~금 : 8시간(대다수가 해당될 것으로 예상)
ⅱ) 월~금 : 7시간, 토요일 : 5시간(주로 서비스업종 해당)
ⅲ) 월~토 : 6시간 40분(택시업종의 경우 가능)
- 월급제에 있어서 시간당 통상임금 산정을 위해서 유급 주휴시간을 몇시간으로 인정해야 할 것인지가 문제(주, 뉴코아 질의)
-즉 유급주휴시간을 몇시간 부여토록 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 필요
이 사안은 추후 연월차유급휴가 근로수당 산정에 있어서도 문제가 될 것임.

◆ (유급)주휴의 의의
근거(근기법 제54조) : 사용자는 근로자에 대하여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

․주휴의 의미
-주휴일은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명령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날을 말하며 근로자의 건강유지와 문화적 생활의 향상을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전세계적으로 보편화되어 있는 제도로서
-1회의 휴일은 역일상 24시간(오전 0시에서 오후 12시)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3교대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계속 24시간의 휴일을 주게됨(대판 1979.10.16, 79다1489)

․유급주휴의 의미
-우리 기준법은 다른 나라와 달리 주휴를 유급으로 부여하도록 하고 있는데, 법정 강제휴일에 임금을 지급하지 않은 경우 근로자의 생계가 문제될 수 있기 때문으로 이해됨.

◆ 관련규정
․근기법 제49조(근로시간) ① 1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②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판 례
ⅰ) 1일 단위의 소정근로시간은 8시간을 원칙으로 함(철도청 사건 1992.2.21, 대법 91다12202)
ⅱ) 월소정근로시간 계산시 1일의 소정근로시간과 월소정근로일수에는 평균개념을 사용함(서울대병원 사건 1991.6.28, 대법 90다카14758, 대법 90다카13465)
․예규(476호 2002.1.22)
ⅰ) 소정근로시간 : 법정근로시간의 범위 내에서 근로자와 사용자간에 정한 근로시간
ⅱ) 일급통상임금 : 시간급금액에 1일의 소정근로시간을 곱한 금액으로 함.

․행정해석
ⅰ) 주휴수당으로 지급되는 임금의 범위는 당해 사업장의 근로시간이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법정근로시간에 대한 임금을, 근로시간이 법정근로시간보다 적은 경우에는 소정근로시간에 대한 임금으로 한다(1987.4.2, 근기 01254-5392)
ⅱ) 유급휴일, 연월차휴가의 유급임금을 특정일 구분없이 정산근로일의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산정하여 지급하는 것이므로 1일 8시간을 기준으로 하여야 할 것임(1990.10.17, 근기 01254-14463)

․기 타
-단시간 근로자 : 소정근로시간에 비례하여 주휴를 부여
-택시업종 : 1일 소정근로시간이 7시간 20분이며, 주휴수당도 7시간 20분을 기준으로 지급

◆ 검토의견
현행 근기법에는 유급주휴를 몇시간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규정은 없으며, 판례도 이와 직접 관계된 것은 파악되지 않음.
다만 현행 행정해석은‘소정근로시간’, ‘정상근로일의 소정근로시간’을 유급으로 하도록 하고 있는 바, 우리 근로기준법이 주휴를 유급으로 하도록 한 취지를 고려하면 타당하다고 봄.
따라서 현행 행정해석을 유지함이 합당함.

ⅰ) 월~금(8시간)인 경우 : 8시간
ⅱ) 월~금(7시간), 토요일(5시간인 경우) : 7시간
※정상근로일의 소정근로시간을 주휴로 부여
ⅲ) 월~토(6시간 40분)인 경우 : 6시간 40분
다만 이 경우 동일한 월급액일지라도 근로형태에 따라서 시간당 통상임금이 달라지나, 이는 근로형태의 차이, 즉 정상일의 소정근로시간에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서 불가피하다고 봄.
※ 월급제에 있어서 주휴시간이 작아질수록 시간당 통상임금이 많아짐.
<상정예시 : 월급 100만원인 경우>
△ 정상근로시간이 8시간인 경우 : 100만원/208.7=4,807원
-{40+8)×52주+8시간}/12=208.7
△ 7시간인 경우 : 100만원/204.3=4,902원
-(40+7)×52주+7시간/12=204.3
△ 6시간 40분인 경우 : 100만원/202.8=4,950원
-(40+6시간 40분)×52주+6시간 40분/12=202.8

직장인들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당 사의 근무형태 및 급여규정을 요약하면(예시)
>
>1. 근로자 A의 1월의 고정 급여
> * 기  본  급 : 2,000,000
> * 직책 수 당 : 600,000
> * 각종 수 당 : 120,000(통상임금에 모두 포함된다고 가정)
> * 체력단련비 : 7,000
>
>2. 근로시간
> * 월-금요일 : 1일 7시간 = 35시간
> * 토요일 : 5시간
> * 계 40시간
>
>상기와 같이 되었을 시
>질의1) 월소정 근로시간은?
>질의2) 시급 통상임금은? (연장근로수당 계산위하여)
>질의3) 일급 통상임금은? (잔여 연차수당 계산위하여)
>
>
>질의4) 질의자 계산방식
>   -  월의 통상임금 산정기준시간수={(40+8)×(365/7)}/12=208.57   ∴ 209시간
>   -  월의 통상임금 산정기준시간수={(40+7)×(365/7)}/12=204.22   ∴ 204시간
>      위 1과 2항 중 맞는 부분이 있는지?
>   ※ 월부터 금요일까지 일 7시간 근무이면
>      유급휴일인 일요일 적용시간이 8시간인지, 7시간인지 모르겠습니다.
>  
>
>규모 : 40인
>종류 : 축산업
>조합 : 무
>소재지 : 제주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고용보험 실업급여를 받으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2009.03.10 1520
근로계약 계약만료의 건 2009.03.10 1344
임금·퇴직금 판매수당에서 일부적립금을 퇴직금명목으로 적립한 것이 합당한지 2009.03.10 1486
임금·퇴직금 회사의 위법 사항이 한두가지가 아닌데... 2009.03.10 1105
임금·퇴직금 최저임금,근로기준법 vs 근로계약서 2009.03.10 2911
임금·퇴직금 퇴직금 및 연차수당이 모두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2009.03.10 2040
» 임금·퇴직금 소정근로시간과 통상임금 2009.03.10 3422
기타 승진규정에 정규 군필자와 특례 군필자의 차이가 있다면 2009.03.09 2116
임금·퇴직금 연차수당 퇴직금 2009.03.09 2131
임금·퇴직금 퇴직금 산정을 위한 3월간의 임금총액 2009.03.09 1299
휴일·휴가 퇴직금 산정일 및 년차 발생 여부 1 2009.03.09 2011
임금·퇴직금 퇴직금 계산할 때 세금도 포함이 되나요?? 2009.03.09 22293
임금·퇴직금 퇴직소득내역 확인은 어디서 해야하나요? 2009.03.09 3769
임금·퇴직금 무단결근 근로자의 임금 2009.03.09 2314
임금·퇴직금 희망퇴직금의 분할지급 2009.03.09 1629
임금·퇴직금 출장수당이요~? 2009.03.09 3417
근로시간 일용직사원 시간외근무수당에 관해 알고 싶어요 2009.03.09 3021
근로시간 이에 해당하는 근로자는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 2009.03.09 1041
기타 민원에대한 감사는 어느정도 인지요? 2009.03.09 1023
고용보험 실업급여 지원을 받았는데요 2009.03.09 1626
Board Pagination Prev 1 ... 2299 2300 2301 2302 2303 2304 2305 2306 2307 2308 ... 5856 Next
/ 5856